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STRESS : STRESS

Sumissioin : submit your manuscript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STRESS > Volume 30(4); 2022 > Article
Original Article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의한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래혁orcid
Future Orientation’s Influence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by Parental Emotional Support
RaeHyuck Leeorcid
STRESS 2022;30(4):213-220.
DOI: https://doi.org/10.17547/kjsr.2022.30.4.213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2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RaeHyuck L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oonchunhyang University, 22 Soonchunhyang-ro, Asan 31538, Korea Tel: +82-41-530-1231 Fax: +82-41-530-1588 E-mail: raehyucklee@sch.ac.kr
• Received: October 24, 2022   • Revised: November 8, 2022   • Accepted: November 23, 2022

Copyright © 2022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694 Views
  • 48 Download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같은 목적을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Process macro Model 4와 14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조절했다. 분석 결과를 토대 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uture orientation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rough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with the Process macro Models 4 and 14.
  • Result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future orientation negatively influenced smartphone overdependence.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future orientation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parental emotion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future orientation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rough depression.
  •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ways to manage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1], 학교 밖 청소년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또는 각각에 상응하는 교육기관에 취학하지 않거나 3개월 이상 결석한 경우, 고등학교 또는 상응하는 교육기관에 진학하지 않거나 제적, 퇴학, 자퇴 등으로 학업을 중단한 경우를 의미한다. 이처럼 학교를 벗어나는 청소년의 규모는 2010년 이후 매해 5만명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2020년에 이르러 5만 2천명을 넘어선 상황이다[2]. 특히 최근 학령 인구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3], 전체 청소년 인구 중 학교 밖 청소년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속해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최근 들어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 부적응이라는 전통적 이유에 의해 학교를 벗어나는 것에 더해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해 스스로 학업을 중단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어[4] 이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학교 밖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최근 선행연구[5-7]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가 장기화되면서 고립된 생활 및 온라인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심각해지고 있어 더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8]. 스마트폰 과의존은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집착에 의한 금단증상을 겪고 더 많이 사용하고자 하는 내성 증상이 나타나며 과도한 사용에 의해 기능적 및 행동적 문제가 발생하는 상태로 정의된다[9]. 실태조사에 의하면[10], 청소년 중 99.6%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어 모든 청소년이 스마트폰 사용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실제로 전체 청소년 중 35.5%가 과의존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 경우 스마트폰 사용 문제에 처할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과의존 위험군의 규모가 더 클 것으로 예측된다. 학교를 벗어난 청소년은 많은 경우 학업을 중단하게 되면서 일상생활에 있어 자기 관리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11]. 이를 반영하듯 실태조사[4]에서 60% 이상의 학교 밖 청소년이 최근 한 달 동안 가장 많이 했던 일을 스마트폰 사용으로 보고하였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청소년기 다양한 발달의 영역 및 청년기 사회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데[12-14], 이러한 부정적 영향이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보다 심각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다루기 위한 개입이 시급하다.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 보호요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최근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미래지향이라는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15-18]. 미래지향은 어떤 개인이 자신의 미래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것으로 앞으로 일어날 구체적인 변화에 대한 계획, 기대, 관심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19-21]. 미래지향적 사고는 긍정적인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내므로 모든 청소년에게 있어서 건강한 발달을 촉진하는 내적 자원으로 간주된다[22-25].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서 미래지향은 특히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 그 이유는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라는 중요한 보호체계를 벗어나 있어 재학 청소년에 비해 스스로 삶을 계획 및 관리해야 하고, 교육 및 진로에 대한 방향을 설정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기 때문이다[16,17]. 실제로 학교를 벗어난 청소년은 스스로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할지 결정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1,26]. 따라서 학교 밖 청소년이 자신의 삶의 방향을 긍정적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발달 상의 과제라고 볼 수 있다.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과 스마트폰 과의존은 다음과 같은 이론적 관계를 지닌다. 기대-가치 이론은 어떤 개인이 설정한 목표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행동의 동인이 된다고 보는데[27,28], 미래지향적 사고는 현재의 즉각적인 만족을 지연시켜 미래의 목표 달성에 가치를 두게 한다고 설명한다[29]. 이를 적용해보면, 학교 밖 청소년이 미래지향적 사고를 통해 자신의 미래에 대해 보다 가치를 두게 되면, 그러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기 위한 동기를 부여받게 되므로 현실 도피나 즉각적 즐거움을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행위가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까지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고 있다. 관련해서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와 인터넷 중독 사이의 부적 관계를 보고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29]. 또한 유사하게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와 게임중독 사이의 부적 관계를 보고한 연구가 존재한다[17,30]. 이상의 논의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 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자 한다.
한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가를 규명하여 보다 구체적인 개입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이라는 부정적 정서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우울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정서적 문제로 모든 청소년이 경험할 수 있는데[31],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학교를 벗어난 후 겪는 심리적 혼란, 사회적 편견, 가족과의 갈등 등으로 인해 보다 심각한 수준의 우울 문제를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32,33].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에 주목하는 보다 중요한 이유는 우울이 이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심화시키는 위험요인이기 때문이다. 정서처리 이론에 따르면[34], 어떤 개인이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면 그러한 정서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독적 행동과 같은 문제행동을 하게 된다. 즉, 학교 밖 청소년이 우울감을 경험하게 되면 이를 스마트폰 과의존과 같은 문제적 행동을 통해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여러 선행연구에서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 사이에 정적 관계를 보고하였다[6,7,35,36]. 반면,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은 우울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보호요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어떤 개인이 형성하는 긍정적 정서는 또 다른 긍정적 정서로 확장된다고 설명하는 긍정적 정서 형성-확장 이론[37]을 적용해볼 수 있다. 즉, 학교 밖 청소년이 자신의 미래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사고하게 되면, 이러한 정서적 변화가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현재까지 수행되지 않았으나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적 사고와 우울 사이의 부적 관계를 보고한 연구[38]가 존재한다. 이상의 논의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우울을 감소시켜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낮출 것으로 예상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다루기 위해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의한 조절효과를 함께 규명하고자 한다. 사회적 지지 체계 중 하나인 부모지지는 부모가 자녀를 위해서 하는 행동이라는 개념으로 정의된다[39]. 이러한 부모지지의 한 형태인 정서적 지지는 자녀를 따뜻하게 보살펴주는 행동, 자녀에게 기꺼이 조언을 해주는 행동, 자녀와 솔직한 마음으로 이야기를 하는 행동 등을 의미한다[40].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청소년의 발달에 있어 핵심적인 보호요인인데, 학교라는 보호체계를 벗어나 있는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진다[16]. 특히 본 연구에서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주목하는 이유는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 및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하여 보호요인의 역할을 한다는 점 때문이다.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많은 연구에서 부모의 지지적 행동이 청소년 자녀의 우울 문제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33,41].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감소시키며[42], 부모의 정서적 방임이 스마트폰 과의존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43]. 따라서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이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을 낮추는 부적 매개효과가 부모의 정서적 지지 수준에 따라 더 강해질 것으로 예상하고자 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셋째, 학교 밖 청소년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조절하는가?
1.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Fig. 1에 제시된 연구모형을 분석하자고 한다. 각 연구질문에 대응하는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 수준은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낮출 것이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 수준은 우울의 수준을 낮추고, 낮아진 우울 수준은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낮출 것이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 부모의 정서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부적 매개효과가 증가할 것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정책 지원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전국 단위의 학업중단 청소년 표본을 대상으로 2014년부터 5개 년도에 걸쳐 진행하였다[44]. 본 연구는 모든 주요변수가 조사된 2차 년도의 원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차년도 조사에는 559명의 청소년이 참여했는데, 이 중 조사가 진행될 당시에 학업을 중단한 상태에 있었던 454명을 선별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주요변수인 미래지향, 우울,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응답하지 않은 소수의 사례를 추가적으로 제외하고, 418명을 최종 분석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소속 기관의 연구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진행되었다(IRB No. 202210-SB-118-01).
3. 연구도구
먼저,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스마트폰 과의존은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에 포함된 8개 문항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해당 문항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 의해서 개발된 스마트폰 중독 척도[45]를 Lee 등[46]이 청소년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한 것을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대상 청소년은 가족이나 친구보다 스마트폰 사용이 더 즐거운 정도,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조절할 수 없는 정도, 스마트폰 때문에 계획한 일을 하기 어려운 정도 등의 8개 문항에 4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였다. 8개 문항의 평균점수의 내적 신뢰도는 .826이었고, 점수가 높으면 과의존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독립변수인 미래지향을 측정하기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에 포함된 3개 문항을 활용하였다. 해당 문항은 Jeon 등[47]의 연구에서 활용된 것을 보완한 것으로 대학 진학 가능성에 대한 생각, 장래에 대한 희망적 생각, 성공에 대한 생각의 문항에 4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있다. 3개 문항의 평균점수의 내적 신뢰도는 .836이었고, 점수가 높으면 미래지향의 수준이 더 높음을 가리킨다. 본 연구의 매개변수인 우울은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에 Lee 등[48]의 연구로부터 활용한 10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기운이 없는 정도, 슬픈 정도, 죽고 싶은 생각이 드는 정도 등의 10개 문항에 4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10개 문항을 평균점수화했고, 점수가 높으면 우울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내적 신뢰도는 .894로 안정적이었다. 본 연구의 조절변수인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에서 Choi 등[49]의 연구로부터 채택한 5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나를 이해해 주는 정도, 고민을 들어주는 정도, 어려울 때 도와주는 정도 등의 5개 문항에 4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였다. 5개 문항의 평균점수의 내적 신뢰도는 .936이었고, 점수가 높으면 부모의 정서적 지지 수준이 높음을 가리킨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16,17]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분석대상 청소년의 성별(여자 0, 남자 1), 연령(연수), 가구 경제수준(1∼7점)을 분석에서 통제변수로 포함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는 SPSS (version 25)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모든 변수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Process macro 방법을 활용하여 일련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Process macro는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주요변수들 사이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하나의 모형 안에서 분석해준다[50]. 첫 번째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4의 전체 효과 선택사항을 활용하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두 번째 연구가 설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하여 2단계의 회귀분석(1단계: 독립변수 → 매개변수, 2단계: 독립변수, 매개변수 → 종속변수)을 수행하고, 붓스트래핑(5,000 표본)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어서 세 번째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14를 활용하여 2단계의 회귀분석(1단계: 독립변수 → 매개변수, 2단계: 독립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항 → 종속변수)을 수행하고, 붓스트래핑(5,000 표본)을 통해 조절변수에 의한 조건부 간접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지수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Mode 14의 분석에서 상호작용항에 포함된 변수는 평균중심화 하였다. 또한 모든 회귀분석에는 통제변수가 포함되었다.
1. 분석대상 및 주요변수의 특성
Table 1에 제시된 것처럼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학교 밖 청소년 중 남자가 249명(59.6%)으로 여자 169명(40.4%)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평균 18.81세(표준편차 1.07세)였고, 가구 경제수준은 1∼7점의 분포 중 평균 3.73점(표준편차 1.19점)으로 분석되었다.
Table 1에서 주요변수의 특성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미래지향은 평균 3.00점(표준편차 0.64점)으로 중간 수준보다 다소 높은 편이었다. 매개변수인 우울은 평균 2.02점(표준편차 0.56점)으로 중간 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인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평균 2.96점(표준편차 0.67점)으로 중간 보다 다소 높았고, 종속변수인 스마트폰 과의존은 평균 1.75점(표준편차 0.55점)으로 중간 보다 다소 낮게 분석되었다. 모든 주요변수의 왜도와 첨도 수치는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Table 1에는 주요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도 보고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미래지향은 우울(r=−.334, p<.001) 및 스마트폰 과의존(r=−.182, p<.001)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부모의 정서적 지지(r=.286, p<.001)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우울은 부모의 정서적 지지(r=−.332, p<.001)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스마트폰 과의존(r=.252,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스마트폰 과의존(r=−.188, p<.001)과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Table 2의 Panel 1에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해당 분석 모형의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6.251, p<.001), 모든 통제변수가 포함된 상태에서 미래지향(B=−0.174, p<.001)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미래지향의 수준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의 수준이 낮아짐을 보여주는 것으로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가설이 지지됨을 알 수 있다.
3.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Process macro Model 4의 2단계 회귀분석 결과가 Table 2의 Panel 2에 제시되어 있다. 먼저, 1단계 분석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22.122, p<.001), 미래지향(B=−0.280, p<.001)은 통제변수를 포함한 상태에서 우울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2단계 분석 모형 역시 통계적으로 적합했고(F=8.063, p<.001),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하여 미래지향(B=−0.120, p=.007)은 부적으로 우울(B=0.194, p<.001)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Process macro Model 4는 앞선 2단계의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붓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해 주는데, 그 결과가 Table 2의 Panel 2 하단에 제시되어 있다.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0.054 (Boot confidence Interval [CI]=−0.092∼−0.023)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더해서 Table 2의 Panel 1에서의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이 Panel 2에서 매개변수 투입 후에 감소했으나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어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우울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가설이 지지됨을 확인하였다. 즉,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 수준은 우울의 수준을 낮추고, 이어서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
Table 3에 Process macro Model 14를 활용하여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1단계 분석의 결과는 Table 2의 Panel 2 1단계 분석 결과와 동일하기 때문에 해석을 생략하였다. 다음으로 2단계 분석의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7.322, p<.001), 상호작용항을 모형에 추가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모형의 설명력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F=6.036, p=.014)에서 증가시켰다. 분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래지향(B=−0.102, p=.022), 우울(B=0.175, p=.001), 부모의 정서적 지지(B=−0.086, p=.044), 우울과 부모의 정서적 지지 사이의 상호작용항(B=0.158, p=.014) 모두 스마트폰 과의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는데, 우울과 부모의 정서적 지지 사이의 상호작용항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적 영향력을 보여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완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도식화하여 살펴보면 보다 쉽게 이해가 가능하다. Fig. 2에 제시된 것처럼 우울 수준이 감소할 때 스마트폰 과의존의 수준이 감소하고 있는데, 이 같은 영향력이 부모의 정서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게 나타남을 날 수 있다.
Table 4에는 Process macro Model 14의 2단계 분석을 토대로 조건부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먼저,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부모의 정서적 지지 수준에 의해 살펴보면, 지지수준이 낮을 때 −0.019 (BootCI=−0.065∼0.022), 중간일 때 −0.049 (BootCI=−0.087∼−0.017), 높을 때 −0.079 (BootCI=−0.012∼−0.038)로 나타나 지지수준이 증가할수록 부적 매개효과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즉,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 수준이 우울의 수준을 낮추고, 이어서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낮추는 부적 매개효과가 부모의 정서적 지지 수준에 따라 더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4에 보고된 조건부 간접효과 중 낮은 지지 수준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지지 수준별 조건부 간접효과 사이의 차이를 검증하는 조절된 매개지수(Index=−0.044, BootCI=−0.083∼−0.004)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울을 통한 부모의 정서적 지지의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므로 본 연구의 세 번째 연구가설이 지지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주요 결과와 그에 대한 논의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수준이 스마트폰 과의존의 수준을 낮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적 사고와 인터넷 중독 및 게임중독 등 행위중독 사이의 부적 관계를 보고한 선행연구[17,29,30]와 유사한 맥락에 있으며,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의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는 일반 청소년보다 심각하게 여겨지는데, 이를 미래지향적 사고를 통해서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즉, 학교를 벗어나 여러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자신의 미래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성취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 수준은 우울의 수준을 낮추고, 이어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적 사고와 우울 사이의 부적 관계를 살펴본 연구[38] 및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 사이의 정적 관계를 보고한 연구[6,7,35,36]의 결과와 맥락상 일치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 같은 관계를 하나의 경로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즉, 학교 밖 청소년에게서 심각하게 나타나는 우울 문제가 미래지향적 사고에 의해 감소되어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가 완화될 수 있음을 실증하여 보다 구체적인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어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대한 개입에 있어 미래지향적 사고의 형성 자체가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우울 문제를 다룰 수 있는 특화된 지원을 병행하는 것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부모의 정서적 지지 수준이 증가할 때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을 감소시키는 부적 매개효과가 증가함을 밝혀냈다. 즉,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을 감소시키는 간접적 영향력이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의해 보다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33,41-43]를 기반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따른 조절효과를 예상할 수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도 그러한 관계가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미래지향, 우울, 스마트폰 과의존이라는 경로에서 부모의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이 같은 매개된 조절효과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규명된 것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와 같은 내적 자원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개입할 때, 부모의 역할을 통해 그 효과를 보다 확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앞서 논의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감소 및 예방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이들의 미래지향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인 꿈드림을 통해 센터를 찾는 모든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적 사고의 수준을 진단하는 상담을 제공하여 이들의 진로 및 내적 동기 등을 면밀하게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장래에 대한 탐색 및 동기부여, 성공에 대한 개념 형성, 미래에 대한 희망적 사고 등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여 미래지향적 사고의 형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센터 인력에 대한 보수 교육을 통해 이들이 미래지향적 사고의 개념 및 필요성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관련 상담이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에 더해서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의 형성을 촉진할 때 이들의 우울 관련 문제에도 개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대상의 미래지향적 사고 형성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정서 강화 활동을 포함하거나 정서 문제 완화를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더해서 우울 문제와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보이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선별하여 미래지향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대한 개입을 위해 부모의 정서적 지지를 강화할 수 있는 개입을 병행할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면, 대상 청소년의 미래지향 프로그램에 부모가 함께 참여하여 상호작용을 경험하도록 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부모를 대상으로 정서적 지지 역할을 어떻게 하는가에 대하여 교육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많은 경우 학교 밖 청소년과 부모 사이에 갈등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여 부모-자녀 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첫째, 본 연구에서 활용한 주요변수의 척도들은 분석 대상을 토대로 하는 타당화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가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 연구이기 때문에 지니는 한계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횡단 자료를 기반으로 주요변수 사이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이므로 결과를 일반화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이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학교 밖 청소년 표본을 활용하여 이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대하여 미래지향적 사고가 보호 역할을 한다는 점과 그러한 보호 역할의 경로를 다각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에 이어서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가 발달의 다양한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시도가 이어지기를 기대해본다.
This work utilized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Research Fund.

Fig. 1.
Research model.
kjsr-2022-30-4-213f1.jpg
Fig. 2.
Moderation effect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kjsr-2022-30-4-213f2.jpg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N=418)
Variable M (SD) Range Skewness/kurtosis n (%) Future orientation
Depression
Parental emotional support
Smartphone overdependence
r (p) r (p) r (p) r (p)
Gender Female 169 (40.4)
Male 249 (59.6)
Age 18.81 (1.07) 15∼21 −0.843/1.244
Family economic status 3.73 (1.19) 1∼7 −0.092/−0.048
Future orientation 3.00 (0.64) 1∼4 −0.400/0.586 1
Depression 2.02 (0.56) 1∼4 −0.176/−0.424 −.334 (<.001) 1
Parental emotional support 2.96 (0.67) 1∼4 −0.554/0.750 .286 (<.001) −.332 (<.001) 1
Smartphone overdependence 1.75 (0.55) 1∼4 0.834/0.160 −.182 (<.001) .252 (<.001) −.188 (<.001) 1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2.
The influence of future orientation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rough depression (N=418)
Variable Panel 1: Future orientation → smartphone overdependence
Panel 2: Mediation effect
Step 1: Future orientation → depression
Step 2: Future orientation, depression → smartphone overdependence
B SE t (p) B SE t (p) B SE t (p)
Future orientation −0.174 0.043 −4.091 (<.001) −0.280 0.040 −6.928 (<.001) −0.120 0.044 −2.707 (.007)
Depression 0.194 0.051 3.807 (<.001)
Gender −0.156 0.054 −2‵.901 (.004) −0.234 0.051 −4.577 (<.001) −0.111 0.054 −2.040 (.042)
Age −0.030 0.025 −1.211 (.227) 0.015 0.024 0.631 (.528) −0.033 0.024 −1.348 (.178)
Family economic status −0.002 0.022 −0.069 (.945) −0.065 0.021 −3.052 (.002) 0.011 0.022 0.496 (.620)
Constant 2.932 0.507 5.781 (<.001) 2.958 0.481 6.144 (<.001) 2.358 0.521 4.522 (<.001)
R2 .057 .176 .089
F (p) 6.251 (<.001) 22.122 (<.001) 8.063 (<.001)
IE (BSE) −0.054 (0.018)
95% BCI −0.092∼−0.023

B: coefficient, SE: standard error, IE: indirect effect, BSE: bootstrap standard error, BCI: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

Table 3.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N=418)
Variable Step 1: Future orientation → depression
Step 2: Future orientation, depression, parental emotional support, depression×parental emotional support → smartphone overdependence
B SE t (p) B SE t (p)
Future orientation −0.280 0.040 −6.928 (<.001) −0.102 0.045 −2.295 (.022)
Depression 0.175 0.052 3.376 (.001)
Parental emotional support −0.086 0.042 −2.021 (.044)
Depression×parental emotional support 0.158 0.064 2.457 (.014)
Gender −0.234 0.051 −4.577 (<.001) −0.096 0.054 −1.773 (.077)
Age 0.015 0.024 0.631 (.528) −0.039 0.025 −1.573 (.117)
Family economic status −0.065 0.021 −3.052 (.002) 0.009 0.022 0.425 (.671)
Constant 2.958 0.481 6.144 (<.001) 2.822 0.499 5.660 (<.001)
R2 .176 .111
F (p) 22.122 (<.001) 7.322 (<.001)
R2 change .013
F change (p) 6.036 (.014)

B: coefficient, SE: standard error.

Table 4.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depression by parental emotional support
Conditional indirect effect Bootstrap SE 95% Bootstrap CI
Lower limit Upper limit
Low parental emotional support (−1SD) −0.019 0.022 −0.065 0.022
Medium parental emotional support (mean) −0.049 0.018 −0.087 −0.017
High parental emotional support (1SD) −0.079 0.023 −0.125 −0.038
Index of moderated mediation −0.044 0.020 −0.083 −0.004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interval, SD: standard deviation.

  • 1.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Act on the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 [Internet] Sejong,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2 [cited 2022 October 22].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LSW/eng/engLsSc.do?menuId=2&section=lawNm&query=youth&x=0&y=0#liBgcolor1
  • 2.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Statistics on school drop-out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22 [cited 2022 October 22]. Available from: https://kess.kedi.re.kr/index
  • 3. Ministry of Education. 2021 basic education statistics.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21.
  • 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8 survey on out-of-school youth.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8.
  • 5. Choi HS, Yeon EM.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tigma, neglec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out-of-school adolescents: The multi-group moderating effect of gender.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2;22(6):83-98.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6.83Article
  • 6. Kim JM, Lea EK.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barriers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youth.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2021;5(1):85-102. https://doi.org/10.51457/kjcp.2021.06.5.1.85Article
  • 7. Lee RH, Lee JK.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21;21(9):431-445. https://doi.org/10.5392/JKCA.2021.21.09.431Article
  • 8.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2021 year assessment of youth Internet and smartphone habits.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21.
  • 9. Chóliz M. Mobile-phone addiction in adolescence: The test of mobile phone dependence (TMD). Progress in Health Sciences. 2012;2(1):33-44.
  • 10. Korea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0 smartphone overdependence survey. Daegu: Korea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0.
  • 11. Chang HL, Lee RH.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through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out-of-school adolescents’ negative psychological emotion perceived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on game addiction. Journal of Youth Welfare. 2021;23(1):105-130. https://doi.org/10.19034/KAYW.2021.23.1.05Article
  • 12. Kim BN, Ko EJ, Choi HI.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Studies on Korean Youth. 2013;24(3):67-98.
  • 13. Lee SJ. An analysis on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 addicted to smartphone. Journal of Youth Welfare. 2018;20(3):47-67. https://doi.org/10.19034/KAYW.2018.20.3.03Article
  • 14. Seo IK, Lee YS. Effects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on their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Journal of Youth Welfare. 2016;18(3):217-241. https://doi.org/10.19034/KAYW.2016.18.3.10Article
  • 15. Kim MK. Changes in the perceived value of an education in school dropouts, and their thoughts about the future. Journal of Social Science. 2021;32(2):25-41. https://doi.org/10.16881/jss.2021.04.32.2.25Article
  • 16. Lee RH.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thoughts about the future through self-esteem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support.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22;58:29-49. https://doi.org/10.20993/jSSW.58.2Article
  • 17. Lee RH. Th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gaming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y and gender.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22;59:129-152. https://doi.org/10.20993/jSSW.59.5Article
  • 18. Park DJ, Lee JY. A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inking to fu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career obstacle of out-of-school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Activity. 2020;6(2):1-26. https://doi.org/10.36697/skya.2020.6.2.1Article
  • 19. McWhirter EH, McWhirter BT. Adolescent future expectations of work, education, family and community. Youth & Society. 2008;40(2):182-202. https://doi.org/10.1177/0044118X0831425Article
  • 20. Michael R, Cinamon RG, Most T. What shapes adolescents’ future perceptions? The effects of hearing loss, social affiliation, and career self-efficacy.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2015;20(4):399-407. https://doi.org/10.1093/deafed/env023ArticlePubMed
  • 21. Oettingen G, Mayer D. The motivating function of thinking about the future: Expectations versus fantas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2;83(5):1198-1212. https://doi.org/10.1037/0022-3514.83.5.1198ArticlePubMed
  • 22. Davis BA. Future expectations and resiliency among adolescents: The possible moderating role of future expectations [master’s thesi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2013.
  • 23. Johnson SRL, Blum RW, Cheng TL. Future orientation: A construct with implications for adolescent health and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t Medicine and Health. 2014;26(4):459-468. https://doi.org/10.1515/ijamh-2013-0333ArticlePubMedPMC
  • 24. Skinner AT, Ciftci L, Jones S, Klotz E, Ondruskova T, Lansford JE, et al. Adolescent positivity and future orientati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young adult internalizing behaviours during COVID-19 in nine countries. Social Sciences. 2022;11(2):75https://doi.org/10.3390/socsci11020075ArticlePubMed
  • 25. Wyman PA, Cowen EL, Work WC, Kerley JH. The role of children’s future expectations in self-system functioning and adjustment to life stress: A prospective study of urban at-risk childre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993;5(4):649-661.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6210Article
  • 26. Myung SY, Cho JO.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after school separation of out-of-school youths and their challenge and growth of life: Focusing on the youths who participant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project.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16;24(2):75-89. https://doi.org/10.35151/kyci.2016.24.2.005Article
  • 27. Scheier MF, Carver CS.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992;16(2):201-228. https://doi.org/10.1007/BF01173489Article
  • 28. Wigfield A, Eccles JS. Expectancy-value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000;25(1):68-81. https://doi.org/10.1006/ceps.1999.1015ArticlePubMed
  • 29. Du G, Lyu H. Future expectations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The role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Frontiers in Psychiatry. 2021;12:727106https://doi.org/10.3389/fpsyt.2021.727106ArticlePubMedPMC
  • 30. Diez SL. The mediating effects of problematic internet and video gaming behaviors on family, cultural, and individual constructs among Latinx and non-Latinx black youth. [dissertation]. Miami, FL: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2019.
  • 31. Park BS.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depression among youth after school dropout: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19;62:81-106. https://doi.org/10.17997/SWRY.62.1.4Article
  • 32. Kim YH, Choi BY. The psycho-social adjustment process of adolescent dropouts. Studies on Korean Youth. 2015;26(2):145-175. https://doi.org/10.14816/sky.2015.26.2.145Article
  • 33. Lee JH, Jo EH, Park MY, Kim HK.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al and peer support on school dropouts' depressive symptoms in emerging adulthoo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tigma.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20;33(2):165-180. https://doi.org/10.35574/KJDP.2020.6.33.2.165Article
  • 34. Baker TB, Piper ME, Fiore MC. Addiction motivation reformulated: An affective processing model of negative reinforcement. Psychological Review. 2004;111(1):33-51. https://doi.org/10.1037/0033-295X.111.1.33ArticlePubMed
  • 35. Choi HI, Jung YM.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f out-of-school youth on smartphone addiction: A focus on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20;69(4):31-58. https://doi.org/10.24300/jkscw.2020.12.69.4.31Article
  • 36. Jeon HS.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 and social stigma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22;29(3):85-112. https://doi.org/10.21509/KJYS.2022.03.29.3.85Article
  • 37. Fredrickson B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2001;56(3):218-226.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18ArticlePubMed
  • 38. Lee JY, Ha JH, Jeon SH. The effects of parents’ interacting modes in achievement settings on adolescents’ expectancy for future succes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ole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mediator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6;20(4):873-890.
  • 39. Barnes GM, Reifman AS, Farrell MP, Dintcheff BA. The effects of parenting o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alcohol misuse: A six wave latent growth model.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2000;62(1):175-18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0175.xArticle
  • 40. Kristjansson AL, Sigfusdottir ID, Karlsson T, Allegrante JP. The perceived parental support (PPS) scal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2006 youth in Europe substance use prevention survey. Child Indicators Research. 2011;4(3):515-528. https://doi.org/10.1007/s12187-010-9095-xArticle
  • 41. Jeong MK. Effects of out-of school adolescents' parental attachment on depression: Mediated by self-esteem and career barrier.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2022;76:93-119. https://doi.org/10.35422/cwsk.2022.76.93Article
  • 42. Oh CT. The influence of parental affective support perceived by adolescents with delinquent experiences on smartphone addiction though social stigma.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2022;76:35-61. https://doi.org/10.35422/cwsk.2022.76.35Article
  • 43. Song JY, Jung KH.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smart phone addiction among school dropout youths: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2021;10(3):369-392. https://doi.org/10.30974/kaice.2021.10.3.16Article
  • 44.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1st∼5th data user’s guide. Sejong: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8.
  • 4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scale.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 46. Lee CH, Kim KH, Jang SA. A study on policy measures to protect youths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3.
  • 47. Jeon YS, Shin DJ, Park SH, Kim IS. A study on juvenile delinquency in multi-cultural family. Seoul: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2012.
  • 48. Lee KS, Back HJ, Lee JW, Kim JY. The 2012 annual report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1.
  • 49. Choi IJ, Mo SH, Lee SY, Kim HI, Lee JY. A study on support measures to improve mental health among children and youth.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2.
  • 50. Hayes A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perspective. 3r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022.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ePub LinkePub Link
      • Cite
        CITE
        export Copy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Future Orientation’s Influence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by Parental Emotional Support
        STRESS. 2022;30(4):213-220.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2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Related articles

      STRESS :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