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STRESS : STRESS

Sumissioin : submit your manuscript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STRESS > Volume 32(1); 2024 > Article
Original Article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래혁orcid
Effect of Daily Stress on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Mediating Roles of Inattention and Social Withdrawal
RaeHyuck Leeorcid
STRESS 2024;32(1):1-8.
DOI: https://doi.org/10.17547/kjsr.2024.32.1.1
Published online: March 28, 2024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RaeHyuck L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oonchunhyang University, 22 Soonchunhyang-ro, Asan 31538, Korea Tel: +82-41-530-1231 Fax: +82-41-530-1588 E-mail: raehyucklee@gmail.com
• Received: February 5, 2024   • Revised: March 4, 2024   • Accepted: March 13, 2024

Copyright © 2024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next
  • 1,119 Views
  • 46 Download
  • 1 Crossref
  • 본 연구는 지역이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과 일련의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검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을 높여 학교적응을 낮추는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사회적 위축을 높여 학교적응을 낮추는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 Background
    This study verifies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inattention and social withdrawal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 Methods
    Analyses were performed on data collected from the Child Panel Survey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followed by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 Results
    First, daily stress had a nega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Second, both inattention and social withdrawal among children mediated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n school adjustment. Finally,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n school adjustment was serially dual-mediated through inattention and social withdrawal.
  •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s evidence-based strategies that could help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지역아동센터는 국가의 지원을 받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차상위 계층, 한부모 등 취약 계층의 아동을 대상으로 방과 후 보호 및 교육 서비스, 놀이 및 오락 서비스, 식사 서비스 등 포괄적인 지원을 통해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 지역아동센터는 2004년 관련 법이 제정된 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021년 기준으로 전국에 4,295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용 아동의 80% 가까이가 초등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2]. 이처럼 지역아동센터는 취약계층 대상의 아동복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표적인 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용 아동이 대부분 학령기이므로 이들의 다양한 발달 양상 중 학교적응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3,4].
학교적응은 아동이 교사 및 또래와 같은 학교 구성원과 원만한 관계를 맺고, 학교에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책임과 규칙을 성실하게 이행하는 상태로 정의된다[5,6]. 아동에게 학교는 가정만큼 중요한 환경 체계로서 학교생활에 잘 적응해야 긍정적인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학령기의 학교적응은 이후 중학교에서의 적응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더욱 중요하게 간주된다[7].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노력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영향에 주목하고자 한다.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아동의 가정, 학교, 친구, 생활환경뿐만 아니라 아동 자신과 관련하여 경험하게 되는 모든 스트레스를 포괄하는 개념이다[8,9].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은 학업 난이도의 상승, 학습자로서 변화의 경험, 타인과의 관계 형성의 증가 등으로 인해 학교에서 다양한 스트레스의 상황에 처하게 된다[4]. 또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대부분은 저소득층에 속해 가정에서 구성원과의 갈등이나 결핍된 환경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유발되기도 한다[10]. 이와 관련하여 저소득 가정의 아동이 일반 가정의 아동에 비해 더 많은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경험한다는 점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11]. 이처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은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보다 쉽게 노출될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가 이들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스트레스 과정 이론(stress process theory)을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스트레스 과정 이론은 어떤 개인이 일상의 삶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다양한 심리사회적 매개 자원을 통해 부정적인 스트레스 결과물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한다[12]. 여기서 스트레스는 일상의 삶에서 겪게 되는 사건뿐만 아니라 만성적인 긴장감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결과물은 정신 및 신체 건강의 문제부터 행동 및 발달 상의 문제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발현된다. 따라서 이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에게 적용해보면, 이들이 다양한 삶의 환경에서 경험하는 일상적 스트레스는 발달 상의 문제로서 학교에서의 적응 능력 약화라는 스트레스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표본을 활용한 연구에서 아동의 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면,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 수준이 낮아진다는 점이 보고되었다[4]. 또한 일반 아동 표본뿐만 아니라 시설 아동과 같은 보호 대상 아동을 표본으로 수행된 여러 선행연구들에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대하여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13-15].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더해서 해당 영향이 어떻게 전달되는지 그 경로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앞서 스트레스 과정 이론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처럼 어떤 개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그로 인해 생겨나는 부정적인 스트레스 결과물은 다양한 심리사회적 기제를 통해 연결된다[12].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연결하는 매개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이들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단절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보다 다양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의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하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을 연결하는 매개요인으로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이라는 심리사회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트라우마 이론(trauma theory)에 따르면[16], 어떤 개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포함한 심리적 트라우마의 경험은 과도한 각성, 각인, 무력화 등을 통해 심리사회적 안녕을 방해할 수 있다. 유사하게 부정적 아동기 경험 이론(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theory)에서도 아동기에 유해한 스트레스 환경과 경험에 노출되면 발달과 건강에 있어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한다고 설명한다[17]. 이와 같은 이론적 설명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경험하는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트라우마나 만성적 유해 요인으로 작용하여 이들의 심리사회적 안녕을 저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이러한 이론적 설명을 적용한 선행연구에서 아동기에 만성적 스트레스 상황이나 스트레스를 촉발하는 사건을 경험하는 것이 주의력[18]이나 사회성[19]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첫 번째 매개요인인 주의력 결핍은 필요한 외부 자극에 초점을 맞추거나 과제 해결을 위해 집중하거나 과업이 지루하더라도 몰두할 수 있는 능력이 결여된 상태를 의미한다[20]. 아동에게 있어 주의력은 학업의 수행이나 또래와의 관계 형성에 있어 중요한 발달 과제 중 하나이다. 관련 연구에서는 저소득 가정 아동이 일반 가정 아동에 비해 주의력 결핍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이 더 높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어[21]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주의력 결핍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앞선 이론적 논의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된 경험적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저학년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수행된 국내 연구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주의력 결핍 문제를 포함하는 내재화 문제와 정적 관계를 가진다는 점이 보고되었다[22]. 또한 유사하게 국외 연구들도 아동기의 스트레스 노출이 아동의 부주의함뿐만 아니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를 유발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18,23,24]. 이러한 아동의 주의력 결핍은 학교적응을 방해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초등학생 및 중학생 표본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들은 주의력 결핍 문제가 있으면 부주의하여 실수가 잦고 해야 할 일을 제대로 완수하지 못하여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보이게 된다는 점을 밝혀냈다[20,25]. 따라서 이러한 이론적 토대와 관련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주의력 결핍의 수준을 높여 학교적응 수준을 낮추는 매개효과를 예상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매개 요인인 사회적 위축은 새로운 사람을 만나거나 다른 환경을 접할 때 위축되는 반응을 보이고, 관계를 형성하거나 환경에 적응하는 것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문제를 의미한다[26]. 본 연구에서 매개요인으로 사회적 위축에 주목하는 이유는 아동에게 있어 사회성의 발달은 핵심 과업에 속하는데, 일반 가정 아동에 비해 저소득 가정 아동의 경우 사회성 발달에 있어 어려움을 경험하기 때문이다[27].
앞선 이론 고찰을 통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사회적 위축이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관련하여 국내 연구들은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사회적 위축[28]과 사회적 고립[29]을 야기하는 원인임을 지적하였다. 유사하게 국외 연구들도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경험이 사회적 위축[30,31]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능 저하[32]를 야기한다고 보고하였다. 학교는 사회적 역할 및 기능을 필요로 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아동의 사회적 위축 수준이 높으면, 학교에서 제대로 적응하기 어려워진다. 실제로 아동이나 청소년 표본을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 연구들은 사회적 위축의 수준이 높으면 학교적응의 수준이 낮아진다는 점을 보고하였다[33,34]. 이에 본 연구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며,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사회적 위축을 통해 학교 적응을 낮추는 매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사회적 위축을 매개요인으로 살펴보는 또 다른 이유는 이들의 주의력 결핍 문제가 사회적 위축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동의 주의력 결핍은 사회적 위축의 원인이 되지만 반대의 관계도 가능하다. 본 연구는 주의력 결핍이 사회적 위축을 야기한다고 보는데, 이는 정서 조절(emotional regulation)의 이론적 설명과 관련이 있다. 주의력 결핍 문제가 있는 아동은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사회적 상황에서 압도당하는 느낌을 받게 되어 사회적 위축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다[35]. 또 다른 이론적 설명은 주의력 결핍 문제가 있는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비판과 평가에 더욱 민감할 수 있어 사회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는 점이다[35].
실제로 주의력이 낮은 아동은 사회적으로 관계를 맺는 상황에서 상대방에게 집중하지 못하고,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부적절한 대처 행동을 하게 되어 관계 형성에 있어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20]. 특히 주의력이 결핍된 아동은 사회인지 기술을 습득하기 어려워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없게 되고, 대인관계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36]. 실제로 여러 국내 선행연구들에서 아동의 주의력 결핍은 사회적 위축과 유사한 개념인 교우 유대성[37], 친사회적 행동[38], 사회적 유능성[36]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또한 관련 국외 연구들도 아동의 주의력 결핍 문제가 사회적 위축[39], 사회적 장애[40], 사회적 고립[41] 등을 야기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의 수준을 높여 사회적 위축의 수준을 높이고, 최종적으로 학교적응의 수준을 낮출 것으로 예상하고자 한다.
이상의 논의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어떻게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다양한 경로를 경험적으로 규명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의 확장에 기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전국적 대표성을 지니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표본을 활용하므로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예방 및 해소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주의력 결핍은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셋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사회적 위축은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넷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은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는가?
1. 연구설계
다음의 Fig. 1은 앞서 기술한 연구질문들을 도식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Fig. 1은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의 수준을 낮출 것이라는 첫 번째 가설,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의 수준을 증가시켜 학교적응의 수준을 낮출 것이라는 두 번째 가설,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사회적 위축의 수준을 높여 학교적응의 수준을 낮출 것이라는 세 번째 가설,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의 수준을 높이고 순차적으로 사회적 위축의 수준을 높여 최종적으로 학교적응의 수준을 낮출 것이라는 네 번째 가설을 내포하고 있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앞서 제시한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지역아동센터 3기 아동패널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은 아동권리보장원에서 전국 단위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표본을 대상으로 아동 발달 특성, 센터 특성 등을 파악하고자 구축되었다[42]. 3기 패널은 2018년 전국의 지역아동센터에서 표집된 초등학교 4학년의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조사가 시작되어 2020년까지 지속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 수행된 3기 패널의 3차 연도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은 조사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연구윤리심의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득한 후 수행되었다(IRB No. 202006-HR-수탁-002).
본 연구에서 활용한 지역아동센터 3기 아동 패널의 3차 연도 조사에는 총 578명의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이 참여하였다. 원자료로부터 본 연구의 최종 분석 표본을 선정하기 위해 학교적응 변수에 응답하지 않은 1개 사례, 주의력 결핍에 응답하지 않은 2개 사례를 제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된 분석 표본의 수는 575명이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학교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에 포함된 8개의 문항을 활용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연구진은 해당 문항들을 한국아동ㆍ청소년 패널 조사[43]에서 사용된 학교적응 척도로부터 발췌하여 구성하였다. 학교 수업이 재미있는 정도, 반에서 맡은 일을 열심히 하는 정도, 담임선생님과 이야기 하는 것이 편한 정도 등의 8개 문항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의 4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8개 문항을 평균점수로 환산하여 사용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의 수준이 높음을 가리킨다. 8개 문항 사이의 내적 신뢰도는 .822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에 포함된 문항 6개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연구진은 한국아동ㆍ청소년 패널 조사[44]를 기반으로 해당 문항들을 구성하였다. 숙제나 시험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 친구에 대한 열등감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 갖고 싶은 물건을 갖지 못해서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 등의 6개 문항에 대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있다. 본 연구의 분석에서 6개 문항의 평균점수를 활용하여 점수가 높으면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6개 문항간 내적 신뢰도는 .800이었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매개변수인 주의력 결핍을 측정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에서 7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해당 문항들은 한국아동ㆍ청소년 패널 조사[43]로부터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연구진에 의해 발췌 및 구성되었다. 칭찬을 받거나 벌을 받아도 금방 다시 주의가 산만해지는 정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실수를 하거나 사고를 내는 정도, 공부할 때 차분하게 앉아 있기 힘든 정도 등의 7개 문항에 대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의 4점 리커트 척도로 보고한다. 7개 문항의 평균점수를 활용하였고, 점수가 높으면 주의력 결핍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문항 사이의 내적 신뢰도는 .802였다.
두 번째 매개변수인 사회적 위축은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에 포함된 5개의 문항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연구진은 한국아동ㆍ청소년 패널 조사[43]로부터 해당 문항들을 발췌하여 구성하였다. 주위에 사람들이 많으면 어색한 정도, 다른 사람들에게 내 의견을 분명하게 말하기 어려운 정도, 사람들 앞에 나서기 싫어하는 정도 등의 문항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의 4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한다. 본 연구의 분석에서 모든 문항의 평균점수를 활용하였다. 점수가 높으면 사회적 위축의 수준이 높음을 가리킨다. 5개 문항간 내적 신뢰도는 .860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들[3,4]을 기반으로 다음의 통제변수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먼저, 아동의 성별과 건강상태는 각각 여자(0)와 남자(1), 건강함(0)과 건강하지 않음(1)으로 구분된 이분변수로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거주지역은 대도시(1), 중소도시(2), 읍면지역(3)으로 구성된 범주형 변수로 측정하였다. 회귀분석에서는 거주지역 중 대도시를 기준 범주로 제외하고, 중소도시와 읍면지역 범주 각각을 더미변수로 전환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정 경제수준은 ‘매우 못 산다’에서 ‘매우 잘 산다’의 7점 리커트 척도 기반의 연속변수로 측정되었다.
4. 자료분석
SPSS (Ver. 25.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다음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빈도와 평균 등의 기술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에 활용된 모든 변수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을 기반으로 주요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방법을 활용하였다. Process Macro의 Model 6은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기반으로 여러 개의 변수들의 단순 및 다중매개효과를 동시에 검증할 수 있다[45]. 본 연구는 Model 6을 사용하여 두 개의 매개변수를 분석하는 경우이므로 1단계에서 독립변수(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매개변수 1 (주의력 결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2단계에서 독립변수, 매개변수 1이 매개변수 2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3단계에서 독립변수, 매개변수 1, 매개변수 2가 종속변수(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어서 3단계의 회귀분석의 결과들을 기반으로 독립변수가 매개변수 1을 통해 종속변수에 미치는 매개효과(가설 2), 독립변수가 매개변수 2를 통해 종속변수에 미치는 매개효과(가설 3), 독립변수가 매개변수 1과 매개변수 2를 통해 종속변수에 순차적으로 미치는 이중매개효과(가설 4) 및 각각의 통계적 유의도가 산출되었다. 더해서 총효과 선택사항을 통해 매개변수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가설 1)에 대한 결과도 산출하였다. 모든 회귀분석에는 통제변수가 포함되었다. 부트스트래핑에서는 반복 표본수를 10,000개로 설정하였다.
1. 분석 표본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 활용된 모든 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가 Table 1에 정리되어 있다. 먼저, 통제변수들을 살펴보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성별은 여자가 304명(52.9%), 남자가 217명(47.1%)으로 여자 아동이 조금 더 많았다. 이용 아동의 건강상태는 건강한 경우가 537명(93.4%)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용 아동의 거주지역은 중소도시가 262명(45.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대도시 213명(36.9%), 읍면지역 101명(17.6%)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 경제수준은 최소 1점에서 최대 7점의 범주 중 평균 4.81점(SD=1.27)으로 보통인 중간 수준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주요변수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최소 1점에서 최대 5점의 범주 중 평균 2.26점(SD=0.57)으로 거의 중간 점수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아동의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은 모두 최소 1점에서 최대 4점의 범주인데, 각각 평균 2.25점(SD=0.56)과 2.44점(SD=0.71)으로 중간 수준에 가까운 점수를 보여주었다. 이용 아동의 학교적응은 최소 1점에서 최대 4점의 범주 중 평균 3.04점(SD=0.51)으로 중간 점수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모든 주요변수들의 왜도와 첨도 통계치를 기반으로 정규 분포를 위배하는 경우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주의력 결핍(r=.371, p<.001) 및 사회적 위축(r=.296, p<.001)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그리고 학교적응(r=−.299, p<.001)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용 아동의 주의력 결핍은 사회적 위축(r=.285, p<.001)과 정적으로 그리고 학교적응(r=−.403, p<.001)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이용 아동의 사회적 위축은 학교적응(r=−.310, p<.001)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2.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력 결핍 및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Table 2는 Process Macro Model 6를 활용하여 수행된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먼저, Model 6의 총효과 선택 사항을 통해 산출한 독립변수인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종속변수인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가 ‘Total effect’ 열에 제시되어 있다. 해당 회귀분석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13.098, p<.001), 일상생활 스트레스(B=−0.188, p<.001)는 학교적응에 대하여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해당 모형의 설명력은 12% (R2=.122)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면 학교적응 수준이 낮아짐을 보여주는 것으로 첫 번째 가설이 지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Process Macro Model 6를 통해 직접효과와 두 개의 매개변수들에 대한 단순 및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가 ‘Direct and mediation effects’ 열에 정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Step 1’ 열에 독립변수인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매개변수 1인 주의력 결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해당 모형의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27.180, p<.001), 설명력은 22% (R2=.223)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 주의력 결핍에 대하여 일상생활 스트레스(B=0.261, p<.001)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하면 주의력 결핍 수준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Step 2’ 열에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주의력 결핍이 매개변수 2인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해당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15.125, p<.001), 일상생활 스트레스(B=0.147, p<.001)와 주의력 결핍(B=0.306, p<.001)은 모두 사회적 위축에 대하여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해당 모형은 16% (R2=.157)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준 및 주의력 결핍의 수준이 증가하면, 사회적 위축의 수준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마지막 ‘Step 3’ 열에 일상생활 스트레스, 주의력 결핍, 사회적 위축이 종속변수인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해당 모형의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F=21.467, p<.001), 설명력은 23% (R2=.233)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 구체적으로 일상생활 스트레스(B=−0.092, p=.001), 주의력 결핍(B=−0.238, p<.001), 사회적 위축(B=−0.146, p<.001) 모두 학교적응에 대하여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주의력 결핍, 또는 사회적 위축의 수준이 높아지면, 이들의 학교적응 수준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Table 3은 Process Macro Model 6에서 3단계의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토대로 단순 및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보여준다. 먼저, 총매개효과는 −0.095 (CI= −0.126∼−0.066)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매개효과는 Table 2의 ‘Total effect’ 열에 제시된 독립변수만의 총효과 −0.188에서 모든 매개변수들을 투입한 후의 독립변수의 직접효과인 ‘Step 3’ 열의 독립변수의 값 −0.092를 뺀 값이다. 모든 매개변수들을 투입한 후에 독립변수의 영향력의 크기는 감소했으나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Table 3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단순매개효과는 −0.062 (CI=−0.087∼−0.038)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면, 주의력 결핍 수준이 높아져 학교적응 수준을 낮춘다는 두 번째 가설이 지지됨을 보여준다. 또한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사회적 위축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단순매개효과는 −0.022 (CI=−0.038∼−0.008)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러한 결과는 세 번째 가설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면, 사회적 위축 수준이 높아져 학교적응 수준이 낮아진다는 매개효과가 지지됨을 확인해준다. 마지막으로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 및 사회적 위축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는 −0.012 (CI=−0.020∼−0.005)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 같은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의 수준을 높이고 이어서 사회적 위축의 수준을 높여 최종적으로 학교적응의 수준을 낮출 것이라는 네 번째 가설이 지지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지역이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결과들에 대한 논의와 개입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나 시설 아동,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부적 관계를 규명한 선행연구들[4,13-15]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실증적 연구 결과를 한층 더 보완하고 있는데, 특히 전국적 대표성을 가지는 최신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표본을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의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아동이 저소득층에 속한다는 점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있다. 저소득가구 아동과 일반가구 아동 사이에 학령기 발달의 격차가 생겨난다는 점을 고려하면[46],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적응을 어렵게 하는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요인의 영향을 방지하는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더해서 본 연구의 결과는 스트레스 과정 이론을 기반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일상의 삶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가 학교에서의 적응력을 약화시키는 스트레스 결과물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이론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도 기여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해 이들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다루는 개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진단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의 방향을 세울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센터나 아동상담소 등과 연계하여 지역아동센터에 아동이 등록을 하면 초기 상담을 통해 스트레스를 포함한 정신건강상태를 엄밀하게 평가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지원 활동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밝혀냈다. 즉,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주의력 결핍이나 사회적 위축의 수준을 높여 학교적응을 어렵게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매개 경로는 본 연구에서 처음 규명한 것으로 아동의 스트레스와 주의력 결핍이나 사회적 위축 사이의 정적 관계를 보고한 연구들[22,28] 및 아동의 주의력 결핍이나 사회적 위축과 학교적응 사이의 부적 관계를 규명한 연구들[20,25,33,34]의 결과를 하나의 모형 안에서 경험적으로 실증하여 보완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지역아동센터의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을 통한 순차적 이중매개 경로를 확인했다는 점에 있어서도 선행연구의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즉, 스트레스 과정 이론의 설명과 같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로 인해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때 이러한 부정적 영향이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주의력 결핍이나 사회적 위축과 같은 심리정서적 매개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매개효과 분석의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부적응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이들이 스트레스로 인해 주의력 결핍이나 사회적 위축의 문제를 경험하지 않도록 하는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아동을 대상으로 주의집중 능력을 높여줄 수 있는 인지 활동 및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중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경우 대인관계에 있어 위축되지 않도록 하는 지원 프로그램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또래와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을 지도하고 실제 경험해볼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더해서 익숙하지 않은 관계나 상황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교육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개입에 있어 중요한 점은 본 연구의 이중매개효과 결과가 보여주는 것처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로 인한 학교부적응을 예방하기 위해 주의력 결핍과 사회적 위축을 낮추기 위한 개입들을 동시에 제공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로 인한 학교부적응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한계점들을 고려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주요 변수들의 관계를 설정했으나 이를 인과관계로 해석하는 것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측정도구들의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은 연구진이 직접 측정도구를 개발하지 않고 관련 연구로부터 활용했으며, 측정도 아동의 자기 보고로 이루어져 오류가 존재할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타당화된 측정도구와 측정방법을 활용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Research Fund.

Fig. 1.
Conceptual research model.
kjsr-2024-32-1-1f1.jpg
Table 1.
Characteristics of all variables (N=575)
Variable Category Range n (%) M (SD) Skewness/kurtosis DS
IA
SW
r (p) r (p) r (p)
Child gender Female 304 (52.9)
Male 217 (47.1)
Child health Good 537 (93.4)
Not good 38 (6.6)
Living area Big city 213 (36.9)
Small city 262 (45.6)
Rural area 101 (17.6)
Family economic status 1∼7 4.81 (1.27) 0.184/−0.466
Daily stress (DS) 1∼5 2.26 (0.81) 0.487/0.013 1
Inattention (IA) 1∼4 2.25 (0.56) −0.029/0.033 .371 (<.001) 1
Social withdrawal (SW) 1∼4 2.44 (0.71) −0.114/−0.366 .296 (<.001) .285 (<.001) 1
School adjustment 1∼4 3.04 (0.51) −0.159/0.216 −.299 (<.001) −.403 (<.001) −.310 (<.001)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2.
Testing for the total, direct, and mediation effects (N=575)
Variable Total effect Direct and mediation effects

Step 1: DS → IA
Step 2: DS, IA → SW
Step 3: DS, IA, SW → school adjustment
B (SE) t (p) B (SE) t (p) B (SE) t (p) B (SE) t (p)
Daily stress (DS) −0.188 (0.026) −7.251 (<.001) 0.261 (0.027) 9.705 (<.001) 0.147 (0.038) 3.827 (<.001) −0.092 (0.027) −3.486 (.001)
Inattention (IA) 0.306 (0.056) 5.507 (<.001) −0.238 (0.039) −6.139 (<.001)
Social withdrawal (SW) −0.146 (0.029) −5.107 (<.001)
Child gender −0.138 (0.041) −3.376 (.001) 0.246 (0.042) 5.797 (<.001) −0.252 (0.058) −4.364 (<.001) −0.105 (0.040) −2.628 (.009)
Child health −0.100 (0.082) −1.225 (.221) 0.353 (0.085) 4.158 (<.001) 0.138 (0.114) 1.214 (.225) 0.020 (0.078) 0.257 (.797)
Living area Small city −0.010 (0.044) −0.219 (.827) −0.003 (0.046) −0.072 (.942) 0.038 (0.061) 0.626 (.532) −0.005 (0.042) −0.122 (.903)
Rural area 0.050 (0.058) 0.861 (.390) −0.044 (0.060) −0.734 (.463) 0.127 (0.080) 1.592 (.112) 0.056 (0.055) 1.028 (.305)
Family economic status 0.037 (0.016) 2.276 (.023) −0.038 (0.017) −2.264 (.024) −0.018 (0.022) −0.813 (.417) 0.023 (0.015) 1.537 (.125)
Constant 3.353 (0.114) 29.303 (<.001) 1.714 (0.119) 14.428 (<.001) 1.582 (0.184) 8.608 (<.001) 4.070 (0.133) 30.561 (<.001)
R2 .122 .223 .157 .233
F (p) 13.098 (<.001) 27.180 (<.001) 15.125 (<.001) 21.467 (<.001)

B: coefficient, SE: standard error.

Table 3.
Bootstrapping analyses of the mediation effects
Indirect effect Bootstrap SE Bootstrap 95% CI
Lower limit Upper limit
Total −0.095 0.015 −0.126 −0.066
Daily stress → inattention → school adjustment −0.062 0.013 −0.087 −0.038
Daily stress → social withdrawal → school adjustment −0.022 0.008 −0.038 −0.008
Daily stress → inattention → social withdrawal → school adjustment −0.012 0.004 −0.020 −0.005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interval.

  •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3 support programs for community child center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3.
  •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 national statistics of community child center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2.
  • 3. Lee RH, Chang HL.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rvice usefulness in the influence of deprivation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emotional problems among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20;69(2):31-60. https://doi.org/10.24300/jkscw.2020.6.69.2.31Article
  • 4. Lee SY, Song JY. The effect of stress on depression,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olescents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019;31(1):21-43. http://doi.org/10.17927/tkjems.2019.31.1.21Article
  • 5. Kim BJ.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adaptation [master thesis]. Daejeon: Daejeon University; 2003.
  • 6. Ladd GW, Kochenderfer BJ, Coleman CC. Classroom peer acceptance, friendship, and victimization: Distinct relational systems that contribute uniquely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1997;68(6):1181-1197. http://doi.org/10.1111/j.1467-8624.1997.tb01993.xArticlePubMed
  • 7. Huston AC, McLoyd VC, Coll CG. Children and poverty: Issues in contemporary research. Child Development. 1994;65(2):275-282.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4.tb00750.xArticle
  • 8. Lee RH, Oh CM, Chae HS. The moderating effect of happiness on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n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Soonchunhyang Journal of Humanities. 2019;38(3):123-155. https://doi.org/10.35222/IHSU.2019.38.3.123Article
  • 9. Seo BJ, Kim MJ.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daily life stress on group home and teenagers from conventional families i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Largely sampled from teenagers from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2010;7(4):1-26.
  • 10. Chun DI, Oh BY. Causality between depression and stress in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Journal of Human Ecology. 2020;24(2):75-86. https://doi.org/10.36357/johe.2020.24.2.75Article
  • 11. Min HY, Kim K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nflict and child-rearing and school-aged children’s depression in low income family and non-low income family.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2007;25(6):33-41.
  • 12. Pearlin LI. The sociological study of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89;30(3):241-256. https://doi.org/10.2307/2136956ArticlePubMed
  • 13. Rho BI, Kim JY. The effect of daily stress perceived by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on school adaptation.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008;25:107-126.
  • 14. Woo SY, Park KJ.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as moderating factors for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school adjustment fo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8;30(2):113-127.
  • 15. Lee EY. The effect of life stress, the frequency of using public health centers in schools, and ego-resilience on adjustment in school life [master thesis]. P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9.
  • 16. Herman JL. Trauma and recovery. New York, NY: Basic Books; 1992.
  • 17. Middlebrooks JS, Audage NC. The effects of childhood stress on health across the lifespan.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2008.
  • 18. Jimenez ME, Wade Jr R, Schwartz-Soicher O, Lin Y, Reichman N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ADHD diagnosis at age 9 years in a national urban sample. Academic Pediatrics. 2017;17(4):356-361. https://doi.org/10.1016/j.acap.2016.12.009ArticlePubMedPMC
  • 19. Huang CC, Tan Y, Cheung SP, Hu H.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hinese college students: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1;18(4):1636. https://doi.org/10.3390/ijerph18041636ArticlePubMedPMC
  • 20. Kim JM, Song SJ.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 levels in middle school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014;25(1):5-27. https://doi.org/10.14816/sky.2014.02.72.05Article
  • 21. Lee DW, Shin JY, Choi DW, Kim KH, Park EC. Effects of household income change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Findings from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19;65(4):527-535.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19.05.003Article
  • 22. Kim Y, Hwang HJ. Influence of child’s stress on problem behavior: Centered on the resilience mediator effect according to ag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4;21(1):217-243.
  • 23. Alfonso D, Basurto K, Guilfoyle J, VanLandingham HB, Gonzalez C, Ovsiew GP, Rodriguez VJ, Resch ZJ, Ulrich DM, Soble JR. The effect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on ADHD symptom reporting, psychological symptoms, and cognitive performance among adult neuropsychological referrals.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2024;28(1):43-50. https://doi.org/10.1177/10870547231196326ArticlePubMed
  • 24. Walker CS, Walker BH, Brown DC, Buttross S, Sarver DE. Defining the role of exposure to ACEs in ADHD: Examination in a national sample of US children. Child Abuse & Neglect. 2021;112:104884. https://doi.org/10.1016/j.chiabu.2020.104884ArticlePubMed
  • 25. Choung SJ.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ster thesis]. G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5.
  • 26. Rubin KH, Coplan RJ, Bowker JC.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2009;60:141-171.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60.110707.163642ArticlePubMedPMC
  • 27. Chung HS, Cho SM, Jung SJ, Park SM. Achievements of classical instrument education at community child centers: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children, families, and communit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23;75(4):227-253.Article
  • 28. Lee YO. A study on the variables of the daily stress’s influence in view of the developmental stage on the psychological problems and environment perceived by childㆍadolescent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0.
  • 29. Choi H, Hwang SG. Pattern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social isolation in young adulthood: Evidence from South Korea.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23;153:107083.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23.107083Article
  • 30. Almuqrin A, Georgiades A, Mouhitzadeh K, Rubinic P, Mechelli A, Tognin S.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stress, interpersonal sensitivity, social withdrawal and psychosis relapse: A systematic review. Schizophrenia. 2023;9(1):22. https://doi.org/10.1038/s41537-023-00349-wArticlePubMedPMC
  • 31. Wakuta M, Nishimura T, Osuka Y, Tsukui N, Takahashi M, Adachi M, Suwa T, Katayama T.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Impacts on adult mental health and social withdrawal. Frontiers in Public Health. 2023;11:1277766. https://doi.org/10.3389/fpubh.2023.1277766ArticlePubMedPMC
  • 32. Tzouvara V, Kupdere P, Wilson K, Matthews L, Simpson A, Foye U.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mental health, and social functioning: A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Child Abuse & Neglect. 2023;139:106092.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23.107083Article
  • 33. Park BS, Bae SW, Park KJ, Seo MK, Kim HJ.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7;37(2):72-101. http://doi.org/10.15709/hswr.2017.37.2.72Article
  • 34. Lee KO, Lee MR. Effects of person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on school adjustment among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Life-span Studies. 2013;3(1):13-28.
  • 35. TherapyMantra.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and social anxiety: How they affect each other [Internet]. New York, NY: TherapyMantra [cited 2024 February 24]. Available from: https://therapymantra.co/add-adhd/adhd-and-social-anxiety/
  • 36. Shin HS.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the relation between attention problems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9;16(8):27-47.
  • 37. Choi JO.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ADHD tendency and school connectedness of elementary students.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2010;12(3):179-198. https://doi.org/10.21075/kacsn.2010.12.3.179Article
  • 38. Kim MJ, Ha EH. The mediating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ADHD symptom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3;32(2):313-330.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03Article
  • 39. Sevincok D, Ozbay HC, Ozbek MM, Tunagur MT, Aksu H. ADHD symptoms in relation to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in children: The mediating role of sluggish cognitive tempo. Nordic Journal of Psychiatry. 2020;74(4):265-272. https://doi.org/10.1080/08039488.2019.1697746ArticlePubMed
  • 40. Harkins CM, Handen BL, Mazurek MO. The impact of the comorbidity of ASD and ADHD on social impairment.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022;52(6):2512-2522. https://doi.org/10.1007/s10803-021-05150-1ArticlePubMed
  • 41. Thompson KN, Agnew-Blais JC, Allegrini AG, Bryan BT, Danese A, Odgers CL, Matthews T, Arseneault L. Do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ymptoms become socially isolated? Longitudinal within-person associations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cohort. JAACAP Open. 2023;1(1):12-23. https://doi.org/10.1016/j.jaacop.2023.02.001ArticlePubMedPMC
  • 42. National Center for the Rights of the Child. The child panel survey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Seoul: National Center for the Rights of the Child; 2021.
  • 43. Kim JK, Back HJ, Im HJ, Lee KO.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09.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0.
  • 44. Lee KS, Kim JH, Oh HS, Kim HJ.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02.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03.
  • 45. Hayes A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perspective (3r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022.
  • 46. Bradley RH, Corwyn RF.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2002;53:371-399. http://doi.org/10.1146/annurev.psych.53.100901.135233ArticlePubMed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of Mind Subtraction Meditation
      Mi Ra Yun
      Asian Oncology Nursing.2016; 16(3): 158.     CrossRef

    • PubReader PubReader
    • ePub LinkePub Link
    • Cite
      CITE
      export Copy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Effect of Daily Stress on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Mediating Roles of Inattention and Social Withdrawal
      STRESS. 2024;32(1):1-8.   Published online March 28, 2024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Effect of Daily Stress on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Mediating Roles of Inattention and Social Withdrawal
    Image
    Fig. 1. Conceptual research model.
    Effect of Daily Stress on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Mediating Roles of Inattention and Social Withdrawal
    Variable Category Range n (%) M (SD) Skewness/kurtosis DS
    IA
    SW
    r (p) r (p) r (p)
    Child gender Female 304 (52.9)
    Male 217 (47.1)
    Child health Good 537 (93.4)
    Not good 38 (6.6)
    Living area Big city 213 (36.9)
    Small city 262 (45.6)
    Rural area 101 (17.6)
    Family economic status 1∼7 4.81 (1.27) 0.184/−0.466
    Daily stress (DS) 1∼5 2.26 (0.81) 0.487/0.013 1
    Inattention (IA) 1∼4 2.25 (0.56) −0.029/0.033 .371 (<.001) 1
    Social withdrawal (SW) 1∼4 2.44 (0.71) −0.114/−0.366 .296 (<.001) .285 (<.001) 1
    School adjustment 1∼4 3.04 (0.51) −0.159/0.216 −.299 (<.001) −.403 (<.001) −.310 (<.001)
    Variable Total effect Direct and mediation effects

    Step 1: DS → IA
    Step 2: DS, IA → SW
    Step 3: DS, IA, SW → school adjustment
    B (SE) t (p) B (SE) t (p) B (SE) t (p) B (SE) t (p)
    Daily stress (DS) −0.188 (0.026) −7.251 (<.001) 0.261 (0.027) 9.705 (<.001) 0.147 (0.038) 3.827 (<.001) −0.092 (0.027) −3.486 (.001)
    Inattention (IA) 0.306 (0.056) 5.507 (<.001) −0.238 (0.039) −6.139 (<.001)
    Social withdrawal (SW) −0.146 (0.029) −5.107 (<.001)
    Child gender −0.138 (0.041) −3.376 (.001) 0.246 (0.042) 5.797 (<.001) −0.252 (0.058) −4.364 (<.001) −0.105 (0.040) −2.628 (.009)
    Child health −0.100 (0.082) −1.225 (.221) 0.353 (0.085) 4.158 (<.001) 0.138 (0.114) 1.214 (.225) 0.020 (0.078) 0.257 (.797)
    Living area Small city −0.010 (0.044) −0.219 (.827) −0.003 (0.046) −0.072 (.942) 0.038 (0.061) 0.626 (.532) −0.005 (0.042) −0.122 (.903)
    Rural area 0.050 (0.058) 0.861 (.390) −0.044 (0.060) −0.734 (.463) 0.127 (0.080) 1.592 (.112) 0.056 (0.055) 1.028 (.305)
    Family economic status 0.037 (0.016) 2.276 (.023) −0.038 (0.017) −2.264 (.024) −0.018 (0.022) −0.813 (.417) 0.023 (0.015) 1.537 (.125)
    Constant 3.353 (0.114) 29.303 (<.001) 1.714 (0.119) 14.428 (<.001) 1.582 (0.184) 8.608 (<.001) 4.070 (0.133) 30.561 (<.001)
    R2 .122 .223 .157 .233
    F (p) 13.098 (<.001) 27.180 (<.001) 15.125 (<.001) 21.467 (<.001)
    Indirect effect Bootstrap SE Bootstrap 95% CI
    Lower limit Upper limit
    Total −0.095 0.015 −0.126 −0.066
    Daily stress → inattention → school adjustment −0.062 0.013 −0.087 −0.038
    Daily stress → social withdrawal → school adjustment −0.022 0.008 −0.038 −0.008
    Daily stress → inattention → social withdrawal → school adjustment −0.012 0.004 −0.020 −0.005
    Table 1. Characteristics of all variables (N=575)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2. Testing for the total, direct, and mediation effects (N=575)

    B: coefficient, SE: standard error.

    Table 3. Bootstrapping analyses of the mediation effects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interval.


    STRESS : STRES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