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STRESS : STRESS

Sumissioin : submit your manuscript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STRESS > Volume 27(4); 2019 > Article
ORIGINAL ARTICLE
반간호사를 위한 중독예방간호 프로그램 개발
김성재orcid, 주세진orcid, 송영옥orcid, 차진경orcid, 양정운orcid
Development of Addiction Prevention Care Program for Nurses
Sungjae Kimorcid, Se-Jin Jooorcid, Young Ok Songorcid, Jin-Gyung Chaorcid, Jeongwoon Yangorcid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9;27(4):389-395.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9.27.4.389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9

서울대학교ㆍ간호과학연구소

남서울대학교

국립정신건강센터

재외한인사회연구소

경복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ㆍ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Seoul

Namseoul University, Cheonan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Seoul, Korea

The Research Center for Korean Community at Queens College, New York, USA

Kyungbok University, Pocheon, Korea

• Received: November 15, 2019   • Revised: December 12, 2019   • Accepted: December 16, 2019

Copyright: ©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1,732 Views
  • 88 Download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간호사들이 중독문제 예방에 필요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 과정은 문헌 분석과 전문가 그룹토의를 거쳐 중독예방간호의 핵심역량을 도출하였고 그 자료를 토대로 총 8개 모듈을 개발하였다. 각 모듈의 교육주제는 중독에 대한 이해, 중독의 유형, 4대 중독(알코올/ 인터넷게임‧스마트폰/도박/약물)의 예방과 간호, 대상자별 중독(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스마트폰중독, 직장인의 알코올중독)의 예방과 간호 등이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내용타당도 계수를 산출하여 교육의 질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4대중독의 예방과 의뢰 및 연계를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한 점, 중독 문제 선별의 관문에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ddiction preventing program for nurses, which will improve nurses’ general competency of preventing the addiction problem.
  • Methods:
    The develop process is in 3 steps. First, We analyzed the studies. A group of addiction experts did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drew out the core competency that is necessary to the general nurses. At the second step of the process, we developed 8 modules of addiction preventing program. For the last step, we calculated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from the expert, and the average of CVI was 0.9.
  • Results:
    Each module’s topic is; Overall understanding of addiction, Type and characteristic of addiction, Addiction preventing program with SBIRT (Alcoholism, Addiction of internet-game and smartphone, Gambling addiction, Substance addiction), and the Addiction management for internet-game and smartphone addicted adolescent, and employee’s alcoholism).
  •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educational information of the four major addiction prevention. Since nurses are the first line medical staff who is responsible for the screening,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and educate nurse.
중독이란 어떠한 물질이나 행위를 지속적으로 사용‧수행함으로써 긍정적인 효과를 얻게 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Capuzzi et al., 2014). 중독의 초기에는 대상자가 쾌감과 다행감(euphoria)을 경험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충동 조절을 하지 못하여 반복적으로 추구하는 행동을 하게 되고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 등,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Robinson et al., 2000; Capuzzi et al., 2014). 중독은 이미 문제가 발생되기 시작한 이후에 관리를 하게 되면 치료와 회복을 위해 훨씬 더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에(Lee HK et al., 2012), 예방을 위한 홍보와 교육활동은 대상자의 건강유지‧증진 뿐만 아니라 비용효용성 면에서도 매우 가치있고 의미있는 일이다.
중독의 예방이란 중독의 발생 및 확산을 줄이거나 안정시키는 제반 활동을 말한다(Larimer et al., 2004; Marlatt et al., 2005). 알코올중독의 경우 음주중독에 대한 관대한 문화로 인해 중독 초기에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면서(Chung SK, 2006), 중독자 개인은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를 갖게 되고, 사회적으로는 범죄 및 사고가 심각한 음주상태에서 발생하는 등 폐해가 유발됨을 보고하고 있다(Kim J et al., 2010). 과거 중독자에 대한 정신건강 대책은 중독환자에 대한 입원치료를 위주로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정신건강 종합대책에서는 중독문제의 1차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을 통한 정신건강 증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Barbor et al., 2005). 실제로 조기발견 및 조기 집중치료가 중독의 만성화를 방지하고 심각한 중독문제의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Volkow et al., 2005). 우리나라 정신질환실태조사(Hong JP et al., 2016)에 따르면 알코올관련 장애 추정 환자 수는 139만 명, 마약과 관련된 추정 환자 수 9만 명으로 조사되었다. 도박중독의 경우 도박자금의 마련 등의 문제로 범죄와의 관련성이 높으며, 인터넷게임과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도 점차 사회적인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4대 중독으로 알려져 있는 이 4가지 중독은 중독자 개인뿐만 아니라 그 가족과 주변 사람들에게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Yang JW, 2017).
중독의 폐해를 알코올중독을 예로 살펴보면, 알코올중독으로 인해 손상된 사회적 기능들은 쉽게 회복되지 않고 평생 장애로 남게 되는 경우가 많다(Yang JW et al., 2016). 더 나아가 이들은 행동장애나 정신장애를 겪기도 하도 성인기가 되어서도 사회생활 및 대인관계에서 적응하지 못하며, 약물남용, 범죄 행위 등과 관련된 사회 부적응자로 남는 2차 장애가 발생한다(Kim JS et al., 2001). 알코올에 대한 허용적인 우리사회의 음주문화와 거의 모든 사회적 모임에 음주가 수반되는 현상(Yang JW, 2017) 들을 감안할 때, 많은 대상자가 알코올중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예방책이 필요하다. 또한 청소년층에 만연하고 있는 인터넷(게임)·스마트폰 중독은 정상적인 발달단계 과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발생시키며(Kim EJ et al., 2008), 이들 중 일부는 현실 세계보다 가상의 인터넷 세계에 살면서 정서적으로 고립됨을 느껴 자살하는 등(Messias et al., 2011), 극단적 선택을 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유명인들을 비롯한 다양한 연령층의 도박중독 문제는 도박중독자 개인의 재정 상태를 파괴시킬 뿐 아니라(Toneatto, 2005), 도박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범죄를 저지르게 되고 주변 지인과 가족을 경제적 파탄으로 이끄는 등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 외 약물중독의 경우, 현재 우리나라가 United Nations (UN)에서 부여한 마약청정국의 지위를 유지하고는 있으나, 의료용으로 쓰이는 마약류의 오남용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Cho YS et al, 2014). 실제로 마약 관리내역을 조작하는 등의 사례 때문에 법적 처벌을 받는 사건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Yoo MS, 2018). 이에 정부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 및 통합관리시스템을 운영‧ 보고하도록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4대중독의 문제는 현재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여러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건강관리 임상 현장에 종사하는 일반간호사들은 중독의 위험요인을 가진 대상자 및 초기 중독문제를 가진 대상자들을 응급실이나 지역사회에서 일차적으로 대면할 기회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White et al., 2018). 그러나 현재까지 일반간호사들은 각 분야에서의 간호 특성으로 인해 중독의 예방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Jung HY et al., 2014). 그 이유는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첫째, 간호실무 분야에서 중독의 문제는 주로 중독의 치료와 회복에 초점을 둔 정신간호영역으로 다루어왔고, 그리하여 정신간호사, 정신건강간호사 및 정신전문간호사의 활동이라고 인식(Kwon KJ et al., 2010)되어왔기 때문이다. 둘째, 일반간호사들은 중독문제 이해를 위한 기본적인 지식, 대상자의 현재 내과적 문제에 가려진 중독문제를 선별할 수 있는 민감성 및 중독예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기 때문이다(Nordqvist et al., 2006). 중독의 심각한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모든 중독의 문제는 발생하기 이전 단계에서 예방활동이 반드시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중독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처음으로 접하는 일반간호사들이 적극적인 중독예방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중독예방간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중독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Screening, brief intervention and referral to treatment (SBIRT)는 중독증상을 조기에 스크리닝하여 그 문제 해결을 위해 조기개입하거나 적절한 기관으로 연계하는 체계(Gordon AJ et al., 2012)이므로, 이러한 과정에 따라 대상자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중독예방 교육을 통해 다양한 건강관리 분야에서 일하는 일반간호사들이 중독문제를 지닌 대상자를 선별하고, 선별된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거나, 대상자 상황이나 상태에 적합한 서비스 기관 연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독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일차적으로 접하는 일반간호사들이 중독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중독예방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간호사들이 다양한 건강관리 영역에서 중독예방 간호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중독예방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핵심 역량을 갖추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파악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개발된 중독예방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확보하여 실제 간호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일반간호사들이 중독문제를 조기발견에 발견하고 단기개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로 2014년 5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진행되었다. 일반간호사들이 중독예방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어떠한 역량들이 필요한지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책임자 외 중독간호 전공자와 실무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포커스 그룹 토의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규명된 핵심역량을 습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였고, 일반간호사의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내용을 토대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Table 1). 일반간호사들이 중독 문제를 가진 대상자들을 처음 접하게 되었을 때 문제를 인식하고 조기에 스크리닝할 수 있도록 각 중독영역의 선별검사지가 제시되어야 함을 확인함으로써 이러한 내용이 포함되도록 설계하였다. 연구 진행 절차는 Table 1에 제시하였으며, 세부 단계는 다음과 같다.
Table 1
Development process of addiction prevention care program
Step  Theme  Contents
1 Data analysis &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of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with 5 expert for addiction
2 Extracting core competency of addiction prevention care Determin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Determine the evaluation tool and running time
Consist of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3 Assurance of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Evaluating contents, time, and evaluation tool
Calculating content validity index

1) 1단계-문헌자료 분석 및 중독전문가 포커스그룹 토의

중독예방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 고찰(Jang SM et al. 2009; Alavi et al., 2012; Barata et al., 2017)을 통하여 4대 중독(알코올중독, 인터넷게임 및 스마트폰 중독, 도박중독, 약물중독)과 관련된 교육자료를 분석하였다(Cherpitel et al., 2010; Pishchulin et al., 2014). 또한 국외의 국제도박중독상담사 등 중독 관련 전문 자격제도를 조사하면서 교육과정에 포함될 내용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중독행동의 예방을 위해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또한 간호실무와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독간호 분야의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서면동의를 받은 후 포커스그룹 토의를 진행하였다. 서울소재 일개 대학교 회의실에서 2014년 5∼6월 총 3회, 매회 3시간씩 진행하였다. ‘일반간호사들이 중독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중독문제 예방을 위해서 요구되는 교육내용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토의하였다. 각 전문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전문가 1은 서울 소재 간호대학의 정신간호학 교수로 30여 년간 재직하면서 중독분야 전문인력양성 과정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고, 전문가 2는 한국중독전문가협회의 임원으로 활동하면서 중독전문가 양성교육과정을 운영하였으며, 전문가 3은 정신과 근무 경력 25년 이상의 임상 전문가로 다양한 중독 사례를 접하였고, 정신보건의료정책 자문가로 활동하였다. 전문가 4는 알코올중독 관련 지역사회복귀시설을 운영한 경험이 있으며 전문가 5는 정신간호학 중독분야를 전공하고 중독정신간호사과정을 이수하였다. 전문가들의 토의 과정을 거쳐 중독에 대한 기본적인 병리기전과 진행과정, 예방활동에 필요한 서비스 등을 분석하였다.

2) 2단계-중독예방 간호업무의 핵심역량 도출

문헌고찰과 포커스그룹 토의를 통하여 중독예방간호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교육내용을 도출하였다. 4대 중독에서 물질중독과 행위중독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중독 관리방법이 어떤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교육을 받는 대상자들이 중독문제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가 변화하였는지 측정 가능한 평가 지표들이 포함될 수 있도록 지식체를 구성하였다.

3) 3단계–중독예방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성 확보

중독예방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과 교육에 대한 평가방법, 운영시간 등 프로그램의 세부 사항을 결정하였다. 중독예방을 위해 일반간호사들이 갖추어야 하는 핵심 역량에 대해 교육내용을 작성하고, 중독분야에서 예방활동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간호 실무전문가 3인의 자문을 통하여 내용타당도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타당도 검증은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교육운영 시간, 평가방법 등에 대하여 내용타당도 계수 즉, Content Validity Index(CVI)를 산출하였다. 계수는 Likert식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매우 타당하다’ 5점, ‘타당하다’ 4점, ‘보통이다’ 3점, ‘타당하지 않다’ 2점, ‘매우 타당하지 않다’ 1점으로 산정하였다.
1. 일반간호사의 중독예방 간호에 요구되는 역량
중독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그룹 토의를 통해 일반간호사들이 중독문제에 대해 민감성을 가지고 4대 중독(알코올중독, 인터넷게임 및 스마트폰 중독, 도박중독, 약물중독)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4대 중독에 대한 지식은 물론 이러한 대상자를 어떻게 간호할 것인지에 대한 간호 술기 내용과 대상자를 어떻게 대할 것인지에 대한 태도가 모두 필요한 역량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반간호사들이 중독문제를 가진 환자들을 적절한 관리 기관으로 연계하는 것이 재발률이 높은 중독문제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결과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SBIRT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중독문제에 대하여 일차 진료를 하는 의료진이 중독 문제를 가진 대상자에게 단기중재를 비롯한 전문기관으로의 의뢰가 대상자의 건강행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다양한 연구결과(Cunningham et al., 2009; Moyer, 2013)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본 연구의 교육과정에서도 이를 적용하였다.
2. 중독예방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중독예방 간호에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은 총 8개의 학습모듈, 각 모듈별 50분으로 개발하였다. 각 모듈에서는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흥미 유발을 위한 동영상과 뉴스의 기사 등을 활용하여 주의집중을 유도하였다. 3분 이내의 흥미유발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가 관심을 갖게 한 뒤 40분 정도 캐릭터 교사를 활용하여 강의 내용을 전달하였다. 학습자들에게는 강의 모듈을 출력할 수 있도록 PDF 형식으로 강의안을 제공하였으며, 학습을 모두 마친 후에는 각 모듈 별로 10개의 문항을 제시하고 정답을 찾는 과정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이해도를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일반간호사들이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일차적으로 중독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접하였을 때 이들을 조기발견하여 필요시 단기개입이나 치료기관으로 연계할 수 있도록 SBIRT를 활용하였다. 선별검사, 단기개입, 치료의뢰 지침을 일컫는 SBIRT는 일차보건의료 현장에서 중독 증상이 있는 대상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선별하여 단기 개입하거나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의뢰하는 체계를 말한다(Oh JK et al., 2018). 개발된 교육내용에서 SBIRT를 단계별로 살펴보면 먼저 스크리닝(Screening) 단계에서 각 중독 별 선별검사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알코올문제는 한국형 알코올의존 자가진단(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이나 한국형 알코올의존 선별검사((National Alcoholism Screening Test, NAST), 인터넷과 스마트폰 관련 문제는 인터넷게임중독 관찰자척도, 인터넷중독 자기진단척도, 인터넷게임중독 공존병리척도, 스마트폰중독 자가진단척도, 도박관련 스크리닝 검사로는 도박중독선별검사(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CPGI), 한국형 South Oaks 도박선별검사 (South Oak Gambling Screen, K-SOGS), 약물오‧남용 관련해서는 약물중독 자가진단표(Korean Adolescent Drug Addiction Screening Test 2, KOADAST2), 약물남용 선별검사(Drug Abuse Screening Test, DAST)등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 단계로 단기개입(Brief Intervention)을 통해 간호를 제공하고 문제가 얼마나 감소하는지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치료의뢰지침(Referral to Treatment)은 병원을 비롯한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대상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교육내용은 크게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였는데 1영역은 「중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2영역 「4대 중독의 문제」, 3영역 「청소년과 성인직장인 대상의 중독관리」로 나누었다. 중독예방활동의 범위에 맞도록 1·2·3차 예방활동을 근간으로 하여 각 영역별 주제에 맞도록 8개의 세부 학습내용을 포함하였다. 각 영역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영역에서의 1차 예방은 ‘사용 예방(preventing initiation)’에 해당되는데, 중독문제가 발생하기 전의 예방 단계를 말한다. 중독문제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새로운 중독자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는 접근으로서 선행 위험요소의 감소, 취약성 감소 및 보호요소의 증가를 목표로 한다. 중독문제의 발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요소들을 사전에 규명하고, 중독물질이나 중독성 행위를 피할 수 있도록 개인과 환경에 변화를 시도하는 활동이 주요 골자가 된다. 이러한 활동을 위해 중독에 대한 이해, 중독의 유형별 특성, 원인과 관련 요인, 중독으로 인한 폐해 및 다양한 중독 교육 콘텐츠를 다루었다. 1영역에 해당하는 모듈 1과 2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모듈은 중독의 전반적인 이해를 주제로 중독이란 무엇인지, 그 용어 정의와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DSM-5에서 제시하고 있는 진단기준도 포함하여 학습내용을 구성하였다. 중독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요인을 설명하여 중독의 원인을 어떤 시각으로 보는지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중독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와 그에 대한 간호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일반간호사들이 중독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간호하는 상황에서, 중독의 문제가 단순히 개인의 책임이나 습관의 문제가 아니라 신경전달물질에 의한 질환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뇌의 해부생리 부분을 학습내용에 포함하였다. 2모듈에서는 중독의 분류(물질중독과 행위중독)와 특성, 공통점과 차이점을 다루면서 예방의 필요성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다.
둘째, 2영역 「4대 중독의 문제」는 2차 예방 즉, ‘조기 중재(early intervention)’에 해당한다. 중독문제를 조기에 규명하고, 해로운 영향을 감소시키며, 그 이상의 발전을 막을 수 있는 적절한 교정적 중재를 수행하는 것이다. 선별을 통해서 이미 중독행동에 관여되어 있으나, 아직은 심각한 부정적 영향들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확인된 대상자를 위한 조기 중재활동이다. 원인이 되는 물질이나 행동의 차단이 중요하며,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처능력과 생활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얻도록 도와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내용을 학습자료에 포함하였다. 자아개념의 개발, 가족관계의 개선 등을 위한 개별상담, 가족상담, 집단상담과 같은 상담치료를 위해 관련기관에 의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다루었다. 4대 중독에 대한 국가예방사업 정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자료를 수록하였으며, 치료를 위한 연계 및 의뢰 가능한 서비스 기관의 활동과 예방 가이드, 각 중독 유형별 선별 및 사정에 관한 교육 콘텐츠도 다루었다. 대상자들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검사항목을 간호사들이 알고 있어야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한국형 알코올의존 자가진단(AUDIT), 한국형 알코올의존 선별검사(NAST), 인터넷게임중독 관찰자척도, 인터넷중독 자기진단척도, 인터넷게임중독 공존병리척도, 스마트폰중독 자가진단척도, 도박중독 선별검사 CPGI, 한국형 South Oaks 도박선별검사(K-SOGS), 약물중독 자가진단표(KOADAST2), 약물남용 선별검사(DAST)의 내용과 점수해석에 대한 내용을 각 모듈의 교육내용에 추가하였다. 모듈별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모듈에서는 알코올중독, 4모듈 스마트폰·인터넷 게임중독, 5모듈 도박중독, 6모듈 마약중독을 주제로 하여 해당 중독에 대한 개요 및 국가 정책, 중독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 간호사정 및 스크리닝 방법과 간호중재, 그리고 1·2·3차 의료기관간 중독 환자 의뢰시스템 관련 세부 내용을 교육과정에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3영역 「생애주기별 특정 군(청소년기, 성인 직장인) 대상의 중독관리」는 3차 예방에 중점을 두어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즉 3차 예방은 ‘치료(treatment)’, ‘재활 (rehabilitation)’ 및 ‘재발예방(relapse prevention)에 해당되는데, 남용이나 강박적 사용의 문제 유형에 이미 연루되어 있는 대상자들의 문제가 더 이상 확대하지 않도록 하고, 악화를 예방하며,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다. 3차 예방은 전형적으로 적극적인 의료적, 심리사회적 치료를 포함하는데, 입원치료 및 재발예방 재활 프로그램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국내‧외 현황을 소개하였다. 약물치료, 심리치료, 가족치료, 사회기술훈련, 자조집단, 치료 공동체 등 적극적 예방활동에 초점을 두고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만일 선별이나 사정을 통해서 위험군으로 파악되면 적절한 치료기관에 연계하여 관련분야에 종사하는 정신간호사 혹은 정신건강간호사 및 전문치료자로부터 서비스를 받도록 의뢰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기술하였다. 모듈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생애주기별 특정 군(청소년기, 성인 직장인) 대상 중독관리」에서는 7모듈 청소년대상 인터넷게임·스마트폰 중독의 관리와 8모듈 직장인 대상 알코올중독 관리를 포함하였다. 모듈7에서는 청소년의 인터넷게임·스마트폰 중독 관리를 위한 실제 면담 사례와 스크리닝 도구를 포함하였으며, 3모듈에서 알코올중독의 전반적인 현황과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폐해에 관한 내용과 알코올중독의 선별도구 등에 대해 다루었다면, 모듈 8에서는 직장인들의 알코올중독 실태와 단계별 중재 전략을 비롯한 실제적인 중재방법(이완훈련, 전환요법 등)으로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학습자의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10개 내외의 형성평가 문항은 난이도 중에 맞추어 구성하였다. 8개 모듈의 내용은 Table 2에 제시하였다.
Table 2
Contents of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Module Subject Contents Time
Introduction to addiction Overall understanding of addiction; 1st prevention -Definition of addiction -Causes & Related factor of the addiction 50 min.
-Type and characteristic of addiction -Analysis of substance and behavioral addiction -Understanding of bad consequence for addiction 50 min.
4 addiction car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with SBIRT; 2nd prevention Alcoholism -Understanding of policy in alcoholism -Alcoholism screening test -Referring to alcoholics to the community center 50 min.
Addiction of internet-game and smartphone -Understanding of intelligent technology industry -Internet addiction test & Smart-phone addiction scale -Referral to treatment center 50 min.
Gambling addiction -Understanding of gambling industry -Alcoholism screening test -Referral to treatment center 50 min.
Substance addiction -Understanding of policy in alcoholism -Alcoholism screening test -Referral to treatment center 50 min.
Nursing practice Addiction management for each client; 3rd prevention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development stage -Addiction of internet-game and smart-phone; 50 min.
-Prevention of high risk drinking at work -Management of high risk drinking at work 50 min.

SBIRT: Screening, Brief Intervention and Referral to Treatment.

3. 교육프로그램의 타당성 확보
중독예방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교육운영 시간, 교육내용 평가방법 등에 대하여 2차례 전문가의 평가를 거쳤다. 1차 전문가 평가는 교육의 내용에 관한 것으로 중독 전문가(박사학위 소지자로 대학의 교수 이상)에게 평가를 받았다. 평가는 간호사의 역량개발이 가능한 교육인지에 대한 ‘간호역량평가’와 일반간호영역의 간호사들에게 필요한 교육에 관한 것인지를 보는 ‘임상간호평가’로 진행되었다. 내용 평가 이외에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전문가(박사학위 소지자로 대학의 교육학 전공 교수)에게 2차 평가를 받았다. 교육프로그램으로서 학습목표의 제시, 사전학습, 평가, 정리학습, 참고문헌에 대한 교육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 평가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내용타당도 계수(CVI)는 0.9로 최종 산출되었기 때문에 본 중독예방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형식은 올바르게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3).
Table 3
Contents of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Module Title Validity

CVI
1 Overall understanding of addiction 1
2 Type and characteristic of addiction 1
3 Addiction preventing program with SBIRT; Alcoholism 0.8
4 Addiction preventing program with SBIRT; Internet-game and smartphone addiction 0.9
5 Addiction preventing program with SBIRT; Gambling addiction 0.9
6 Addiction preventing program with SBIRT; Substance addiction 0.9
7 Adolescent’s addiction prevention of internet-game and smart-phone 0.9
8 Prevention of high risk drinking at work; Employee 0.8
Mean 0.9

SBIRT: Screening, Brief Intervention and Referral to Treatment.

중독은 질병으로 발전하기 이전의 예방이 중요한 질환이며(Lee SY et al., 2001), 4대 중독의 문제가 치료에 초첨이 맞춰지는 경우 사회적 비용과 의료 비용의 손실이 높기 때문에 효과적인 예방 대책이 필수적이라고 하였다(Lee HK et al., 2012). 따라서, 예방 대책의 일환으로 임상 현장에서 처음 대상자를 만나는 간호사들이 중독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가 함양되도록 교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일반간호사들은 중독문제가 근본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내‧외과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 중독에 대한 관심과 반응을 보이기보다는 당장 해결해야 하는 간호학적 문제에 우선순위를 둔다(Baik SY et al., 2019). 그러므로 중독이 원인이 되는 질환이라 할지라도 중독문제를 예방하거나 치료가 필요한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며, 중독이 가지는 부정적 신념과 태도를 가지고 대상자를 치료하게 된다(Marlatt et al., 2005).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일반간호사들에게 중독에 대한 지식과 간호에 대한 내용을 교육하여 초기에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Oh et al.(2017)의 연구와 Daly et al.(2009)의 연구에 의하면, 간호사들은 중독문제로 야기되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상 현장을 방문하는 환자들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전문가그룹 포커스그룹 토의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간호사들이나 학생간호사를 대상으로 SBIRT모형에 따라 교육한 결과 환자의 간호문제 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Koetting et al., 2017). 특히 알코올중독 문제나 약물중독의 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간호할 때 SBIRT 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Cherpitel et al., 2010; Barata et al., 2017; Mitchell et al, 2017)가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사의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SBIRT모형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므로 간호학적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독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일차적으로 접하는 다양한 임상 현장의 일반간호사들이 중독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중독예방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중독문제 예방교육에서 국내‧외적으로 이미 효과가 입증된 SBIRT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총 8개의 모듈을 각각 50분씩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므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중독 전문병원의 간호사나 중독전문간호사가 아닌 일반간호사들이 교육의 대상이므로, 4대중독(알코올중독, 인터넷게임 및 스마트폰 중독, 도박중독, 약물중독)에 대한 1차적 예방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일반적인 지식과 기술로 구성한 것은 간호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된다. 또한 일반 간호사들이 중독에 대해 부족한 지식을 보완하고 부정적인 신념과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간호사들이 4대중독자 혹은 4대중독의 위험요인을 지닌 대상자를 인식하고, 선별 및 사정을 통해 예방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각 모듈의 학습 후에는 10개의 평가문항으로 학습내용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실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중독예방 간호의 범위에 맞도록 1·2·3차 예방활동을 근간으로 하였다. ‘사용예방(prevention initiation)’에 해당하는 1차 예방은 중독문제 발생을 감소시키고 새로운 중독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예방적 접근이므로, 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일반간호사들의 중독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
추후 본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일반간호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육과정을 수정 및 보완해 나가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 이수 후 중독에 대한 지식 및 태도는 물론 간호 실무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언하다.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 1. Alavi SS, Ferdosi M, Jannatifard F, et al. 2012;Behavioral addiction versus substance addiction:Correspondence of psychiatric and psychological 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4):290-294. .PubMedPMC
  • 2. Babor TE, Higgins-Biddle J, Dauser D, et al. 2005;Alcohol screening and brief intervention in primary care settings:implementation models and predictor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6(3):361-368. doi:10.15288/jsa.2005.66.361.ArticlePubMed
  • 3. Baik SY, Cho E, Kim YA, et al. 2019;Emergency Department Nursing Activities:Retrospective Study on Data from Electronic Nursing Record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1(5):496-506. doi:10.7475/kjan.2019.31.5.496.Article
  • 4. Barata IA, Shandro JR, Montgomery M, et al. 2017;Effectiveness of SBIRT for alcohol use disorders in the emergency department:a systematic review. Wester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8(6):1143doi:10.5811/westjem.2017.7.34373.ArticlePubMedPMC
  • 5. Capuzzi D, Stauffer M. 2014, Foundations of addictions counseling. Hoboken, NJ: Pearson Education.
  • 6. Cherpitel CJ, Korcha RA, Moskalewicz J, et al. 2010;Screening, brief intervention, and referral to treatment (SBIRT):12?month outcomes of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in a Polish emergency department.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34(11):1922-1928. doi:10.1111/j.1530-0277.2010.01281.x.ArticlePubMed
  • 7. Cho YS, Lee JY, Kim HS, et al. 2014 Trends in the consumption of opioid analgesics in a tertiary care hospital from 2000 to 2012. Yakhak Hoeji 58(4):268-276. http://www.riss.kr/search/image/copy_btn.gif
  • 8. Chung SK. 2006;The influence of Korean drinking culture and perceived attitude toward alcohol on risky drink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7(2):1-16.
  • 9. Cunningham RM, Bernstein SL, Walton M, et al. 2009;Alcohol, tobacco, and other drugs:future directions for screening and interven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6(11):1078-1088. doi:10.1111/j.1553-2712.2009.00552.x|.ArticlePubMed
  • 10. Daly M, Kermode S, Reilly D, et al. 2009;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e improvement programs for nurses for the management of alcohol withdrawal in hospitals. Contemporary Nurse. 31(2):98-107. doi:10.5172/conu.673.31.2.98.ArticlePubMed
  • 11. Gordon AJ, Alford DP. 2012;Screening, brief intervention, and referral to treatment (SBIRT) curricular innovations:addressing a training gap. Substance Abuse. 33(3):227-230. doi:10.1080/02791072.2012.720169.ArticlePubMed
  • 12. Hong JP, Lee DW, Hahm BJ, et al. 2016;The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amsung Medical Center.
  • 13. Jang SM, Chun YM, Kim SJ. 2009;A Comparis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Gambling Addiction Counselors Among the U.S., Australia, and Singaper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7(1):53-62.
  • 14. Jung HY, Sung MH. 2014;Relationships among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an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29-36. doi:10.14370/jewnr.2014.20.1.29.Article
  • 15. Kim J, Chung W, Lee S, et al. 2010;Estimating the Socioeconomic Costs of Alcohol Drinking Among Adolescents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4):341-351. doi:10.3961/jpmph.2010.43.4.341.ArticlePubMed
  • 16. Kim EJ, Namkoong K, Ku T, et al. 2008;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game addiction and aggression, self-control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European Psychiatry. 23(3):212-218. doi:10.1016/j.eurpsy.2007.10.010.ArticlePubMed
  • 17. Kim JS, Park BK, Cho YC, et al. 2001 Influence of alcoholic's insight on their abstinent outcomes for one year after discharg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2(7):1052-1066. http://www.riss.kr/link?id=A19674606
  • 18. Koetting C, Freed P. 2017;Educating undergraduate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students in screening, brief intervention, referral to treatment (SBIRT) using an online, interactive simulation.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31(3):241-247. doi:10.1016/j.apnu.2016.11.004.ArticlePubMed
  • 19. Kwon KJ, Ko KH, Kim KW, et al. 2010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3):229-239. http://www.riss.kr/link?id=A82407843 .Article
  • 20. Larimer ME, Marlatt GA. 2004, Relapse prevention: An overview of Marlatt's cognitive-behavioral model. Psychosocial Treatments. pp 11-28. New York, NY: Routledge; doi:10.4324/9780203503508-5.
  • 21. Lee HK, Jeong SG, Cho KH, et al. 2012;National policy of addiction prevention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service delivery system.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22. Lee SY, Kwon JH. 2001 Impulsivity, social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communication style of adolescent internet game addic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67-80. http://www.riss.kr/link?id=A100628108
  • 23. In GA Marlatt, DM Donovan (Eds.),2005, Relapse prevention: Maintenance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addictive behaviors. New York, NY London: Guilford press.
  • 24. Messias E, Castro J, Saini A, et al. 2011;Sadness, suicide, and their association with video game and internet overuse among teens:results from the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07 and 2009.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41(3):307-315. .ArticlePubMed
  • 25. Mitchell AM, Kane I, Lindsay DL, et al. 2017;Educating Emergency Department Registered Nurses (EDRNs) in screening, brief intervention, and referral to treatment (SBIRT):Changes in attitudes and knowledge over time.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33:32-36. doi:10.1016/j.ienj.2016.12.003.ArticlePubMed
  • 26. Moyer VA. 2013;Screening and behavioral counseling interventions in primary care to reduce alcohol misuse: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9(3):210-218. .ArticlePubMed
  • 27. Nordqvist C, Johansson K, Lindqvist K, et al. 2006;Attitude changes among emergency department triage staff after conducting routine alcohol screening. Addictive Behaviors. 31(2):191-202. doi:10.1016/j.addbeh.2005.04.021.ArticlePubMed
  • 28. Oh JK, Yoon JY, Lee CS, et al. 2018 The effectiveness of the SBIRT intervention on the high-risk group of students for the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in the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22(2):113-120. http://www.riss.kr/link?id=A105677119 Article
  • 29. Oh SH, Kim DH, Lee WJ, et al. 2017;The Validity of the Triage Tool as a Method to Screen Severe Alcoholic Intoxication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8(1):54-61. http://www.riss.kr/link?id=A102956795
  • 30. Pishchulin VI, Rogacheva LI, Fokina LV, et al. 2014;Drug addiction prevention:experience of high education institute. Life Science Journal. 11(12):566
  • 31. Robinson TE, Berridge KC. 2000;The psychology and neurobiology of addiction:an incentive–sensitization view. Addiction. 95(8s2):91-117. .Article
  • 32. Toneatto T. 2005;A perspective on problem gambling treatment:Issues and challenges. Journal of Gambling Studies. 21(1):73-78. doi:10.1007/s10899-004-1925-7.ArticlePubMedPDF
  • 33. Volkow ND, Li TK. 2005;Drugs and alcohol:treating and preventing abuse, addiction and their medical consequences. Pharmacology & Therapeutics. 108(1):3-17. doi:10.1016/j.pharmthera.2005.06.021.ArticlePubMed
  • 34. White AM, Slater ME, Ng G, et al. 2018, Trends in alcohol-relate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in the United States:results from the Nationwide Emergency Department Sample 2006 to 2014.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42(2):pp 352-359. doi:1.1111/acer.13559.
  • 35. Yang JW. 2017;Effect of a Nonviolent Communication based program for alcoholic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508188 .
  • 36. Yang JW, Kim S. 2016;Integrative Review of Nonviolent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udi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3(1):36-47. doi:10.16952/pns.2016.13.1.36.Article
  • 37. Yoo MS. 2018;Narcotics Monitoring with Narcotic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93(4):313-316. doi:10.3904/kjm.2018.93.4.313.Article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Cite
        CITE
        export Copy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Development of Addiction Prevention Care Program for Nurses
        STRESS. 2019;27(4):389-39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9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STRESS :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