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STRESS : STRESS

Sumissioin : submit your manuscript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STRESS > Volume 31(4); 2023 > Article
Original Article
여성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서경현orcid
Develop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Female Smokers and Assessment of Its Impacts
Kyung Hyun Suhorcid
STRESS 2023;31(4):189-196.
DOI: https://doi.org/10.17547/kjsr.2023.31.4.189
Published online: December 28, 2023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Sahmyook University,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Kyung Hyun Suh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Sahmyook University, 815, Hwarang-ro, Nowon-gu, Seoul 01795, Korea Tel: +82-2-3399-1676 Fax: +82-2-3399-1680 E-mail: khsuh@syu.ac.kr
• Received: November 16, 2023   • Revised: December 14, 2023   • Accepted: December 14, 2023

Copyright © 2023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597 Views
  • 15 Download
  • 본 연구에서는 월경 전 증후군 증상, 체중증가 및 부정정서로 인한 스트레스를 인지행동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포함된 여성에게 특화된 금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금연 프로그램은 일반성인 집단 7명과 대학생 집단 5명에게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 12명 중 5명이 4개월 1주 동안 금연에 성공하였는데 반해 통제집단 12명 중에서는 그 기간 동안 1명만이 금연을 유지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 처치집단 참여자의 금연동기와 금연 임파워먼트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그런 변화는 3개월까지도 지속되었다. 이런 결과는 개발된 금연 프로그램이 여성 흡연자의 금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Background
    Female smokers find it challenging to quit smoking. The number of female smokers in Korea has not seen any decline. This study developed a smoking cessation program tailored for female smokers and evaluated its effectiveness.
  • Methods
    The treatment group, which was subjected to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seven adult female smokers and five female college students who smoked. The control group comprised 7 adult female smokers and 5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anted to quit smoking.
  • Results
    Of the 12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only 1 (8.3%) reported that she had maintained abstinence for 4 months and 1 week, while 5 (41.7%; 3 adults and 2 students) out of the 12 in the treatment group managed to abstain. For female smokers in this group, the motivation and empowerment to quit smoking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hese positive effects were sustained for up to 3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 Conclusions
    Female smok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at was developed as part of this study exhibited a significant abstinence rate, and their motivation and empowerment to quit smoking improv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is smoking cessation program can be clinically useful in helping female smokers quit smoking.
흡연은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가장 대표적인 단일 행동요인으로서 폐암 외에도 각종 암,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등과 같은 각종 신체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 그런데 흡연하면 남성보다 여성이 건강상 위험을 더 갖게 된다는 지적이 있다. 흡연 기간과 흡연량이 같아도 남성보다 여성이 폐암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에 더 취약하다는 것이 연구로 검증되었다[2-4]. 게다가 여성에게는 남성에게 없는 흡연에 따른 건강상의 위험요소들도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의 흡연은 자궁암이나 유방암을 유발하기도 하고[5,6], 임신부의 흡연은 태아의 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7,8].
2020년 질병관리청의 보고에 의하면 지난 20년 동안 한국 남성의 흡연율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여성의 흡연율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상승하였다[9]. 특별히 20∼40대 여성의 흡연율은 그 기간동안 두 배나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최근 국민영양조사에서 20대 한국 여성의 흡연율은 10% 내외로 조사되었지만[9], 남성 흡연자보다 여성 흡연자가 자신의 흡연행동을 설문조사에서 보고하지 않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실제 흡연율은 조사된 것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10,11]. 따라서 국민건강 차원에서 한국 여성의 흡연행동과 금연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남성보다 여성이 흡연할 경우 건강상으로 더 위험하다고 해도 여성이 금연의 필요성을 더 느끼거나 금연에 더 성공하는 것도 아니다. 여성 흡연자가 남성 흡연자보다 금연에 더 동기화가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도 있으나 덜 동기화 된 것으로 나타난 연구도 있어 금연동기의 성차를 확실히 결론지을 수는 없지만[12,13], 남성보다 여성 흡연자가 금연에 성공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려주는 여러 증거들이 있다[14,15]. 남성보다 여성 흡연자가 금연에 성공하기 힘든 이유는 그들이 금연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들이 더 다양하기 때문일 수 있다[16]. Suh [17]는 여성이 흡연하는 동기와 환경이 남성과 다르고, 남성 흡연자보다 여성 흡연자의 금연에 대한 사회지원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금연을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기 때문에, 그들의 금연을 돕기 위해 접근할 때 그런 점들을 확인하고 중재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중독을 중재할 때 남성 중독자에게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전통적 방식을 여성 중독자에게 적용하면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18]. Perkins [19]도 남성 흡연자를 위해 개발된 금연 프로그램의 중재 방식에는 여성 흡연자들이 잘 반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흡연자에게 맞춤화된 금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남성 흡연자에게 적용해 온 흡연에 대한 갈망 처리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금연을 위한 인지 재구성, 금연유지 행동의 강화 등과 같은 중재 방식들은 여성 흡연자의 금연을 위해서도 필요한 것일 수 있다. 흡연에 대한 갈망은 금연 실패, 즉 흡연 재발의 가장 강력한 예측원이라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20]. 따라서 일단 흡연 갈망을 처리하는 것이 여성의 금연 성공에도 관건이 된다. 남성은 물론 여성 흡연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니코틴 금단증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Lawless 등[21]은 금연을 위해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인지 재구성이나 행동의 강화는 금연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이고, 그것이 여성의 금연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것이기에 본 연구에서 개발할 금연 프로그램에도 포함되어야 한다[22].
그런데 여성 흡연자를 위한 금연 프로그램에만 포함되어야 할 내용들이 있다. 예를 들어 여성만이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월경 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 때문에 생긴 스트레스가 여성의 금연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PMS를 잘 다루지 않으면 금연 성공률이 낮아질 수 있다[23]. 한국의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여성 흡연자들이 PMS가 자신의 금연을 방해할 것이라고 인식할수록 금연효능감 수준이 낮았다[24]. 게다가 남성 흡연자보다 여성 흡연자가 금연에 따른 체중증가를 더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다[17]. 그리고 그런 두려움이 금연효능감을 낮출 수 있다[24]. 그렇기 때문에 여성 흡연자를 위한 맞춤형 금연 프로그램에는 금연에 의한 체중증가를 방지하는 중재가 포함되어야 한다[25]. 그리고 여성 흡연자의 금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부정정서, 특히 우울을 중재할 필요가 있다. 금연을 시도하면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적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여 우울에 빠지는 경향이 있어서 금연 성공율이 낮다는 지적도 있기 때문이다[26].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두 세 배 높고 부정정서를 해결하려고 흡연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27,28], 여성의 금연을 돕고자 한다면 그들이 경험하는 부정정서를 적절히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을 대면보다는 참여자가 자신의 신상을 숨길 수 있도록 온라인을 통해 적용하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성 흡연자가 남성 흡연자보다 금연을 하고자 할 때 사회적 지원을 잘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Briggs [29]는 그 이유를 사회적 규범을 의식하여 여성이 자신의 흡연 사실과 금연 시도를 주위 사람들에게 알릴 수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한국 여성도 사회규범 때문에 자신이 흡연하는 것을 타인에게 알려지는 것을 싫어하고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도 자신이 흡연했던 사실이 알려지는 것이기에 꺼려한다고 알려져 있다[11,17]. 따라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팬데믹으로 온라인을 통한 회의나 상담 혹은 심리치료가 많이 이루어져 참여자들도 친숙하기 때문에[30], 여성 흡연자가 자신의 신상을 숨길 수 있고 접근성이 좋은 원격 금연 프로그램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여성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은 여성 흡연자의 금연동기를 강화하고 금연 역량을 증진하여 금연행동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면서 참여자들이 금연행동을 유지하는 것뿐 아니라 금연동기, 금연효능감 및 금연 임파워먼트가 향상되는지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금연 시도나 성공에 있어서 금연동기, 금연효능감 및 금연 임파워먼트가 관건일 수 있기 때문이다[31-33].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전에 참여자들의 니코틴 의존도, 흡연유형, 체중조절을 위한 흡연동기와 체증증가가 금연을 방해한다고 인식하는 수준 및 심리적 PMS 증상과 그것이 금연을 방해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1. 연구설계
개발된 여성 흡연자에게 특화된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 설계는 Fig. 1과 같다.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처치집단과 1주일에 한 번 금연유지 점검과 간단한 금연요령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받은 통제집단 두 집단 모두에게 프로그램 시작 전 시점에서 사전검사를 하고 프로그램을 종결하는 시점에서 금연유지 점검과 사후검사를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종결한 후 3개월이 지난 시점에서는 금연유지 점검과 추후검사를 하였다. 여성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은 6명가량으로 집단을 구성하고자 하였으며, 효과 검증을 위해서 두 처치집단을 운영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 집단과 대학생 집단을 구성하여 금연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통제 집단도 성인 여성 흡연자 집단과 대학생 여성 흡연자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2. 연구대상
금연을 원하는 성인 여성 흡연자들을 모집하는 것이 쉽지 않아 수개월이 소요되었고 그 과정에서 금연 프로그램에 7명이 배정되었으며, 통제집단에도 7명이 배정되었다. 그 과정에서 각 집단에 참여자를 완벽한 무작위 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원을 각각 12명으로 계획하였기 때문에, 대학생 집단은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5명씩으로 구성하였으며 추첨을 통해 무작위로 배정할 수 있었다.
일반 성인 처치집단에 포함된 여성 흡연자들의 평균 연령은 33.71±11.90세였으며, 처음 흡연한 평균 연령은 20.14±4.30세였다. 그들의 1일 평균 흡연량은 15.71±4.50개비였으며, 그들이 흡연해 온 평균 기간은 8년 4.17개월±10년 4.78개월이었다. 이들 중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참여자는 1명이었으며, 직업 여성은 5명이었다. 일반 성인 통제집단에 포함된 여성 흡연자들의 평균 연령은 39.14±9.55세였으며, 처음 흡연한 평균 연령은 21.57±3.31세였다. 그들의 1일 평균 흡연량은 9.00±3.92개비였으며, 흡연해 온 평균 기간은 15년 2.86개월±7년 0.88개월이었다. 이들 중 3명이 배우자가 있고 2명이 자녀가 있었으며, 직업을 가지고 있는 여성은 6명이었다.
대학생 처치집단에 포함된 여성 흡연자들의 평균 연령은 19.60±1.14세였으며, 처음 흡연한 평균 연령은 17.60±1.14세였다. 그들의 1일 평균 흡연량은 17.60±3.65개비였으며, 그들이 흡연해 온 평균 기간은 1년 10.20개월±1년 3.88개월이었다. 대학생 통제집단에 포함된 여성 흡연자들의 평균 연령은 21.40±3.72세였으며, 처음 흡연한 평균 연령은 18.60±1.14세였다. 그들의 1일 평균 흡연량은 5.60±2.70개비였으며, 그들이 흡연해 온 평균 기간은 3년 1.00개월±2년 10.23개월이었다.
3. 연구절차
연구가 진행되기 전에 기관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를 받고 승인(SYU2022-08-003-002)을 얻었다. 모든 참여자에게 연구에 관해 설명을 한 후 동의를 얻고 윤리적 사항을 준수하며 연구를 수행하였다. 참여자 모집은 다양한 방식으로 하였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과 같은 SNS에 포스터와 짧은 홍보영상을 제작하여 배포하였고, 당근마켓, 금연금주나라, 간호사 대나무숲, 맘카페, 밴드 등과 같이 온라인 카페나 커뮤니티에도 포스터를 게시하였다. 또한 오픈 카카오톡 익명 채팅방을 개설하여 ‘금연’, ‘여성 흡연’이나 ‘여성 금연’ 등으로 검색하면 연결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홍보하였다. 대학 에브리타임 커뮤니티에 수시로 홍보하고 대학 전체 학생들에게 홍보메시지를 보내기도 하였으며, 연구원과 연구보조원의 지인들을 통해서도 홍보하였다.
계획한대로 금연 프로그램 진행은 개인의 신상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도록 ZOOM을 통해 이루어졌다. 일반 성인 흡연자 집단 대상 금연 프로그램은 2023년 1월 10일에 시작하였으며, 대학생 흡연자 대상 프로그램은 2023년 5월 15일에 시작하였다.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참여자들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는 온라인 구글 설문 시스템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모든 참여자에게는 개인당 총 5만원 상당의 상품 몇 가지를 사후검사 시점 및 추후 검사 시점으로 나누어 지급하였다. 그런 상품들 대부분은 금연이나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들이었다.
4. 연구도구

1) 니코틴 의존도

여성 흡연자의 니코틴에 대한 의존도는 Fagerstrom의 니코틴 의존도 검사(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를 Ahn 등[34,35]이 번안하고 타당화 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흡연량을 묻는 문항과 니코틴에 의존된 것을 나타내는 문항들을 포함해 총 여섯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위형 네 문항과 4점으로 평정해야 하는 두 문항이 포함되어 있어 척도 개발 연구에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양호했으나 내적 일치도는 낮았는데, 한국 여성 흡연자들을 대상으로 한 Suh [24]의 연구에서 문항 간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65였다.

2) 흡연유형

참여자의 흡연유형은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36]가 개발한 The Why Test로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자극추구형, 손장난형, 쾌감형, 긴장해소형, 갈망형, 습관형과 같은 여섯 가지 유형의 흡연형태를 측정한다. 각 흡연유형들은 3문항씩으로 측정하는데, 각 문항은 3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국 여성 흡연자들을 대상으로 한 Suh [24]의 연구에서는 각 흡연유형의 문항들 간 Cronbach’s α는 .67∼.81였다.

3) 체중조절 흡연동기 및 체증증가의 금연방해

여성 흡연자가 체중조절을 위해 흡연하는 정도와 체증 증가가 금연을 방해한다고 인식하는 정도는 Suh [24]가 개발한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이 질문지는 체중을 조절하기 위해 흡연하는 동기와 체증증가가 금연을 방해한다고 인식하는 것을 각각 세 문항으로 측정한다. 각 문항은 7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Suh [24]의 연구에서 체중 조절 흡연동기와 체중증가가 금연을 방해한다는 인식 문항들 간 Cronbach’s α는 각각 .80과 .88이었다.

4) 심리적 PMS증상과 금연방해

여성 흡연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PMS증상은 Halbreich 등[37]이 개발한 Premenstrual Assessment Form을 Lee 등[38]이 타당화 한 척도 문항들 중에 심리적 증상을 묻는 다섯 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Suh [24]가 PMS 증상 때문에 금연을 실패한 것으로 인식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한 세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각 문항은 7점 Likert식으로 평정하게 하였으며, Suh [24]의 연구에서 PMS증상과 그것으로 인해 금연에 방해를 받았는지를 묻는 문항들 간 Cronbach’s α는 각각 .90과 .92였다.

5) 금연동기

참여자의 금연동기는 Suh [39]가 개발한 금연동기 척도의 단축형으로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총 20문항으로 건강, 자신감의 회복, 경제적 낭비, 가족의 권유, 대인관계, 타인의 시선 및 개인적인 이유 때문에 금연하고자 하는지 묻는다. 본 연구에서는 7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형을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6점 Likert식으로 평정하게 되어 있고, Suh [24]의 연구에서 문항들 간 Cronbach’s α는 .85였다.

6) 금연효능감

참여자의 금연효능감은 Suh 등[40]이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질문지는 특정 기간(하루, 2∼3일, 1주일, 또는 평생)동안 흡연하지 않고 지낼 자신이 있는지를 묻는 문항과 금연하면 금단증상을 견뎌낼 자신이 있는지, 힘들어도 다시 흡연하지 않을 수 있는지, 금연에 성공할 수 있는 자신이 있는지를 묻는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 질문지는 총 여덟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은 7점 Likert식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Suh [24]의 연구에서 문항들 간 Cronbach’s α는 .88이었다.

7) 금연 임파워먼트

참여자의 금연 임파워먼트는 Spreitzer [41]가 개발한 Text of Items Measuring Empowerment를 Yoon [42]이 금연을 위한 임파워먼트를 측정하는 도구로 타당화 한 척도로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금연과 관련하여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성, 영향력을 측정한다. 각 요인을 세 문항씩 총 열 두 문항으로 측정하는데, 각 문항은 5점 Likert식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한국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Suh [43]의 연구에서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성, 영향력 및 전체 문항의 Cronbach’s α는 각각 .85, .76, .88, .82, 및 .87이었다.
5. 분석방법
모든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로 이루어졌다. 기본적으로 변인들의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와 척도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금연 유지, 즉 금연 성공의 차이는 교차분석으로 검증하였다.
통계분석 실행 전에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인들의 왜도와 첨도를 확인하였더니 두 집단의 변인들 모두에서 왜도가 3 이상, 첨도가 5 이상인 경우가 없어 정규성(normality)이 어느 정도 확보되었다고 판단되어 독립표본 t-test나 대응표본 t-test, 이원변량분석 같은 모수(parametric) 통계분석을 하였다[44].
6. 개발된 여성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금연 프로그램 12회기의 내용을 요약하여 Table 1에 제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첫 회기부터 금연을 하고 시작하는 것이 아니고 세 번째 회기가 진행되는 날을 금연 시작일로 정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첫 회기는 금연 7일 전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금연 프로그램에서 초점을 맞춘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참여자들에 대한 사회지원을 탐색하였다. 금연성공을 위하여 사회지원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45]. 또한 흡연 갈망 일지를 검토하며 흡연습관을 확인하게 하였는데, 이는 금연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의 기본적 접근이기 때문이다[22]. 이 프로그램에서는 음성파일을 들으며 금연심상법을 하루 두 번씩 연습하도록 하였는데, 이런 금연심상훈련이 흡연 갈망을 완화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검증되었기 때문이다[46]. 이 프로그램에서는 흡연이나 금연의 손익을 검토하며 동기를 강화하는데, 다른 중독 치료와 마찬가지로 동기를 강화하는 것이 금연성공에 관건이기 때문이다[47].
여성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에서 체중 증가를 관리하지 못하면 금연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17]. 그래서 이 프로그램에서는 식습관과 신체활동을 다루며 체중조절에 초점을 맞추면서, 감정적 식사를 확인하고, 칼로리 계산법을 소개하고 금연 식습관을 확립하게 하면서 신체활동을 증진하고 운동을 계획하게 하여 체중 증가로 금연을 포기하지 않게 하였다[25,48]. 또한 이 프로그램의 특징이 PMS 증상을 점검하고 그것에 대처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23]. PMS 증상이 있는 참여자들에게는 PMS 증상에 의한 스트레스가 어떻게 흡연을 하게 하는지를 자각하게 하고, 그들에게 PMS 식이요법을 소개하고 대처방법을 강구하게 하였다.
스트레스 때문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에서 스트레스와 관련된 정서를 확인하고, 금연 후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할지를 계획하도록 하였으며, 사고중지와 이완을 위한 호흡법과 이완법 등과 같은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적용하였다[21]. 그리고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자기대화를 검토하고 비합리적 자기대화를 합리적으로 수정하게 계획하여 스트레스를 관리하게 하였다[49]. 그리고 여성 흡연자는 우울로 인해 금연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서 스트레스로 인해 생긴 우울을 중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50].
1.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참여자 중에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금연동기, 금연효능감 및 금연 임파워먼트 외에 흡연 유형, 체중조절을 위한 흡연 및 체중증가의 우려가 금연을 방해하는 정도, PMS 및 PMS가 금연을 방해하는 정도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Table 2).
분석 결과,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체중조절을 위한 흡연 및 체중증가 우려가 금연을 방해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집단 간에는 PMS에 차이가 없었으나, PMS증상이 금연을 방해한다고 생각하는 것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통제집단보다 처치집단에 포함된 여성 흡연자들이 PMS가 자신의 금연을 더 방해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t=2.22, p<.05). 또한 두 집단 간에는 흡연유형에서 차이가 있었다. 통제집단보다 처치집단에 속한 여성 흡연자들이 자극추구형 흡연(t=3.14, p<.05), 쾌감형 흡연(t=2.76, p<.05), 긴장완화형 흡연(t=3.58, p<.01), 갈망형 흡연(t=2.71, p<.05) 및 습관형 흡연(t=2.10, p<.05) 수준이 높았다.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금연동기, 금연효능감 및 금연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금연 임파워먼트 모든 하위요인인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성 및 영향력 모두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2.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금연 성공율과 금연동기, 금연효능감 및 금연 임파워먼트의 변화
개발된 여성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흡연자들(처치집단)과 간단한 금연 요령만을 전달받은 여성 흡연자(통제집단) 간에 금연 성공율과 금연동기, 금연효능감 및 금연 임파워먼트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Table 3). 일단 금연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1주차가 지나 금연을 시작하여 종결되는 6주차 시점과 종결되고 3개월이 지난 시점까지 처치집단 12명 중에 금연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고한 사람은 5명(41.7%)이었고, 통제집단 12명 중에서는 1명(8.3%)이었다.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는 경계적 유의수준에 있었지만(2=3.56, p=.059), 임상적으로는 주목할 만한 차이다.
또한 처치집단의 경우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전과 후에 금연효능감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금연동기(t= −2.26, p<.05)와 금연 임파워먼트(t=−3.11, p<.01)에는 차이가 있었다. 처치집단에 참여한 여성 흡연자는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금연동기와 금연 임파워먼트가 강해졌다. 한편, 처치집단의 금연 임파워먼트 중에 금연 관련 의미성이나 영향력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역량(t=−2.31, p<.05)과 자기결정성(t=−2.66, p<.05)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통제집단의 금연효능감은 물론 금연동기와 금연 임파워먼트에도 사전 사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렇더라도 Table 3에서 볼 수 있듯이 통제집단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금연효능감과 금연 임파워먼트가 사전보다 사후에 약간 상승하여 금연동기, 금연효능감 및 금연 임파워먼트에 대한 집단(처치/통제)×시기(사전/사후) 이원변량분석에서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처치집단의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종결 후 3개월 정도가 지난 시점의 금연동기, 금연효능감 및 금연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지도 검증하였다(Table 4). 분석 결과, 금연효능감의 경우 사전검사와 추후검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금연동기(t=−2.94, p<.05)와 금연 임파워먼트(t=−3.15, p<.01)의 경우에는 차이가 있었다. 프로그램이 종결되고 3개월가량이 지난 시점까지 금연 유지는 물론 상승된 금연동기와 금연 역량과 자기결정성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흡연자에게 특화된 금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금연 유지와 금연 동기, 금연효능감 및 금연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여기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흡연자 여성들 중에 4개월 1주 동안 금연을 유지한 비율은 41.7%였다. 대학생 처치집단에서의 금연 유지 비율도 40.0%였다. 보건소 금연 클리닉을 찾은 한국 여성 흡연자의 6개월 금연 유지 비율은 11.3%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51]. 게다가 금연 클리닉을 찾은 1,534명의 중국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최근 Lin 등[52]의 연구에서 참여자들에 의해 보고된 3개월 금연유지 비율이 19.88%로 나타난 것을 감안하면 본 연구의 금연 유지 비율은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Lin 등[52]의 연구에 포함된 대상은 금연 클리닉에서 금연 단계에 따라 질문(ask), 조언(advice), 평가(assess), 지원(assist) 및 추적평가(arrange)와 같은 5 A와 관련성(relevance), 위험성(risks), 보상(rewards), 장애물(roadblocks) 및 반복(repetition)과 같은 5 R을 기초로 설계된 상담 회기들에 참여한 여성 흡연자들이었다[53]. 그런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서 금연유지 비율이 높았던 것은 개발한 금연 프로그램은 PMS의 심리적 증상, 체중증가 및 부정정서로 인한 스트레스를 다루는 회기가 포함되어 여성에게 특화되어 있고, 스트레스 관리와 금연동기 강화를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높게 나타난 금연 유지 비율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여성에게 특화된 금연 프로그램이 임상적으로 효용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흡연자들에게서는 금연동기도 증가하였다. 통제집단에 포함된 여성 흡연자의 금연동기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는 것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금연 프로그램이 여성 흡연자의 금연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렇게 상승된 금연동기가 여성으로 하여금 금연을 시도하게 하여 금연에 성공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53]. 그렇다면 본 연구에서 금연을 유지하는데 실패한 처치집단 참여자들도 상승된 금연동기로 인해 추후 금연 시도를 자주하여 결국 금연에 성공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여성 흡연자의 금연동기를 향상시키는 효과는 프로그램이 종결된 시점에서 3개월까지 지속된다는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금연 유지에 실패했던 참여자들도 추후 금연에 성공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흡연자들에게서는 금연 임파워먼트도 증가하였다. 특히 처치집단의 금연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에서 금연과 관련된 역량과 자기결정성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여성 흡연자의 금연에 대한 역량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개발된 금연 프로그램이 여성 흡연자가 금연을 시도하고 금연에 성공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33,43]. 또한 본 연구에서 금연 프로그램에 의해 상승된 금연 임파워먼트가 프로그램이 종결된 후 3개월까지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금연을 유지해 온 참여자들에게서 흡연이 재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금연 유지에 실패했던 참여자들이 금연을 재시도하여 성공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금연 프로그램에 의한 금연동기와 금연 임파워먼트의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 주목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금연동기와 금연 임파워먼트에 대한 집단(처치집단/통제집단)과 시기(사전/사후)의 이원변량분석을 실행해 보았는데,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처치집단의 금연동기는 금연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처치집단의 금연 임파워먼트는 사전 사후 차이가 제법 있었으나 통제집단에서도 약간의 상승이 있었기 때문에 이원변량분석에서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었던 것 같다. 그렇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할 정도의 처치집단의 금연동기와 금연 임파워먼트의 상승이 통제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금연 프로그램이 여성 흡연자의 금연동기와 금연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금연 프로그램이 여성 흡연자들의 금연 유지와 금연동기 및 금연 임파워먼트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하지만 그런 결론을 내리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금연 유지 여부는 참여자들의 보고에 의한 것이다. 단순한 보고 형태가 아닌 비교적 구체적인 금연 유지에 대한 점검을 통해 이루어졌으나 일산화탄소(CO)나 코티닌 측정 등을 통한 검사를 하지 않은 것을 감안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각적으로 금연을 하고자 하는 일반 성인 여성 흡연자 모집에 최선을 다하였지만 어려움이 있어 참여자를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작위로 배정할 수 없었다. 일찍 신청한 대상자가 있는데 프로그램의 시작을 마냥 미룰 수 없어 미리 신청한 여성 흡연자들을 처치집단에 배정하고 이후에 계속적으로 신청해 온 여성 흡연자들을 통제집단에 배정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더라도 사전에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금연동기, 금연효능감 및 금연 임파워먼트에 차이는 없었다. 셋째,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흡연량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원변량분석 결과가 유의하지 않아 흡연량을 공변인으로 하여 효과를 보정하지 못하였다. 이런 연구의 한계가 있더라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여성에게 특화된 금연 프로그램은 금연을 원하는 여성 흡연자의 금연을 돕는데 효과적일 가능성이 크다.
I would like to thank all participants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or this study.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21S1A5A2A01061307).

Fig. 1.
Research design.
kjsr-2023-31-4-189f1.jpg
Table 1.
Summary of the applied smoking cessation program tailored to female smokers
Session Modules Contents
1 Orientation and structuring program Introducing of the program and group leader/introducing the participants themselves/exploring social support for smoking cessation/setting group rules/guiding preparations for starting to quit smoking
2 Awareness of smoking behavior and identifying motivation to quit smoking Exploring the meaning of participants’ smoking, reasons for quitting smoking/identifying of smoking habits/guiding preparations one day before quitting
3 Coping with cravings Exploring the beginning of quitting and share feelings/identifying the craving/sharing own way to deal with craving/practice refusing suggestions to smoke/imagery training/guiding various coping skills
4 Enhancing motivation and somatic experience Checking maintenance of cessation and sharing feelings/enhancing motivation/learning to stretch (video)/sharing somatic experience
5 Diet and physical activity Managing eating habits/managing physical activities
6 Stress management Identifying emotions related stress/planning coping with stress/guiding stress management skills
7 Awareness of physical changes and cognitive restructuring Sharing physical feelings after applying relaxation training/sharing feelings after changing eating habits/checking self-talks and planning for alter them in stressful situations
8 Checking PMS and coping Re-checking the motivation to quit/exploring PMS symptoms and coping/guiding PMS diet and coping skills/(if there is no PMS symptom) discussing obstacles for quitting and coping
9 Negative emotion and coping Exploring negative emotions/sharing experiences of cravings or failure to quitting due to negative emotions/discussing ways to manage negative emotions
10 Alternative activities and awareness of change Planning alternative activities/sharing experiences due to changed eating habits and lifestyle habits
11 Awareness of benefits and reinforcement of quitting behavior Reconfirmation of harmful effects of smoking/reviewing various benefits of quitting/planning a 1-month quitting compensation
12 Relapse prevention of termination Sharing experiences of rewards for 1-month quitting/planning to prevent relapse/sharing impressions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closing

PMS: premenstrual syndrome.

Table 2.
Results of t-test between pre-tests of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Variables Treatment group (n=12)
Control group (n=12)
df t
M (SD) M (SD)
Nicotine dependence 4.08 (3.58) 1.92 (1.62) 22 1.91
Smoking types
 Stimulation smoking 11.33 (2.46) 8.67 (1.61) 22 3.14a)
 Handling smoking 8.50 (4.34) 5.58 (2.02) 22 2.11
 Pleasure smoking 9.08 (2.64) 6.67 (1.50) 22 2.76a)
 Relaxation/tension reduction smoking 13.83 (2.17) 10.58 (2.28) 22 3.58b)
 Craving smoking 9.83 (2.92) 6.83 (2.48) 22 2.71a)
 Habitual smoking 7.58 (2.78) 5.25 (2.67) 22 2.10a)
Smoking for weight control 2.42 (3.78) 1.58 (2.88) 22 0.61
Interference by weight gain 3.25 (4.39) 3.08 (3.42) 22 0.10
PMS 19.17 (8.23) 16.08 (7.18) 22 0.98
Interference by PMS 7.58 (4.03) 4.83 (1.47) 22 2.22a)

a) p<.05,

b) p<.01.

PMS: premenstrual syndrome,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3.
Results of t-test on motivation, efficacy, and empowerment to quit smoking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Variables Groups Pre-test
Post-test
df t
M (SD) t M (SD) t
Motivation to quit Treatment (n=12) 18.42 (6.79) 0.02 20.33 (6.16) 0.87 11 −2.26a)
Control (n=12) 18.33 (2.96) 18.00 (6.92) 11 0.09
Self-efficacy to quit Treatment 23.08 (9.61) −0.75 22.67 (10.49) −1.41 11 0.31
Control 26.17 (10.44) 28.58 (10.10) 11 −0.95
Empowerment to quit Treatment 39.33 (7.38) 0.34 42.83 (6.62) 0.31 11 −3.11b)
Control 38.25 (8.30) 41.75 (10.11) 11 −1.64
Meaning Treatment 11.33 (1.97) 1.26 12.42 (1.93) 1.44 11 −2.17
Control 10.08 (2.81) 10.92 (3.06) 11 −0.71
Competence Treatment 9.17 (3.07) 0.13 10.33 (2.39) 0.58 11 −2.31a)
Control 9.00 (3.16) 9.58 (3.75) 11 −0.72
Self-determination Treatment 9.08 (2.78) −0.14 9.83 (2.86) −0.24 11 −2.46a)
Control 9.25 (3.19) 10.17 (3.90) 11 −1.03
Impact Treatment 9.75 (2.09) −0.16 10.25 (1.91) −0.77 11 −1.32
Control 9.92 (2.84) 11.08 (3.20) 11 −1.50

a) p<.05,

b) p<.01.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4.
Results of t-test between pre-test and follow up-test of treatment group (N=12)
Variables Pre-test
Follow up-test
df t
M (SD) M (SD)
Motivation to quit 18.42 (6.79) 21.92 (6.53) 11 −2.94a)
Self-efficacy to quit 23.08 (9.61) 24.08 (10.57) 11 −0.67
Empowerment to quit 39.33 (7.38) 43.75 (7.21) 11 −3.15b)
 Meaning 11.33 (1.97) 12.08 (2.02) 11 −1.47
 Competence 9.17 (3.07) 10.67 (2.43) 11 −2.76a)
 Self-determination 9.08 (2.78) 10.17 (2.76) 11 −3.03a)
 Impact 9.75 (2.09) 10.83 (1.47) 11 −2.05

a) p<.05,

b) p<.01.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 1.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50 years of progres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2014.
  • 2. Henschke CI, Miettinen OS. Women’s susceptibility to tobacco carcinogens. Lung Cancer. 2004;43(1):1-5. https://doi.org/10.1016/j.lungcan.2003.08.024ArticlePubMed
  • 3. Haghani A, Arpawong TE, Kim JK, Lewinger JP, Finch CE, Crimmins E. Female vulnerability to the effects of smoking on health outcomes in older people. PLoS One. 2020;15(6):e0234015.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34015ArticlePubMedPMC
  • 4. King A. Cigarette smoking increases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more than in men. Nature Reviews Cardiology. 2011;8(11):612https://doi.org/10.1038/nrcardio.2011.134Article
  • 5. Groshkova T. Motivation in substance misuse treatment. Addiction Research and Theory. 2010;18(5):494-510. https://doi.org/10.3109/16066350903362875Article
  • 6. Parazzini F, La Vecchia C, Negri E, Moroni S, Chatenoud L. Smoking and risk of endometrial cancer: Results from an Italian case-control study. Gynecologic Oncology. 1995;56(2):195-199. https://doi.org/10.1006/gyno.1995.1031ArticlePubMed
  • 7. McDonnell BP, Regan C. Smoking in pregnancy: Pathophysiology of harm and current evidence for monitoring and cessation. The Obstetrician and Gynaecologist. 2019;21(3):169-175. https://doi.org/10.1111/tog.12585Article
  • 8. Tarasi B, Cornuz J, Clair C, Baud D. Cigarette smoking during pregnancy and adverse perinatal outcomes: A cross-sectional study over 10 years. BMC Public Health. 2022;22(1):2403https://doi.org/10.1186/s12889-022-14881-4ArticlePubMedPMC
  • 9.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National health statistic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cited 2022 March 9]. Available from: https://www.nosmokeguide.go.kr/lay2/bbs/S1T371C373/A/143/view.do?article_seq=794633
  • 10. Ha YM, Park KS, Choi HO, Yang SK. Self-efficacy and preparation of smoking cessation in service and sales woman smokers working in department stor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3):168-176. https://doi.org/10.5807/KJOHN.2016.25.3.168Article
  • 11. Lee SH, Suh KH. Moderate effects of gender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moking and self-concept among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6;23(2):29-45.
  • 12. Chinwong D, Mookmanee N, Chongpornchai J, Chinwong S. A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in smoking behaviors, intention to quit, and nicotine dependence among Thai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ddiction. 2018;2018:8081670https://doi.org/10.1155/2018/8081670ArticlePubMedPMC
  • 13. Etter JF, Prokhorov AV, Perneger TV. Gender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cigarette smoking. Addiction. 2002;97(6):733-743. https://doi.org/10.1046/j.1360-0443.2002.00135.xArticlePubMed
  • 14. Leventhal AM, Waters AJ, Boyd S, Moolchan ET, Lerman C, Pickworth WB. Gender differences in acute tobacco withdrawal: Effects on subjective, cognitive, and physiological measures. Experimental and Clinical Psychopharmacology. 2007;15(1):21-36. https://doi.org/10.1037/1064-1297.15.1.21ArticlePubMedPMC
  • 15. Smith PH, Bessette AJ, Weinberger AH, Sheffer CE, McKee SA. Sex/gender differences in smoking cessation: A review. Preventive Medicine. 2016;92:135-140. https://doi.org/10.1016/j.ypmed.2016.07.013ArticlePubMedPMC
  • 16. Dieleman LA, van Peet PG, Vos HMM. Gender differences within the barriers to smoking cessation and the preferences for interventions in primary care a qualitative study using focus groups in The Hague, The Netherlands. BMJ Open. 2021;11(1):e042623. https://doi.org/10.1136/bmjopen-2020-042623ArticlePubMedPMC
  • 17. Suh KH. Updates in the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of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7;12(4):695-713.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2Article
  • 18. Briggs CA, Pepperell JL. Women, girls, and addiction: Celebrating the feminine in counseling treatment and recovery. 1st ed New York, NY, Routledge; 2009 . https://doi.org/10.4324/9780203886113
  • 19. Perkins KA. Smoking cessation in women: Special considerations. CNS Drugs. 2001;15(5):391-411. https://doi.org/10.2165/00023210-200115050-00005ArticlePubMed
  • 20. Potvin S, Tikasz A, Dinh-Williams LLA, Bourque J, Mendrek A. Cigarette cravings, impulsivity, and the brain. Frontiers in Psychiatry. 2015;6:125https://doi.org/10.3389/fpsyt.2015.00125ArticlePubMedPMC
  • 21. Lawless MH, Harrison KA, Grandits GA, Eberly LE, Allen SS. Perceived stress and smoking-related behaviors and symptomatology in male and female smokers. Addictive Behaviors. 2015;51:80-83. https://doi.org/10.1016/j.addbeh.2015.07.011ArticlePubMedPMC
  • 22. Perkins KA, Conklin CA, Levine M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smoking cessation: A practical guidebook to the most effective treatments. 1st ed. New York, NY: Routledge; 2008, https://doi.org/10.4324/9780203844533.
  • 23. Reynoso J, Susabda A, Cepeda-Benito A. Gender differences in smoking cessation.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005;27(3):227-234. https://doi.org/10.1007/s10862-005-0638-2Article
  • 24. Suh KH. An exploration on predictors of female smokers’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23;28(1):227-238. https://doi.org/10.17315/kjhp.2023.28.1.012Article
  • 25. Minian N, Penner J, Voci S, Selby P. Woman focused smoking cessation programming: A qualitative study. BMC Women’s Health. 2016;16(1):17https://doi.org/10.1186/s12905-016-0298-2Article
  • 26. Frieze IH, Parsons JE, Johnson PB, Ruble DN, Zellman GL. Women and sex roles: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NY: W. W. Norton and Company; 1978.
  • 27. Kessler RC. Epidemiology of women and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3;74(1):5-13. https://doi.org/10.1016/S0165-0327(02)00426-3ArticlePubMed
  • 28. Husky MM, Mazure CM, Paliwal P, McKee SA. Gender differences in the comorbidity of smoking behavior and major depression. Drug and Alcohol Dependence. 2008;93(1-2):176-179. https://doi.org/10.1016/j.drugalcdep.2007.07.015ArticlePubMed
  • 29. Briggs CA. Gender and addiction. In Capuzzi D, Stauffer MD (Eds.), Foundations of addictions counseling. Boston, MA: Pearson; 2012, p. 101-126.
  • 30. Choi S, Kim MRH. Health psychological servi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ffects and issues of teletherap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21;26(1):1-20. https://doi.org/10.17315/kjhp.2021.26.1.001Article
  • 31. Buczkowski K, Marcinowicz L, Czachowski S, Piszczek E. Motivations toward smoking cessation, reasons for relapse, and modes of quitting: Results from a qualitative study among former and current smokers. Patient Preference and Adherence. 2014;8:1353-1363. https://doi.org/10.2147/PPA.S67767ArticlePubMedPMC
  • 32. Rajani NB, Mastellos N, Filippidis FT. Self-efficacy and motivation to quit of smokers seeking to quit: Quantitative assessment of smoking cessation mobile apps. JMIR mHealth and uHealth. 2021;9(4):e25030. https://doi.org/10.2196/25030ArticlePubMedPMC
  • 33. Khafagy GM, Mahmoud MM, Soliman SSA. Effect of patient empowerment model on smoking cessa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21;42(5):369-375. https://doi.org/10.4082/kjfm.20.0212ArticlePubMedPMC
  • 34. Fagerstrom KO. Towards better diagnoses and more individual treatment of tobacco dependence.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1991;86(5):543-547. https://doi.org/10.1111/j.1360-0443.1991.tb01805.xArticlePubMed
  • 35. Ahn HK, Lee HJ, Jung DS, Lee SY, Kim SW, Kang J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Questionnaire for Nicotine Dependenc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2;23(8):999-1008.
  • 36. Familydoctor.org Editorial Staf, Bailey L. “Why do I smoke?” Quiz [Internet]. Leawood, KS,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2004 [cited 2022 March 12]. Available from: https://familydoctor.org/why-do-i-smoke-quiz/
  • 37. Halbreich U, Endicott J, Schacht S, Nee J. The diversity of premenstrual changes as reflected in the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82;65(1):46-65. https://doi.org/10.1111/j.1600-0447.1982.tb00820.xArticlePubMed
  • 38. Lee MH, Kim JW, Lee JH, Kim DM. The standardization of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and applicability on the internet.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2;41(1):159-167.
  • 39. Suh KH. Evaluations for nicotine addiction and tests for related variables of smoking and its cessation. Proceedings of the 62nd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8 August 20-22; Korea Military Academy, Seoul, Korea; 2008. p. 129-136.
  • 40. Suh KH, Kim KH, Jun ID.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centered smoking intervention and abstention factor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8;13(3):705-726.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09Article
  • 41. Spreitzer GM.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95;38(5):1442-1465.Article
  • 42. Yoon JE. Factors affecting trying to quit smoking empowerment of women smokers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6.
  • 43. Suh KH. Predictors of female smokers’ empowerment to quit smoking cigarett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Forthcoming 2023. https://doi.org/10.1007/s11469-023-01102-1Article
  • 44. West SG, Finch JF, Curran PJ.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Hoyle RH (E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5, p. 56-75.
  • 45. Burns RJ, Rothman AJ, Fu SS, Lindgren B, Joseph AM.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moking cessation: Revisiting an established measure to improve prediction.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14;47(3):369-375. https://doi.org/10.1007/s12160-013-9558-7ArticlePubMed
  • 46. Tindle HA, Barbeau EM, Davis RB, Eisenberg DM, Park ER, Phillips RS, et al. Guided imagery for smoking cessation in adults: A randomized pilot trial. Complementary Health Practice Review. 2006;11(3):166-175. https://doi.org/10.1177/1533210106296773Article
  • 47. Lindson N, Thompson TP, Ferrey A, Lambert JD, Aveyard P. Motivational interviewing fo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9;7(7):CD006936https://doi.org/10.1002/14651858.CD006936.pub4ArticlePubMed
  • 48. Katahn M. How to quit smoking without gaining weight. 1st ed. New York, NY: W?W?Norton and Company; 1994.
  • 49. Charlesworth EA, Nathan RG. Stress management: A comprehensive guide to wellness. Rev. and update ed. New York, NY: Ballantine Books; 1985.
  • 50. Shiffman S. Relapse following smoking cessation: A situational analysi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82;50(1):71-86. https://doi.org/10.1037//0022-006x.50.1.71ArticlePubMed
  • 51. Lee DH, Lee KS, Lee AN, Ahn HJ, Lee HK, Kim HK, et al.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among women smokers based on utilizing national smoking cessation service type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1;18(12):6578https://doi.org/10.3390/ijerph18126578ArticlePubMedPMC
  • 52. Lin B, Xie L, Xie X, Yan Y, Zhang L, Xiao L. Predictors for quitting smoking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among female smokers in China. Tobacco Induced Diseases. 2023;21:26https://doi.org/10.18332/tid/159132ArticlePubMedPMC
  • 53. Alkan O, Demir A.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quit among women smokers in Turkey.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20;21(11):3309-3315. https://doi.org/10.31557/APJCP.2020.21.11.3309ArticlePubMedPMC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ePub LinkePub Link
      • Cite
        CITE
        export Copy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Develop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Female Smokers and Assessment of Its Impacts
        STRESS. 2023;31(4):189-196.   Published online December 28, 2023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STRESS :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