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STRESS : STRESS

Sumissioin : submit your manuscript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STRESS > Volume 28(3); 2020 > Article
Original Article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조연재orcid
stress 2020;28(3):167-177.
DOI: https://doi.org/10.17547/kjsr.2020.28.3.167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0

동아대학교 간호학부

College of Nursing,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Yeonjae Jo College of Nursing, Dong-A University, 32 Daeshingongwon-ro, Seo-gu, Busan 49201, Korea Tel: +82-51-240-2823 Fax: +82-51-240-2695 E-mail: wscho@dau.ac.kr
• Received: August 18, 2020   • Revised: September 7, 2020   • Accepted: September 7, 2020

Copyright © 2020 by stress.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rev
  • 2,872 Views
  • 230 Download
  • 본 연구는 보건의료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질적 연구를 활용한 방법론적 연구로, 간호대학 교수와 대학병원 간호사의 전문가 10명과 파일럿 테스트를 위해 간호학과 학생 5명이 참여하였다. 환자, 의사, 보험심사과 직원 및 수간호사와의 의사소통 상황을 연속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의견 조사와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시나리오 내용의 적절성과 수준, 흐름, 교육 목표, 학습자 활동, 평가 도구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의사소통 지식과 자신감, 교육 만족도를 높였으므로, 실습을 통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 효능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imulated educational program on conflict management communication skill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imulated program on nursing students.
  •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qualitative and made use of surveys to gather data. Study participants included four professors from different nursing colleges, six registered nurses from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and five 4th year students from a nursing college.
  • Results
    A simulated conflict management program scenario was developed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y presenting four consecutive situations involving a patient, doctor, insurance review staff, and head nurs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cenario content, flow, level of the scenario, educational objectives, learner activities, and evaluation tools were verified through expert opinion surveys and pilot tests. This simulated communication program enhanced students’ knowledge and confidence, cultivated communication skills, and provided educational satisfaction by creating an opportunity for them to integrate and apply their knowledge about communication through experiencing communication conflict situations that occur frequently in clinical practice.
  •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imulated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can contribute to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in terms of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1. 연구의 필요성
환자 안전을 유지하고 증진하며, 환자 중심 간호를 실현하는데 있어 보건의료분야에서 의사, 간호사, 기타 의료 종사자 간의 협력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필수적인 요인이다(Oza et al., 2017). 미국보건의료조직 공동위원회의 보고에 의하면 환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사건의 약 65%가 의사소통 오류에 기인하였으며(Kesten, 2011), 미국의료기관을 평가하는 Joint Commission에 따르면 병원 의료 사고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가 의료전문직 간 의사소통의 부족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Lee, 2015). 호주 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병원에서 발생한 예방 가능한 의료 사고의 약 11%가 전문직 간 의사소통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Wilson et al., 1995). 보건의료분야 전문직 간 의사소통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전문직 간 갈등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서울 소재 대학병원의 의사 76.6%와 간호사 96.7%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전문직 간 갈등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하였으며(Lee et al., 2014), 일개 대형병원의 경우 전문직의 80% 이상이 년 1회 이상 전문직 간 갈등을 경험한다고 보고하였다 (Choi et al., 2008). 전문직 간 갈등은 환자와 의료 종사자 간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중요한 의사 결정을 방해하여 궁극적으로 환자들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다 (Lee et al., 2014).
환자를 중심으로 하는 최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문직 간 효과적인 협력과 소통이 핵심적이고 (Kim et al., 2017), 이를 위해서 전문직 간 의사소통 기술이 강조되고 있다(Kim et al., 2019). 미국 68 개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5%가 전문직 간 의사소통 교육을 받았고 그로 인해 의사소통 능력과 전문직 간 협력 수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Greer et al., 2014; Balogun et al., 2015). 국내 간호교육 분야에서도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인간심리와 상담’과 ‘인간관계와 의사소통’강의를 전공과목으로 채택하여 SBAR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 나 전달법과 같은 의사소통기술을 교육하고 있다. 환자 상태에 대하여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 틀인 SBAR (Leonard et al., 2004)와 자기주장 행동 관련 자신의 욕구, 생각, 느낌 등을 나를 주어로 솔직하게 전달하는 나 전달법(Choi et al., 2008)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유용한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간호교육 과정에서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어, 간호대학을 졸업한 후 임상 현장에 배치된 신규간호사들이 전문직 간 갈등 상황에 대하여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Thomas et al., 2009). 따라서 간호학생의 전문직 간 의사소통 역량을 개발하고 함양시키기 위하여 간호 교육과정에서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교육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문직 간 의사소통 교육을 통해 간호학생은 자신의 생각과 지식을 공유하고, 다학제 팀 내에서 다른 전문직과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환자 간호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 방법은 실수가 허용되는 안전한 환경에서 학생들을 현실과 유사성이 높은 상황에 노출시킴으로써 상황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방법으로 의사소통, 협력, 조정, 팀워크 등의 비기술 술기와 기술 술기를 병합한 교육 방법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것이 용이하다(Ironside et al., 2009). 국외 간호대학은 전문직 간, 간호사 간 의사소통 기술을 역할극과 시뮬레이션 형태로 교육하고 있다(Berkenstadt et al., 2008; Thomas et al., 2009; Kesten, 2011; Ozekcin et al., 2015). 국내에서는 의료진 간의 협력을 주제로 시뮬레이션 교육방법을 활용한 교육과 연구가 제한적으로 수행된 것에 비해, 국외에서는 의사와 간호사의 팀 내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Maxson et al., 2011), 응급실 의사와 간호사의 환자와 의료진 간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시뮬레이션 교육(Sweeney et al., 2014) 등이 시행되었다. 실제 임상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들은 의사와 간호사뿐만 아니라 보건의료팀 내 다른 전문직과의 의사소통까지 포함되는 데 반해, 다양한 전문직 간 의사소통 상황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거의 없으며, 간호학 교육에서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대한 연구도 아직 소수에 불과하다(Kim et al., 2016; Ha et al.,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퇴원 환자 관련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학 실습에서 갈등관리 영역 의사소통 교육전략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효과적으로 실습 교과목을 운영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 실습에서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주제의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학 교육과정과 학습목표에 근거하여,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퇴원 환자 관련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Table 1).
2. 프로그램 개발 절차

1) 시나리오 개발 단계

(1) 시나리오 주제 선정
간호학 교육과정과 학습목표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주제를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간호대학교수와 대학병원 임상간호사로 구성된 전문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전문가위원회와 함께 간호학 교육과정과 학습목표를 살펴보고 시나리오로 구성이 가능한 영역을 선별하였다. 갈등관리 의사소통은 간호관리학의 7개 분야 중 지휘 분야의‘의사소통’, ‘갈등관리’ 영역에 해당한다고 판단되어, 이 영역을 포괄하여 교육할 수 있고, 임상간호사의 의견에 따라 임상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갈등사례를 선택하여 ‘퇴원 환자 관련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2) 시뮬레이션 설계
시뮬레이션 교육을 설계하는 데 있어 명확한 학습목표, 학습자가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시뮬레이션의 충실도와 문제해결,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교육을 위한 충분한 단서 제공, 반영적 사고 과정 등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Jeffries, 2007). 따라서 시뮬레이션 설계에는 학습목표, 충실도, 문제해결, 해결 단서, 디브리핑이 포함되어야 한다(Jeffries, 2007).
① 시나리오 개요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학생용 시나리오 개요에는 학습목표, 학습자, 상황 등을 제시한다. 본 ‘퇴원 환자 관련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상황의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연구에서 학습자의 학습목표는 ‘대상자에게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하고, 전문직 간 의사소통에서 효과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로 명확한 학습목표를 제시하였다.
② 시나리오 진행
시뮬레이션에서 학습자는 독자적으로 의사소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가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상황을 직접 확인하고 집중할 수 있도록,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형식을 토대로 시간, 표준화 환자 행동, 기대되는 의사소통, 단서 등을 포함하여 시나리오의 진행 과정을 구성하였다(Jeffries, 2007). 학습자들이 시나리오의 가상 상황에 몰두할 수 있고, 실제 병원에서의 상황을 현장감 있게 구성하기 위해 표준화 환자를 이용하였으며, 사전 브리핑 10분, 시뮬레이션 운영 15분, 디브리핑 35분으로 시간을 구성하였다.
시나리오 내용은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의 지식 정도와 기술 수준을 고려하여 교과목과 임상실습에서 학습하고 경험할 수 있는 상황으로 구성하였다. 시나리오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학습자에게 단서를 제공하여 의사소통 갈등 상황을 직접 확인하고 상황에 집중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시나리오에서는 표준화 환자(환자, 의사, 심사과 직원, 수간호사)의 목소리나 표현을 통해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상황을 인지하고 스스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해 나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③ 디브리핑
디브리핑은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후 수행한 활동에 대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느낀 점을 공유하는 반영적인 사고과정으로(O’Daniel et al., 2008), 시뮬레이션 실습 후 학생들의 반영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제공하였다. 시뮬레이션 활동 후 학습자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간호 수행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들어보고, 수행 활동에 대하여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요약 검토하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2)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내용타당도 검증

개발된 시나리오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간호관리학 교수 3인, 시뮬레이션 실습 담당 교수 1인, 임상간호사 6인에게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내용 타당도 평가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본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내용과 운영과정의 적합성을 4점 척도로 ‘전혀 적합하지 않다’ 1점, ‘매우 적합하다’ 4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0.80 이상인 문항을 채택하고, 개방형 자문 의견을 반영하여 시나리오를 수정 보완한 후 전문가 확인을 거치는 과정을 지속하면서 시나리오와 평가도구를 보완하였다. 특히 현장과의 유사성, 신뢰성을 높이고 최신 임상 실무를 반영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임상 근무경력 5년차 이상의 임상 간호사 6인을 전문가위원으로 선정하였다. 임상 간호사들은 자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동의한 후 현재 병원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갈등 상황과 퇴원관리 절차의 유사성, 의사소통 전략의 적절성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점검하였다. 수정 보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다시 간호관리학 교수 3인, 시뮬레이션 실습 담당 교수 1인, 임상간호사 6인에게 공유하여 재확인을 거쳐 최종 교육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3)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파일럿 테스트

(1) 연구참여자
개발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파일럿 테스트 참여자는 일개 지역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간호학생으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한 자이다. 연구참여자는 목적 표집법과 눈덩이 표집법으로 모집하였다.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파일럿 테스트 참여를 자발적으로 원하고 파일럿 프로그램을 참여한 경험과 보완 의견을 상세하게 이야기해 줄 수 있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으로 목적 표집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면담과 분석을 동시에 순환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파일럿 테스트 참여자는 총 5명이다.
(2) 표준화 환자 훈련
본 연구의 시나리오에 적합하고 참여가 가능한 전직 간호사 4명을 선정하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맞도록 사전 훈련을 시행하였다. 표준화 환자 훈련 대본을 제공하고, 사례 개요를 설명한 후에 연구자와 함께 시나리오를 읽으며 시나리오의 맥락을 파악하도록 하였고, 시나리오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 대한 질문과 특정 질문 및 특정 상황에 대한 대처 요령에 대한 주의 사항을 안내하였다.
(3) 연구 도구
자료수집은 2020년 8월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파일럿 테스트와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파일럿 테스트와 초점집단면접은 약 2시간이 소요되었고, 파일럿 테스트와 초점집단면접은 1회 시행되었다. 파일럿 테스트와 면담은 연구자가 진행하였으며, 면담 진행자는 참여자들과 직접적인 이해가 없는 관계였다. 면담 장소는 참여자들의 접근성이 좋고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회의장소를 대여하였으며, 면담 진행자는 참여자들이 긴장하지 않고 집중할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한 후 초점집단 면접은 디브리핑과 연결하여 진행하였다. 면담 진행자는 면담 중 주요한 진술을 요약 후 재확인하여 참여자들의 진술 내용을 확인하였다.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모든 파일럿 테스트 진행과정과 면담 내용은 음성 녹음기 2대를 이용하여 녹음하였다. 파일럿 테스트와 면담 중 참여자의 비언어적 단서, 면담 상황, 연구자의 생각과 느낌 등을 면담 직후 간략하게 현장 노트로 작성하였다. 연구자는 각 면담 종료 2일 이내 녹음된 내용을 필사하였다.
3. 자료수집 방법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 후, 2020년 8월에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한 대상자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였다. 또한 대상자에게 익명성 보장의 원칙, 수집된 자료의 연구 이외 타 목적의 사용 불가 원칙, 연구 참여로 인한 불이익이 없음을 고지하고, 대상자가 참여를 원하지 않는 경우 언제든지 철회가 가능하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이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연구 참여 동의서에 참여자들의 서명을 받은 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파일럿 테스트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후 대상자에게 소정의 사례비를 지급하였고 작성된 동의서는 별도 회수하여 잠금장치가 있는 보관함에 보관하였다.
4. 자료분석 방법
자료수집 과정에서 순환적으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면담 진행자인 연구자가 녹음 내용을 직접 필사하였으며, 녹음 내용을 반복 재생하여 참여자의 언어가 정확하게 필사되었는지 확인하였다. 필사된 면담 자료는 주제 분석, 교차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코딩 초기 단계에서 필사된 내용을 줄 단위로 분석하며 참여자들의 경험과 의견을 이해하고, 자료 간의 유사성 및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범주화하였다. 순환적 분석 작업에서 수집된 자료로부터 도출된 범주를 확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주제 분석을 통해 코딩과정에서 부여한 코드로부터 특성을 탐구하며 참여자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분하였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진행되었다(IRB No. 2-1040709 AB-N-01-202008-HR-034-02). 참여자들은 면담 시작 전 면담의 목적, 방법 그리고 녹음기 사용까지 안내된 설명문을 받고, 자필로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면담 내용을 저장한 녹음 파일과 필사된 자료는 익명성 보장을 위해 연구참여자 정보를 코드화하여 저장하였다. 연구 자료는 연구자 컴퓨터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저장함으로써 타인이 접근할 수 없도록 조치하였다. 연구자는 녹음 파일을 포함한 모든 연구 자료는 연구결과 보고와 발표 후 완전히 폐기할 것을 참여자들에게 약속하였다.
1. 시나리오 개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나리오 주제는 ‘퇴원 환자 관련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으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주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시나리오 운영은 시나리오 개요 설명 10분, 시뮬레이션 운영 15분, 디브리핑 시간 35분이 소요되도록 구성하였다.
시나리오 개요는 고령의 노인 환자가 폐렴 진단을 받고 내과 병동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은 후 폐렴 증상이 호전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인실 생활 불편감으로 인한 수면장애를 호소하며 당일 퇴원을 독촉하고 있는 상황이다. 간호사는 지난 3일 간 수면 장애 관련 간호 중재를 수행하였으나, 수면 상태는 개선되지 않았으며, 금일 오전, 환자가 간호사에게 갑작스러운 퇴원수속을 요구한다. 환자는 퇴원할 것을 일방적으로 통보한 후 퇴원 절차가 신속하게 진행되지 않는 것에 불만을 제기하고 간호사에게 퇴원 독촉을 하는 상황에서 간호사는 적절한 대처와 함께 환자에게 치료적 의사소통을 하도록 한다. 이어 연락이 닿지 않던 의사가 병동을 급히 지나가는 모습을 발견하고 간호사는 SBAR를 이용하여 환자 상황을 설명하며 퇴원 결정을 위한 환자 면담을 요청한다. 환자의 불만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의사의 퇴원 처방이 입력되자, 간호사는 심사과 직원에게 전화하여 신속한 환자 퇴원 심사를 요청하지만, 업무가 밀려있던 심사과 직원은 병동 간호사의 요청에 불만을 토로한다. 이 상황에서 간호사는 적절히 대처하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본 시뮬레이션은 간호학생 1인이 15분 내에 환자, 의사, 심사과 직원과의 갈등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치료적 혹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끝으로 수간호사에게 환자 퇴원 관련 보고를 하는 것으로 마무리하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종료하고 나서 학생들에게 시뮬레이션 실습과 관련한 디브리핑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시나리오에 등장하는 의사소통 대상자의 성별, 나이, 신분 등은 다양하게 배치하였으며, 의사소통의 기본 요소인 눈 맞추기, 적절하면서도 친절한 말투와 태도는 시나리오에서 학생들이 반복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환자와 간호사, 의료진 포함 전문직 간 상호작용 속에서 치료적이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요구하는 통합적인 상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최종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과 평가 도구는 Table 2, Table 3과 같다.
2. 전문가 평가 결과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전문가 면담에서 전문가들은 본 시나리오와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내용, 흐름, 난이도, 운영, 평가 측면에서 잘 구성되어 있고 타당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환자뿐만 아니라 의사, 심사과 직원, 수간호사 등의 다양한 전문직 인력과의 의사소통 상황을 환자퇴원관리라는 주제로 잘 연결시켜 학생들의 환자퇴원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퇴원과정에서 다양한 전문직 인력과의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점을 이해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 전문가(교수) C: 환자, 의사, 심사과, 수간호사와의 의사소통으로 이어지는 상황은 학생들의 퇴원과정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향상시키고, 퇴원과정을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인력들과의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점을 이해시킬 수 있어, 이 시나리오의 큰 장점이라고 판단합니다. 좋은 시나리오가 개발되었고, 학생들 교육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전문가(간호사) F: 임상에서 일하고 있는 간호사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본 의사소통 시나리오는 매우 현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임상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일들과 대화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적절한 예시와 부적절한 예시를 통해 임상 간호사에게도 의사소통 관련 교육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1) 시나리오 구성 측면
개발된 시나리오의 구성 관련 전문가들이 제시한 의견은 시나리오의 내용, 시나리오의 흐름, 시나리오의 수준에 관한 것으로 구분되며, 전문가들은 시나리오의 내용(상황), 상황의 흐름, 교육대상을 기준으로 한 시나리오 수준이 타당하다고 평가하였다.
(1) 시나리오 내용의 타당성
항목별로 전문가들의 검토의견을 제시하면, 먼저 시나리오의 내용과 관련해서 전문가들은 시나리오의 내용이 ‘매우 타당하다’ 6명, ‘타당하다’ 2명으로 전반적으로 타당하다고 평가하였다.
∙ 전문가(교수) C: 전반적인 시나리오 내용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 전문가(간호사) H: 간호현장에서 빈번히 일어나는 간호사와 대상자, 타 직종간의 갈등 상황을 사실적으로 정확하게 묘사하였습니다. 타당하다고 판단합니다.
시나리오 내용과 관련한 보완 의견으로는 간호사와 환자, 보호자, 의사, 심사과 직원, 수간호사와의 5 종류의 의사소통 상황이 1개의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루기엔 많으므로 보호자와의 소통 상황을 삭제하고, 각 상황의 적절한 대화 예시를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화체로 수정할 것을 제안 받았다.
∙ 전문가(간호사) G: 보호자의 역할이 다소 애매해보이므로, 보호자와의 상황은 수정하거나 생략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전문가(교수) C: 상황의 적절한 대화 예시 중 일부가 조금 어색하고 현장에서 타 직종 전문가에게 직접 말하기에 비현실적인 표현이 있습니다. 수정하면 좋겠습니다.
(2) 시나리오 흐름의 적절성
시나리오 내 상황의 흐름과 관련해서 전문가들은 시나리오의 내용 흐름이 ‘매우 적절하다’ 5명, ‘적절하다’ 2명, ‘적절하지 않다’ 1명으로 전반적으로 적절하다고 평가하였다. ‘적절하지 않다’는 평가는 시나리오 초안에서 상황의 마무리를 간호사가 환자에게 가서 퇴원간호 교육을 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었으나, 퇴원간호 교육을 하는 것보다 의사소통 시뮬레이션이라는 주제에 적합하게 수간호사에게 상황을 보고하고 마무리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시나리오의 마무리는 간호사가 수간호사에게 보고하는 상황으로 수정하였다. 또한 시나리오 초반에 포함되어 있던 간호사와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은 치료적 의사소통 상황이 아니므로 시나리오 흐름에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을 수용하여 보호자 관련 소통 상황은 삭제하였다.
∙ 전문가(교수) B: 간호사가 퇴원관련 안내를 하는 것보다 간호사가 수간호사에게 상황을 정리해서 보고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는 것이 의사소통 시나리오의 흐름상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 전문가(교수) C: 보호자와의 상황은 보호자의 돌발적인 행동으로 치료적 의사소통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됩니다. 적절한 대처에 대한 교육 필요성에는 동의하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나리오에서는 1개의 시나리오에 1가지 맥락을 포함하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됩니다.
시나리오의 마무리 수정과 보호자와의 소통 상황 삭제 외 전문가들은 본 시나리오의 흐름이 적절하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실제 병원의 퇴원 절차 순서에 따라 시나리오가 전개되며, 환자의 퇴원과 관련하여 간호사가 소통해야 하는 대상자들의 순서 또한 적절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 전문가(간호사) F: 실제 병원의 퇴원 절차 순서에 따라 시나리오 흐름이 진행되어 적절하다고 봅니다. 실제 임상에서 환자와의 갈등, 환자 변동 상항에 대한 담당의사 보고 관련 갈등, 심사과와 원무과와의 갈등의 순서로, 임상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의사소통 문제를 현실적이고, 충분히 가능한 흐름으로 구성하였다고 생각합니다.
(3) 시나리오의 수준
교육 대상자를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시나리오의 수준이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매우 적절하다’는 5명, ‘적절하다’는 3명이었다. 전문가들은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의 경우 간호관리 교과목에서 ‘입퇴원관리’ 부분을 선행 학습하였고, 임상실습 경험도 있으므로, 불만 환자, 퇴원 환자, 타 부서 전문직 간의 갈등상황이 다소 난이도가 높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으나, 도전해볼 수 있는 수준이라고 평가하였다. 특히 임상 간호사인 전문가들은 현재 간호학과 4학년 학생들의 경우 졸업 후 곧 임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빈번한 관계 갈등 상황에 대해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현실감 높은 시나리오이므로 필요한 교육이며 병동에 배치된 신규간호사에게도 필요한 교육으로 평가하였다.
∙ 전문가(간호사) E: 불만 환자, 퇴원 환자, 타 부서 직원과의 갈등 시 의사소통 대처로 구성된 본 시나리오는 학생으로서 난이도가 높을 수 있으나 꼭 필요한 교육이라고 생각하며, 병동에 배치된 신규간호사조차도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만큼 신규간호사도 이러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임상에 투입되기 전 다양한 의사소통 갈등 상황을 경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이 적절하게 교육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고 생각합니다.
2) 프로그램 운영
개발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전문가들이 제시한 의견은 교육 요점, 학습자 활동, 평가 도구의 적절성에 관한 것으로 구분되며, 전문가들은 교육 요점과 학습자의 활동, 학습자에 대한 평가 도구를 적절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1) 교육 요점의 적절성
전문가 8인 중 1인 ‘적절하다’를 제외한 나머지 7인은 ‘매우 적절하다’라고 평가하였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치료적, 효과적, 주장적 의사소통 지식을 대상과 상황에 적합하게 응용할 수 있는 교육으로 구성되어 교육의 요점이 적절하게 정리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의사소통 시나리오 초안에 포함되어있던 수면장애 관련 간호중재 지식과 이행 교육은 전문가의 조언을 반영하여 제외하였다.
∙ 전문가(교수) B: 본 시뮬레이션은 의사소통 교육을 중점으로 하는 만큼 수면장애 간호중재 교육은 생략하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됩니다.
∙ 전문가(간호사) H: 간호사의 치료적 의사소통, 전문직 간 SBAR, 나 전달법 등 간호 현장에 적용해야 될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학습하는 활동으로 교육 요점이 분명하고 적절하다 판단됩니다.
(2) 학습자 활동의 적절성
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의 활동의 적절성은 ‘매우 적절’이 7인, ‘적절’이 1인이었다. 자기주장적 의사소통 기술과 SBAR 형태의 소통 기술이 적절하게 혼합되어 있어 학습자에게 유익할 것으로 예상되며, 학습자 활동의 경우 활동의 주체와 대상, 활동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보완 의견이 있어 최종안에 이를 반영하였다.
∙ 전문가(간호사) F: 각 단계별 학습자가 해야 할 활동은 마주하는 대상자에게 그 상황에서 꼭 해야 하는 의사소통으로, 학습자는 이러한 구체적 의사소통을 세분화하여 상황별로 연습함으로써 임상에서 마주하게 될 다양한 역할들에 대해 미리 경험해보고, SBAR, 나전달법 등을 훈련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겠습니다.
(3) 평가 도구의 적절성
평가 도구와 관련하여 전문가들은 개발된 평가 도구가 ‘매우 적절하다’ 5명, ‘적절하다’ 3명으로 전반적으로 적절하다고 평가하였다. 평가도구 항목은 필요 내용이 모두 포괄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유사한 평가 항목은 통합하여 평가 항목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모호한 평가 기준은 명료하고 구체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반영하여 최종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 전문가(교수) C: 평가도구의 항목은 필요한 내용이 포괄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단 유사한 항목은 한 항목으로 합쳐서 평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전문가(간호사) E: 학생들을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이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시나리오에서 일어나는 모든 언어,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비언어적 메시지 평가 항목의 평가기준은 명확하게 변경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3) 보완 제언
시나리오 내용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운영 관련 의견 외 전문가들은 지침 작성 시 유의점과 프로그램 운영에서 추가하면 좋을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지침의 예시는 ‘적절한, 바람직한, 부적절한, 피해야할’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종합적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특정한 의사소통 방식을 고정적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며, 간호사, 심사과 직원, 의사를 특정한 성별로 설정하여 성별을 고착화시키지 않도록 역할을 설정하는 것에 대한 지적이 있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시작 시 병원의 퇴원 수속 절차와, 각 부서에서 어떠한 업무가 순서대로 진행되는지에 대한 교육을 추가하고, 시나리오 지침 중 부적절한 표현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 예시들을 추가할 것을 제언하였다. 시나리오 내 각 상황별 운영시간이 촉박하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각 상황별 제한시간을 3∼5분으로 수정하였다.
3.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파일럿 테스트
파일럿 테스트를 위해, 개발된 시나리오가 포함된 퇴원 환자 관련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간호학과 4학년 5명에게 실행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적합성이 떨어지는 부분은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파일럿 테스트에서 참여자인 간호학과 학생들은 시나리오 내용이 병원 실습에서 빈번하게 관찰하던 갈등상황으로, 시나리오가 현장감 있다는 공통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내용 보완을 위한 의견은 없었다.
∙ 학생 E: (이 프로그램이) 수업으로 들어오면, 우리는 실습을 다녀왔으니까 이게 어떻게 진행되는지 흐름은 알고 있잖아요. 어떤 상황이 발생했을 때 간호사 샘들이 어떻게 했는지, 그래서 상황을 잘 이해할 수 있었고 감정이입도 잘 되었어요.
파일럿 테스트 참여자들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파일럿 테스트 효과에 대한 의견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제언을 주로 하였다.

1) 효과

파일럿 테스트 참가 학생들은 임상 실습에서 빈번하게 관찰하였던 간호사와 환자, 다른 직종 전문가들과의 갈등상황을 당사자의 위치에서 경험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전략을 연습할 수 있었으며, 임상간호사가 경험하게 될 의사소통을 미리 학습시켜주고 몸에 익힐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도움이 된다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언급하였다.
∙ 학생 A: 진짜 병원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 실습에서 봤던 일들이 합쳐서 있어서 진짜로 이 최악의 상황이 병원에서 자주 일어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 그걸 미리 경험해보고 연습할 수 있어서 그 점이 좋았던 것 같아요.
∙ 학생 D: 디브리핑에서 바람직한 소통 예시를 같이 얘기해볼 수 있어서 좋았던 게, 보통 의사소통 강의를 들으면, ‘아 맞다! 저렇게 무조건 사과하는 게 아니라 내 기분도 말하고 해야 하는구나’는 알겠는데, 그걸 말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감이 안 잡히거든요. 그런데, 이건 상황을 경험해보고, 바람직한 예시를 들어보니까, 나중에 이런 일이 있으면 그 예시를 써먹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본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교육 파일럿 테스트 참여자들은 시뮬레이션이 현실감이 커서 환자와 대면 시 소통 관련 자신감이 더 향상되고, 어떻게 환자와 치료적 대화를 하면 되는 것인지 알게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다른 학습자의 소통 방식을 보면서 여러 종류의 의사소통 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식으로만 알고 있던 치료적 의사소통과 효과적 의사소통 전략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교육의 효과를 경험하였다고 답변하였다.
∙ 학생 C: 다른 친구가 대처하는 거 보면서, 아 다른 사람은 이렇게 얘기 할 수 있구나, 그리고 정리 시간에 친구들과 교수님과 적절한 예시를 토론해보면서 “아~ 이런 상황에서는 이렇게 할 수 있겠구나.” 해서, 교육 전에는 엉망진창으로 말이 섞여있었다면, 교육 후에는 대처방법이나 말이 정리가 된 느낌이에요. 이렇게 얘기를 조리 있게 하면 되는 구나 생각하면서 전 말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 같아요.

2)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제언

파일럿 테스트 참가 학생들은 시뮬레이션 초기 단계에서 치료적 의사소통, SBAR 형태 의사소통, 나 주장법, 언어와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해 간략히 교육을 받고, 시나리오 상황을 경험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 학생 E: 치료적 의사소통이 잘 기억나지 않아서, 이거 하기 전에 실제 임상에서 많이 쓰이는 치료적 의사소통을 좀, 먼저, 먼저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다 한 다음에 그것을 숙지하고 실제로 한번 뱉어 보면 더 쓸 수 있을 것 같아요.
또한 시나리오 설명을 애니메이션 등을 활용하여 현재의 갈등 상황을 영상으로 제작하여 간략히 제시한다면 시나리오 상황에 대한 이해가 직관적으로 용이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 학생 A: 전문배우 없이, 영상 말고 애니메이션처럼, 환자의 목소리만 입히던가, 아니면 동영상 제작 식으로 해서 상황을 설명해주면 상황 이해가 더 쉬울 것 같아요.
시뮬레이션 종료 후 학생들은 시뮬레이션을 복기하면서, 각 상황별로 가장 적절한 의사소통 예시를 함께 논의해서 찾아보는 과정을 추가할 것을 제언하였으며, 이러한 예시를 찾는 과정을 통해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말투와 대화체를 익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 학생 D: 저는 제 감정을 표현해야겠다는 생각보다, 내가 감정을 표현하면 감정 대 감정으로 이게 일이 더 커질 수도 있겠다는 괴리감이 들었었거든요. 아예 핵심적으로 들어갈 요소를 교수님이 짚어주시고, 그 요소를 가지고 우리가 어떻게 말하면 좋을지, 현실적으로 써먹을 수 있는 말투를 학생들끼리 함께 의논하고 찾는 작업을 하면 좋겠어요.
그리고 시나리오 운영이 끝나고 디브리핑을 마치면 학생들이 학습한 의사소통 전략을 다시 한 번 구현하며 체화시킬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간략히 한 번 더 실습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을 재운영할 것을 제언하였다.
∙ 학생 A: 이거를 여러 번 하면 좋겠어요. 이거를 한번 해보고, 교수님이 중간에 피드백해보고, 학생들끼리 잘 얘기해본 다음에 다시 한 번 더 해볼 수 있으면 좋겠어요. 시간을 줄이던지 해서 한 번 더 해보면, 내가 아까 전에는 “아 정말 죄송합니다.” 하면서 말했는데, 이걸 좀 바꿔서 다시 말해볼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면 더 좋을 것 같아요. 짧게라도 다시 한 번 더 말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그 외 파일럿 테스트 참여자들은 병원 실습과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실습을 같은 시기에 병행할 것, 시뮬레이션 운영 시 모든 학생이 참가할 수 있도록 운영할 것, 최대한 많은 시나리오 상황을 경험할 수 있도록 변형된 상황을 많이 준비하거나, 새로운 시나리오를 다수 개발하여 의사소통 연습을 더 많이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 마지막으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지 않고 학생들끼리 상황극, 역할극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운영하는 것도 교육 효과가 있을 것이므로 학생들끼리 시뮬레이션을 운영하는 방법을 고려할 것을 제언하였다.
∙ 학생 D: 병원에서 지켜보던 일을 실제 내 상황으로 경험하고, 대화하는 방법을 적용하니 의사소통 방법을 더 잘 배울 수 있었던 것 같아서, 병원실습하면서 의사소통 시뮬레이션을 같이 해도 좋을 것 같아요.
∙ 학생 E: 이거를 너무 오랜 시간동안 진행하면 안 될 것 같아요. 만약 시뮬레이션에 참가를 안 한 학생이 있다면 의사소통 교육이 잘 습득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 짧은 시간으로 진행하거나, 시간이 조금 길더라도, 모든 학생이 다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 같아요.
∙ 학생 B: 저희는 한 시나리오 상황을 경험해봤잖아요. 학습자가 바뀔 때마다 상황을 조금씩 변경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래서 최대한 많은 상황을 경험해보고 학생들을 다양한 상황에 준비시킬 수 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각각의 상황에서 어떠한 소통방법이 적절한지 같이 고민해보면 좋겠어요.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 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고자 퇴원 환자 관련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환자의 퇴원 흐름에 따라 의사소통이 필요한 4가지의 상황에서 각기 다른 대상자와 소통하도록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전문가 평가 결과, 시나리오의 내용, 흐름, 난이도가 적절하게 구성되었고, 교육의 요점, 활동 의도, 평가 도구가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자와 간호사가 의사소통하는 1단계 상황에서는 학생들이 환자와의 치료적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도록 구성되었다. 향후 전문직 간 의사소통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신규 간호사의 숙련이 필요한 핵심간호술기를 포함시켜 시나리오를 변경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의사와 간호사가 의사소통 하는 2단계의 상황에서 학생들은 1단계의 상황보다 조금 더 복잡한 의사소통 갈등 상황에 직면하여 상황을 판단하고 상황에 적절하게 SBAR를 활용하여 환자 상태를 보고한 후, 주장적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효과적 의사소통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보험심사과 직원과 간호사가 의사소통하는 3단계의 상황에서는 임상에서 신규간호사가 미숙하게 대응할 수 있는 보건의료분야 내 다른 전문직과의 민감한 갈등 상황을 연출함으로써 학생들이 상황을 판단하고 효과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4단계의 의사소통 상황에서는 간호사가 수간호사에게 상황을 요약 정리하여 논리적으로 보고하는 상황을 통해 통합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파일럿 테스트 한 결과, 학생들은 시뮬레이션 운영에 있어 퇴원관리와 치료적, 효과적, SBAR 의사소통에 대한 간략한 교육을 우선 시행하고, 이어서 시뮬레이션을 운영한 후, 디브리핑 과정에서 각 상황별 바람직한 의사소통 예시를 그룹토의를 통해 직접 찾아보는 활동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집단적인 반영적 사고과정을 통해 상황에 적합한 의사소통 방법을 학생들이 직접 모색한 후, 간략히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다시 구동하여, 학습한 의사소통 전략을 상황에 맞게 다시 한 번 숙지할 수 있는 시간을 교육 프로그램에 포함시킬 것을 제언하였다. 시뮬레이션 실습은 실제와 유사한 임상 상황을 연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실수가 용납되는 비교적 안전한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Suh et al., 2013). 학생들은 이 안전한 환경 속에서 반복적으로 상황별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연습하기를 기대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의사소통 시뮬레이션은 간호관리학에서 퇴원관리를 배운 학생들이 임상실습에서 빈번하게 관찰하였던 전문직 간 의사소통 갈등 상황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기존의 학습된 지식을 확인하고 적용함으로써 이전의 지식수준이 합성되고 통합된 것으로 판단된다. 학습자의 지식 통합성과 실무 적용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집단면접에서 학생들은 시뮬레이션 상황을 소개받은 후 학생들끼리 역할극을 수행하는 것도 교육효과가 높고 흥미로울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Kim 등(2016)의 연구에 따르면 SBAR를 활용한 간호관리학 실습에서 SBAR를 교육하고 학생들이 팀별로 역할극을 수행한 결과 학생의 자기표현성은 증가하였으나,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능력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역할극보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는 방법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대조군을 두고 역할극과 시뮬레이션 활용 효과를 파악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파일럿 테스트 결과 학생들은 환자를 포함한 다른 전문직과의 치료적 의사소통, 효과적 의사소통, SBAR 형태의 의사소통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이 증가한 것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간호학생의 의사소통 보고에 대한 자신감이 시뮬레이션 실습 후에 유의하게 높아졌다는 결과(Yu et al., 2017)와 유사하다. 시뮬레이션 교육 후 자신감 변화를 연구한 선행연구에서 실험군의 임상 술기 수행 자신감(Lee et al., 2011) 혹은 응급관리 수행 자신감이 더 높았고(Hur et al., 2012), 중환자간호 기계환기 시뮬레이션 교육에서도 실험군의 자신감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Ha et al., 2017). 간호학 교육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는 것은 학생의 자신감을 향상시키며(Achrekar et al., 2016), 학생이 실제와 유사한 상황을 경험하도록 하여 실무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Sok et al., 2009). Lepkin 등(2010) 또한 간호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연구를 통해, 다른 교육방법보다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Cant 등(2010)에서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환자 퇴원과 관련된 갈등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책에서 배운 치료적 의사소통, 효과적 의사소통, SBAR형태의 의사소통을 직접 수행해보고 몸에 익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지식과 자신감을 향상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의사소통 대상자별로 간호의 핵심 요소인 의사소통 기술을 반복 실습하게 하면서 상황별로 복잡하고 난이도가 높은 갈등 상황을 체험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소수의 단일군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시행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하지만, 기존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연구가 주로 단일 과목에서 임상 상황을 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에 반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사가 임상에서 빈번하게 경험할 수 있는 전문직 간 갈등상황을 제시하는 동시에 간호학 전공 필수 교과목의 내용을 포함하면서, 임상간호의 핵심 요소인 의사소통을 포함시켜 간호사에게 필수적인 치료적, 효과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간호 실습 교육 연구의 지식체 확장에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전문직 간 갈등관리 의사소통 내용을 중심으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초기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기존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술기 학습과 시뮬레이션 교육방법을 적용한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환자의 퇴원 관리 흐름에 따라 의사소통이 필요한 상황에서 각기 다른 대상자와 소통하도록 구성하여 퇴원 관리 관련 지식 뿐 아니라 전문직 간 갈등 상황에서 치료적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교육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바, 교육 참여도를 높이고 흥미도가 높은 역동적인 간호학 실습 교육 운영에 기여함으로써 간호학 실습 교육 수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학생뿐 아니라 갈등 상황에서 전문직 간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신규간호사들에게 적용하여, 임상현장에서의 간호사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실험군과 대조군을 두어 반복적으로 효과 연구할 것을 제언하며, 간호학 교육에서 갈등관리 의사소통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들을 시나리오로 개발하고 간호핵심술기와 병합하는 시도 등을 함으로써 간호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함께 통합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함양시키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특히 기본간호학의 단순 간호술기와 임상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의사소통 갈등 상황을 통합하여 학생들이 간호술기와 대인관계 기술을 동시에 습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추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MSIT) (No. NRF-2019R1G1A1088926).

Table 1
A simulated conflict management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Phase Subjects Methods Contents
Phase 1 ∙ Expert committee (10 experts) ∙ Interview
∙ Focus group interview
∙ Expert committee organization
∙ Goal setting
∙ Literature review
∙ Selection of a theme, learning objectives, cases, methods of simulation program
Phase 2 ∙ Expert committee (10 experts) ∙ Interview
∙ Focus group interview
∙ Opinion survey
∙ Development of simulation scenarios
∙ Development of evaluation checklist
∙ Revision of simulation
∙ Evaluation of content validity
∙ Evaluation of expert validity
∙ Agreement on revised simulation program
Phase 3 ∙ Nursing students (5 students) ∙ Pilot test
∙ Focus group interview
∙ Training of standard patients
∙ Implementation of developed simulation program
∙ Evaluation of developed simulation program
Table 2
Overview of the simulated conflict management program
Step Subject’s reaction
in communication
Nurses’ learner activity
(specific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
(activity, cue)
Step 1
∙ Duration: 5 minutes
∙ Location: patient bed
∙ Roles: nurse and patient
∙ Content: response to sudden discharge request
∙ Patient is non-cooperative, nervous
∙ Uses inappropriate designation
∙ Screams
∙ Requests immediate discharge
∙ Nurse introduces him/herself
∙ Identifies patient
∙ Checks the general condition (situation) of the patient
∙ Explains the discharge procedures
∙ Conducts appropriate therapeutic communication to patient
∙ Knowledge of patient discharge management (i.e. procedure)
∙ Therapeutic communication:
- sympathy
- listening
- verbal messaging
- non-verbal messaging
Step 2
∙ Duration: 5 minutes
∙ Location: ward station
∙ Roles: nurse and doctor
∙ Content: request a patient interview related to discharge
∙ Doctor uses defense, avoidance pending patient interview
∙ Transfers decision regarding discharge to nurses
∙ Nurse performs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form of SBAR to the doctor in charge
∙ Utilizes self-assertive communication
∙ Performs duties according to the doctor’s instructions
∙ Effective communication using SBAR
∙ Self-assertive communication
∙ Nursing practice based on doctor’s prescription
Step 3
∙ Duration: 3 minutes
∙ Location: ward station
∙ Roles: nurse and insurance-review staff
∙ Content: request for expedited discharge procedures over the phone
∙ Insurance-review staff is in a high-intensity, stressful work environment
∙ Remains non-cooperative
∙ Nurse conducts appropriate self-assertive communication to the insurance-review staff ∙ Self-assertive communication
Step 4
∙ Duration: 2 minutes
∙ Location: ward station
∙ Roles: nurse and head nurse
∙ Content: report on patient discharge
∙ Head nurse requests report on the discharge of the patient
∙ Asks about the ward situation
∙ Nurse conducts effective communication (reporting) in the form of SBAR to the head nurse ∙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SBAR
Table 3
Evaluation checklist
No. Content Very
good
Good Poor Very
poor
1 Identified yourself, your unit, and the patient’s name and identification number with identification bracelet.
2 Asked to patient about his/her condition.
3 Listened and observe the patient’s expressions.
4 Gave appropriate non-verbal messages (eye contact, facial expressions, and understandable voice pitch) to the patient.
5 Applied appropriate verbal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empathy, support, encouragement).
Reported the patient’s condition (vital sign, problems) to the doctor in the form of SBAR.
6 Reported the patient’s situation (a description of the immediate situation) to the doctor in charge.
7 Reported the patient’s background to the doctor in charge.
8 Reported the patient’s assessment (problem that occurred and its cause) to the doctor in charge.
9 Gave appropriate recommendations to the doctor in charge.
10 Applied effective, appropriate communication skills when communicating with the insurance-review staff.
Reported the patient’s discharge to the head nurse in the form of SBAR.
11 Reported the patient’s situation (a description of the immediate situation) to the head nurse.
12 Reported the patient’s background to the head nurse.
13 Reported the patient’s assessment (problem that occurred and its cause) to the head nurse.
14 Gave appropriate recommendations to the head nurse.
15 Overall evaluation of the communication of nurses (educational students)?
  • 1. Achrekar MS, Murthy V, Kanan S, et al. 2016;Introduction of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into nursing practice: a prospective study. Asia Pac J Oncol Nurs. 3(1):45-50. doi:10.4103/2347-5625.178171.ArticlePubMedPMC
  • 2. Balogun SA, Rose K, Thomas S, et al. 2015;Innovative interprofessional geriatric education for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focus on transitions in care. Q J Med. 108(6):465-471. doi:10.1093/qjmed/hcu226.Article
  • 3. Berkenstadt H, Haviv Y, Tuval A, et al. 2008;Improving handoff communications in critical care: utilizing simulation-based training toward process improvement in managing patient risk. Chest. 134(1):158-162. doi:10.1378/chest.07-0914.ArticlePubMed
  • 4. Cant RP, Cooper SJ. 2010;Simulation 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 Adv Nurs. 66(1):3-15. doi:10.1111/j.1365-2648.2009.05240.x.ArticlePubMed
  • 5. Choi KJ, Choi EK, Hong JH, et al. 2008;A questionnaire study on conflict between healthcare professionals for teaching stud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J Korean Bioeth Assoc. 9(2):17-34. https://koreabioethics.jams.or.kr/co/main/jmMain.kci
  • 6. Choi YJ, Lee GW, Jung CH. 2008;The effect of i-message and self disclosure training on female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behavior.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7(4):461-470. https://www.mhnursing.or.kr
  • 7. Greer AG, Clay M, Blue A, et al. 2014;The statu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interprofessional prevention education in academic health centers: a national baseline study. Acad Med. 89(5):799-805. doi:10.1097/ACM.0000000000000232.PubMed
  • 8. Ha Y, Lee Y, Lee YH. 2017;Simulation training applying SBAR for the improvement of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skills. J Korean Data Inform Sci Soc. 28(2):407-419. doi:10.7465/jkdi.2017.28.2.407.Article
  • 9. Ha YK, Koh CK. 2012;The effects of mechanical ventilation simulation on the clinical judgment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Perspect Nurs Sci. 9(2):119-126. http://s-space.snu.ac.kr/handle/10371/84314
  • 10. Hur HK, Park SM. 2012;Effects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of patients with dyspnea,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18(1):111-119. doi:10.5977/jkasne.2012.18.1.111.Article
  • 11. Ironside PM, Jeffries PR, Martin A. 2009;Fostering patient safety competencies using multiple-patient simulation experiences. Nurs Outlook. 57(6):332-337. doi:10.1016/j.outlook.2009.07.010.ArticlePubMed
  • 12. Jeffries PR. 2007,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from conceptualization to evaluation. 2nd ed. National League for Nursing; New York.
  • 13. Kesten KS. 2011;Role-play using SBAR technique to improve observed communication skills in senior nursing students. J Nurs Educ. 50(2):79-87. doi:10.3928/01484834-20101230-02.ArticlePubMed
  • 14. Kim KH, Hwang E, Shin S. 2017;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nursing education. Korean Med Educ Rev. 19(1):18-24. doi:10.17496/KMER.2017.19.1.18.Article
  • 15. Kim SJ, Kwon OD, Kim KH, et al. 2019;Investigating the effects of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Korean J Med Educ. 31(2):135-145. doi:10.3946/kjme.2019.125.ArticlePubMedPMCPDF
  • 16. Kim WJ, Kim SY. 2016;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nursing management practice SBAR on nursing students' self-expressiveness, communication skills, and ability to think criticall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9):457-472. doi:10.22251/jlcci.2016.16.9.457.
  • 17. Lee JW, Bak YI, Baek SJ, et al. 2014;How hospital nurses communicate with physician. J Humanit. 71(1):345-385.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208553 .
  • 18. Lee JY. 2015;Effective communication for patient safety. J Korean Med Assoc. 58(2):100-104. doi:10.5124/jkma.2015.58.2.100.Article
  • 19. Lee WS, Kim M. 2011;Effects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obstetrical nursing. J Korean Acad Nurs. 41(4):433-443. doi:10.4040/jkan.2011.41.4.433.ArticlePubMed
  • 20. Lee YH, Ahn D, Moon J, et al. 2014;Perception of interprofessional conflicts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by doctors and nurses. Korean J Med Educ. 26(4):257-264. doi:10.3946/kjme.2014.26.4.257.ArticlePubMedPMC
  • 21. Leonard M, Graham S, Bonacum , D . 2004;The human factor: the critical importance of effective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providing safe care. BMJ Qua. Saf. 13(suppl 1):i85-i90. doi:10.1136/qshc.2004.010033.Article
  • 22. Lepkin S, Fernandez R, Levett-Jones T, et al. 2010;The effectiveness of nursing human patient simulation manikins in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skills to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JBI Libr Syst Rev. 8(16):661-694. doi:10.11124/01938924-201008160-00001.PubMed
  • 23. Maxson PM, Dozois EJ, Holubar SD, et al. 2011;Enhancing nurse and physician collaboration in clinical decision making through high-fidelity interdisciplinary simulation training. Mayo Clin Proc. 86(1):31-36. doi:10.4065/mcp.2010.0282.ArticlePubMedPMC
  • 24. O'Daniel M, Rosenstein AH. In RG Hughes (Eds.),2008, 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team collaborati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Rockville, MD.
  • 25. Oza SK, Wamsley M, Boscardin CK, et al. 2017;Medical students' engagement i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munication during an interprofessional observed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a qualitative study. J Interprof Educ Pract. 86:21-27. doi:10.1016/j.xjep.2017.02.003.Article
  • 26. Ozekcin LR, Tuite P, Willner K, et al. 2015;Simulation education: early identification of patient physiologic deterioration by acute care nurses. Clin Nurse Spec. 86:166-173. doi: 10.1097/NUR.0000000000000123.
  • 27. Sok SH, Kang HS, Kim WO, et al. 2009;Effects and development of clinical competency evalu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mong nursing students: based on abdominal surgical patients. Korean J Adult Nurs. 21(5):468-476.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922350102920.page
  • 28. Suh EE, Koh C, Lee N, et al. 2013;Development of a consecutive clinical nursing practicum module using simulation. Perspect Nurs Sci. 10(1):24-31. http://s-space.snu.ac.kr/handle/10371/84314
  • 29. Sweeney LA, Warren O, Gardner L, et al. 2014;A simulation-based training program improves emergency department staff communication. Am J Med Qual. 29(2):115-123. doi:10.1177/1062860613491308.ArticlePubMed
  • 30. Thomas CM, Bertram E, Johnson D. 2009;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teaching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Nurse Educ. 29:176-180. doi: 10.1097/NNE.0b013e3181aaba54.
  • 31. Wilson RM, Runciman WB, Gibberd RW, et al. 1995;The quality in Australian health care study. Med J Aust. 163(9):458-471. https://pubmed.ncbi.nlm.nih.gov/7476634/ .ArticlePubMed
  • 32. Yu M, Kim JK, Kim SY, et al. 2017;Development and effects of simulation program for fall management. J Korean Acad Nurs Adm. 23(5):548-557. doi:10.11111/jkana.2017.23.5.548.Article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Cite
        CITE
        export Copy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ed Conflict Management Program on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STRESS. 2020;28(3):167-177.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0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Related articl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ed Conflict Management Program on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ed Conflict Management Program on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Phase Subjects Methods Contents
      Phase 1 ∙ Expert committee (10 experts) ∙ Interview
      ∙ Focus group interview
      ∙ Expert committee organization
      ∙ Goal setting
      ∙ Literature review
      ∙ Selection of a theme, learning objectives, cases, methods of simulation program
      Phase 2 ∙ Expert committee (10 experts) ∙ Interview
      ∙ Focus group interview
      ∙ Opinion survey
      ∙ Development of simulation scenarios
      ∙ Development of evaluation checklist
      ∙ Revision of simulation
      ∙ Evaluation of content validity
      ∙ Evaluation of expert validity
      ∙ Agreement on revised simulation program
      Phase 3 ∙ Nursing students (5 students) ∙ Pilot test
      ∙ Focus group interview
      ∙ Training of standard patients
      ∙ Implementation of developed simulation program
      ∙ Evaluation of developed simulation program
      Step Subject’s reaction
      in communication
      Nurses’ learner activity
      (specific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
      (activity, cue)
      Step 1
      ∙ Duration: 5 minutes
      ∙ Location: patient bed
      ∙ Roles: nurse and patient
      ∙ Content: response to sudden discharge request
      ∙ Patient is non-cooperative, nervous
      ∙ Uses inappropriate designation
      ∙ Screams
      ∙ Requests immediate discharge
      ∙ Nurse introduces him/herself
      ∙ Identifies patient
      ∙ Checks the general condition (situation) of the patient
      ∙ Explains the discharge procedures
      ∙ Conducts appropriate therapeutic communication to patient
      ∙ Knowledge of patient discharge management (i.e. procedure)
      ∙ Therapeutic communication:
      - sympathy
      - listening
      - verbal messaging
      - non-verbal messaging
      Step 2
      ∙ Duration: 5 minutes
      ∙ Location: ward station
      ∙ Roles: nurse and doctor
      ∙ Content: request a patient interview related to discharge
      ∙ Doctor uses defense, avoidance pending patient interview
      ∙ Transfers decision regarding discharge to nurses
      ∙ Nurse performs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form of SBAR to the doctor in charge
      ∙ Utilizes self-assertive communication
      ∙ Performs duties according to the doctor’s instructions
      ∙ Effective communication using SBAR
      ∙ Self-assertive communication
      ∙ Nursing practice based on doctor’s prescription
      Step 3
      ∙ Duration: 3 minutes
      ∙ Location: ward station
      ∙ Roles: nurse and insurance-review staff
      ∙ Content: request for expedited discharge procedures over the phone
      ∙ Insurance-review staff is in a high-intensity, stressful work environment
      ∙ Remains non-cooperative
      ∙ Nurse conducts appropriate self-assertive communication to the insurance-review staff ∙ Self-assertive communication
      Step 4
      ∙ Duration: 2 minutes
      ∙ Location: ward station
      ∙ Roles: nurse and head nurse
      ∙ Content: report on patient discharge
      ∙ Head nurse requests report on the discharge of the patient
      ∙ Asks about the ward situation
      ∙ Nurse conducts effective communication (reporting) in the form of SBAR to the head nurse ∙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SBAR
      No. Content Very
      good
      Good Poor Very
      poor
      1 Identified yourself, your unit, and the patient’s name and identification number with identification bracelet.
      2 Asked to patient about his/her condition.
      3 Listened and observe the patient’s expressions.
      4 Gave appropriate non-verbal messages (eye contact, facial expressions, and understandable voice pitch) to the patient.
      5 Applied appropriate verbal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empathy, support, encouragement).
      Reported the patient’s condition (vital sign, problems) to the doctor in the form of SBAR.
      6 Reported the patient’s situation (a description of the immediate situation) to the doctor in charge.
      7 Reported the patient’s background to the doctor in charge.
      8 Reported the patient’s assessment (problem that occurred and its cause) to the doctor in charge.
      9 Gave appropriate recommendations to the doctor in charge.
      10 Applied effective, appropriate communication skills when communicating with the insurance-review staff.
      Reported the patient’s discharge to the head nurse in the form of SBAR.
      11 Reported the patient’s situation (a description of the immediate situation) to the head nurse.
      12 Reported the patient’s background to the head nurse.
      13 Reported the patient’s assessment (problem that occurred and its cause) to the head nurse.
      14 Gave appropriate recommendations to the head nurse.
      15 Overall evaluation of the communication of nurses (educational students)?
      Table 1 A simulated conflict management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Table 2 Overview of the simulated conflict management program

      Table 3 Evaluation checklist


      STRESS : STRES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