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STRESS : STRESS

Sumissioin : submit your manuscript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STRESS > Volume 25(2); 2017 > Article
Review Article
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배익렬, 김민웅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the Anxie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k-lyul Bae, Min-woong Kim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7;25(2):86-92.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7.25.2.86
Published online: June 30, 2017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충남대학교 공업기술교육학과

Department of Nursing, Daeje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aejeon, Korea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Ik-lyul Bae Department of Nursing, Daeje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00 Hyechon-ro, Seo-gu, Daejeon 35408, Korea Tel: +82-42-580-6289 Fax: +82-42-580-6443 E-mail: baeil@dst.ac.kr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OE) (No. NRF-2016R1D1A1B03935377).
• Received: May 19, 2017   • Revised: June 22, 2017   • Accepted: June 23, 2017

Copyright: ©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1,334 Views
  • 30 Download
  • 1 Crossref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때 연구 대상 논문은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이며, 최종적으로 학술지 5편, 학위논문 28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출판 편향은 Funnel plot과 Fail-safe N 계수를 활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석 결과 출판 편향이 연구에 영향을 줄 만큼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효과크기는 이질 하였고 이에 랜덤효과 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1.034이었다. 또한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 분석 결과는 대상 구분(Classification), 중재 장소(Intervention location)에 따라 유의하였으며, 연속형 변인에 따른 분석 결과도 규모(Size)에 따라 유의하였다.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the anxie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meta-analysis, and the specific research purposes were as follows. The targets of the present study were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collected the final 28 theses for academic degrees and five scholarly journal articl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o examine the publication bias of the studies used in the analysis, funnel plot and fail-safe N were verified, and found the publication bias was not significant enough to influence the present study. The homogeneity test showed that the effect size was heterogeneous, and accordingly, a random effect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the overall effect size was found to be -1.034.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showed that the effect size varied according to subject classification and intervention location for categorical variables and size for continuous variables.
현재 한국 학생 중 다수는 학업, 교우관계, 가정 등 다양한 문제로 인하여 스트레스, 우울,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2016년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가 공동으로 실시한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매년 30%가 넘는 청소년이 굉장히 많은 스트레스를 느끼고, 25%가 넘는 학생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만큼의 우울함을 느끼며, 10%가 넘는 청소년이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e et al.(2015)은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 10명 중 6명은 불안함을 느끼고 있고 이는 스트레스, 우울증, 자살 생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의 불안수준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대체적으로 불안수준이 높은 학생은 타인을 신뢰하지 않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또래와의 관계형성이나 사회성 발달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불안감은 집중력 저하를 야기하여 인지적 수행이나 발달 부분에서도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Strauss, Frame & Forehand, 1987). 이 밖에도 사회적, 심리적 불안지수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흡연·음주 등과 같은 지위비행을 일삼거나, 일탈 혹은 자살 등과 같이 충동적 감정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et al., 2015). 이처럼 불안은 학생의 인지적 발달과 정서적 발달 모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재, 학생의 불안 해소를 위한 상담과 여러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음악중재이다. 최근 스트레스에 대한 음악중재의 효과를 입증하는 여러 연구가 발표되고 있고, 중재 방법 역시 청취, 연주, 노래 등 다양하기 때문에 음악중재는 불안 치료에 적절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Kaser, 1993).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대부분의 연구들은 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 완화에 효과적이라 밝히고 있다. 하지만 각 연구들마다 중재 효과의 크기를 다르게 보고하고 있는데, 어떤 연구는 음악중재가 불안 완화에 매우 효과적이라 제시하고 있는 반면 어떤 연구는 약간의 효과가 나타났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H. Kim(2006)의 연구에서는 음악중재가 청소년의 특성불안 완화에는 약간의 효과가 있지만 상태불안 완화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같은 연구주제에서 다른 결과가 도출되거나 효과의 편차가 존재하는 것은 전통적 연구 방법이 지닌 한계라 할 수 있다(Borenstein et al., 2009). 이러한 전통적 연구 방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개별 연구결과를 통합 및 비교하여 객관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는 연구방법이 메타분석이다(Cooper, Hedges & Valentine, 2009; Kim et al., 2016). 메타분석은 효과크기(effect size) 산출이라는 표준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전통적 연구 방법에 비해 좀 더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다시 말해 전통적 연구방법이 편의에 의해 표본을 추출한다면 메타분석은 체계적인 절차에 의해 표본을 추출하고, 전통적 연구방법의 결과 해석이 통계적 유의미성과 연구자의 주관성에 의존한다면 메타분석은 표준화 점수인 효과크기와 기준 및 원칙이 있는 객관성에 의존하게 된다. 이 밖에 메타분석은 전통적 연구의 사후 성격(post-hoc nature)을 갖고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들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 도출이 가능하다(Borenstein et al., 2009).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며,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자의 불안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를 분석한다.
둘째,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연속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한다.
1.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본 연구의 대상은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들로 연구 수집은 RISS(한국교육학술정보원), KISS(한국학술정보), DBpia, Google Scholar 서비스를 활용하였다. 먼저‘음악’, ‘음악중재’, ‘Anxiety’, ‘불안’을 키워드로 1차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이후 1차 문헌고찰에서 도출된 논문의 참고문헌을 활용하여 24개의 새로운 논문을 추가적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은 음악중재이고, 종속 변인은 불안으로 한 연구만을 선정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이 아동 및 청소년인 연구만을 선정하였다. 셋째, 실험설계 시 비교집단을 포함한 논문만을 선정하였다. 이상의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학위논문 75편, 학술지 48편 총 123편의 연구물이 1차로 수집되었고, 구체적 정보를 제시하지 않은 연구, 학위논문이 학술지에 중복게재 된 연구를 제외한 학위논문 28편, 학술지 5편의 논문이 최종 선정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 15일부터 2016년 12월 22일까지 약 한 달에 걸쳐 실시되었고, 분석 대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Characteristic about study of analysis
Author Publication Classification Type Location Age Size Time (minute)
Kim (2007) Published Non-patient PM Lab Adolescent 8 40
Park, Lee & Chun (2008) Published Non-patient MIX Lab Adolescent 9 90
Park, H (2008) Unpublished Patient MIX Lab Adolescent 12 45
Oh & Kim (2007) Published Non-patient MIX Lab Adolescent 18 45
Oh et al (2004) Published Non-patient TM Lab Adolescent 33 40
Park (2005) Unpublished Non-patient TM Lab Child 34 20
Jung (2003) Unpublished Patient PM Clinic Child 20 52
Choi & Park (2008) Published Patient MIX Clinic Adolescent 12 45
Choi, S (2002) Unpublished Non-patient TM Lab Adolescent 11 60
Hwang (2013) Unpublished Non-patient PM Lab Adolescent 15 70
Choi (2006) Unpublished Patient PM Lab Adolescent 10 80
Jung (2014) Unpublished Non-patient PM Lab Child 10 60
Jang (2014) Unpublished Non-patient MIX Lab Child 9 45
Lim (2002) Unpublished Non-patient PM Lab Child 20 35
Kang (2005) Unpublished Non-patient MIX Lab Child 7 40
Kang (2004) Unpublished Non-patient TM Lab Adolescent 32 20
Kim, B (2014) Unpublished Non-patient MIX Lab Child 17 30
Kim, A (2014) Unpublished Patient MIX Clinic Adolescent 6 52
Kim (2006) Unpublished Non-patient PM Lab Adolescent 7 60
Kim (2004) Unpublished Non-patient PM Lab Adolescent 90 40
Nam (2007) Unpublished Non-patient PM Lab Adolescent 11 45
Park, S (2008) Unpublished Non-patient PM Lab Child 20 20
Park, Y (2008) Unpublished Non-patient PM Lab Adolescent 28 50
Park (2012) Unpublished Non-patient PM Lab Child 37 52
Park, J (2008) Unpublished Non-patient TM Lab Child 10 40
Choi, Y (2002) Unpublished Patient MIX Clinic Adolescent 8 35
Lyu (2005) Unpublished Non-patient TM Lab Adolescent 18 40
Lee (2010) Unpublished Non-patient TM Lab Child 8 60
Lee, M (2011) Unpublished Non-patient MIX Lab Adolescent 20 50
Lee (2004) Unpublished Non-patient MIX Lab Child 9 50
Lee, J (2011) Unpublished Non-patient MIX Lab Adolescent 28 90
Lee (2002) Unpublished Non-patient MIX Lab Child 20 40
Lee (2006) Unpublished Non-patient TM Lab Adolescent 13 30

PM: Public Music, TM: Therapy Music.

2. 출판 편향
이 연구에서는 출판 편향이 없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X축을 효과크기, Y축을 표준오차로 하는 Funnel Plot을 살펴보았다. Fig. 1을 살펴보면, 소수의 아웃라이어가 존재하지만 대체적으로 Funnel plot의 좌우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판편향이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본 연구자는 Rothstein, Sutton & Borenstein(2006)의 주장처럼 다각적인 측면에서 출판편향을 확인하기 위해 Fail-safe N을 참고하여 출판편향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전체 효과크기를 무효화하기 위해서는 ‘0’의 효과크기를 가진 연구 1,907개가 추가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Rosenthal(1979)이 제시한 5 k+10을 넘는 수치이므로 본 연구결과는 타당한 결과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무시해도 되는 효과크기 수준을 0.1로 보았을 때, 본 연구결과가 해당 수준이 되기 위해서는 274개의 연구가 추가되어야 하는데, 이 연구에서 34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274개의 연구가 누락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연구에서 도출된 효과크기가 인공물의 편향에 의해 도출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Fig. 1
Funnel plot of effect size.
JSR_25_086_fig_1.jpg
3. 효과 크기 산출
효과크기란 서로 다른 연구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통계치를 의미하며, 효과 크기 산출은 서로 척도가 일치하지 않은 자료를 동일한 척도의 자료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평균 차이를 활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산출 공식, 교정 공식, 가중치 공식은 다음과 같다(Hedges, Olkin, 1985; Oh, 2002; Hwang, 2015).
<수식 1>
de=YeXeSx,dc=YcXcSx
<수식 2>
교정된 de=4(n2)4n5de, 교정된 dc=4(n2)4n5dc
de: 실험집단의 효과크기, dc: 통제집단의 효과크기, Sx: 사전평균의 표준편차, Ye–Xe: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차이, Ye–Xc: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차이, n: 사례 수
<수식 3>
Var(de)=4(1re)+(de)22ne,Var(dc)=4(1rc)+(dc)22nc
Vd=Var(de)+Var(dc)
re: 실험집단 사전-사후 점수의 상관계수, rc: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의 상관계수,Vd: 표준화된 평균차 변화 효과크기의 분산
<수식 4>
가중치 (wi)=1V
4. 분석 도구
본 연구에서는 CMA ver. 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전체 효과크기 도출, Meta-ANOVA, Meta-regression 작업을 수행하였다.
1. 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
본 연구에서는 전체 효과크기를 구하기 전, 효과크기 모형을 결정하기 위해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자는 분석 대상 연구들의 경우 연구 처지 방법, 기간, 대상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각 데이터가 서로 이질적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동질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효과크기는 예상대로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Q=122.560, df=32, p<.001). 또한 I2값은 73.890로 나타나 본 연구의 효과크기는 높은 이질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랜덤효과 모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1.034가 나타났으며, 이는 음악중재를 실시한 아동 및 청소년의 경우 약 1 표준편차 만큼 불안이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때 전체 효과크기에 대한 신뢰구간은 −1.280∼−.788로,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전체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전체 효과크기는 Fig. 2와 같고, 효과크기 해석을 위해 Cohen(1988)이 제시한 효과크기 해석을 참고하면, −1.034의 효과크기는 매우 큰 효과크기이다. 또한 전체 효과크기를 비중복 백분위 지수(U3)로 변환하면 약 84퍼센타일로, 이는 음악중재를 실시한 아동 및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아동 및 청소년에 비해 불안 점수가 약 34% 감소했다는 의미이다.
Fig. 2
Forest plot of effect size.
JSR_25_086_fig_2.jpg
2.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전체 효과크기는 높은 이질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질성의 원인을 최대한 설명하기 위하여 각 변인별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범주형 변인(연구대상 구분, 음악 종류, 중재 장소, 대상 연령)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Meta-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연구대상 구분, 중재 장소에 따라 효과크기의 차이가 나타났다.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대상 구분

연구대상 구분(환자/비환자)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비환자에 비해 환자에게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Table 2).
Table 2
Effect difference of classification
 Effect N ES SE Var Confidence interval Q p
Non-patient   26  −.934  .132   .018  −1.194~−.675 3.919 .048
Patient 7 −1.545 .278 .077 −2.090~−.999

2) 음악 종류

음악 종류(대중음악, 치료음악, 혼합)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혼합 음악이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치료 음악이 가장 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Table 3).
Table 3
Effect difference of type
 Effect N ES SE Var Confidence interval Q p
Popular music   12   −1.070   .215   .046  −1.492~−.649 1.776 .411
Therapy music 7 −.775 .263 .069 −1.290~−.260
Mix 14 −1.217 .203 .041 −1.615~−.819

3) 중재 장소

중재 장소(실험실, 임상)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실에서 음악중재를 실시하는 경우보다 임상에서 실시하는 경우 더 큰 효과크기가 도출되었다(Table 4).
Table 4
Effect difference of intervention location
 Effect N ES SE Var confidence interval Q p
Laboratory   28  −.919  .123   .015  −1.160~−.678 7.723 .005
Clinic 5 −1.881 .324 .105 −2.516~−1.247

4) 대상 연령

대상 연령(아동, 청소년)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청소년에 비해 아동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다(Table 5).
Table 5
Effect difference of age
 Effect N ES SE Var confidence interval Q p
Child  15  −1.168  .187   .035  −1.536~−.801 .658 .417
Adolescent  18 −.961 .174 .030 −1.302~−.620
3. 연속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
또 다른 유형의 변인인 연속형 변인(처치규모, 처치시간)별 효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Meta-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Table 6과 같이 처치규모에 따라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6).
Table 6
Effect difference of continuous variable
Variable  Parameter   Estimate  SE t p
Size Intercept −1.381  .177   ~7.78   .000 
Slope .016 .006 2.51 .012
Time Intercept −.526 .351 −1.50 .133
Slope −.011 .006 −1.59 .111
아동 및 청소년의 시기는 개인의 성격과 태도와 같은 정서적 측면과 함께 지적인 측면의 바탕을 마련하는 시기이며, 이때 형성된 정서 및 인지능력이 그 이후의 인간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지나친 교육열과 고학력 풍토로 인해 학생의 지적인 성취만이 부각되었고, 많은 학생들이 과도한 학습량과 스트레스로 인해 정서적인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또한 많은 아동 및 청소년들이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적절히 통제하거나 표현하지 못하면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집단따돌림(Bullying)이나 학교폭력 등을 야기하기도 한다(Kim & Eun, 2010). 아동 및 청소년의 이러한 폭력성은 다양한 감정 중 불안과 연관이 있는데, 불안은 방어기제를 작동하게 하고 더 나아가 공격성을 유발하기 때문이다(Park, 1995). 따라서 만약 아동 및 청소년들이 불안을 느낄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이때 다양한 치료방법이 있겠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음악을 이용한 중재방법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불안을 느끼는 학생들은 대부분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고,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따라서 다른 중재방법에 비해 친근하고 비위협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음악중재 방법이 보다 적절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Lee, 2008). 이에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음악중재가 효과가 있음을 피력하고 있다. 하지만 효과의 크기가 각기 다를 뿐만 아니라 효과가 없다는 연구도 제시되는 등 음악중재의 효과를 일관되게 설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1.041로 나타났고, 이를 U3 점수로 변환하면 약 84퍼센타일이다. Cohen(1988)이 제시한 효과크기 해석 기준을 참고할 때 효과크기 −1.041은 매우 큰 효과크기이며, 이는 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의 정신장애(psychopathology)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한 Gold, Voracek, & Wigram(2004)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대상 구분, 음악 종류, 중재 장소, 대상 연령별 차이를 Meta-ANOVA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 연구대상 구분, 중재 장소에 따라 효과크기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즉,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비환자에 비해 환자에게 더 크게 나타났고, 음악중재를 실험실에서 실시하는 경우보다 임상에서 실시하는 경우 더 큰 효과크기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속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처치규모(Size), 처치시간(time)별 차이를 Meta-regression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 처치규모(Size)에 따라 효과크기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처치규모가 작아질수록 불안점수가 낮아졌고, 이는 음악중재 시 처치규모가 작을수록 불안점수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음악중재를 실시할 경우, 대규모의 인원보다는 소규모의 인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Lee et al.(2015)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 미래, 가정환경, 외모, 건강, 학교생활, 교우 혹은 이성 관계 등과 같은 불안 요소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학업, 미래, 건강 등과 같은 불안 요소들은 본인의 노력과 의지 여하에 따라 변화의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아동 및 청소년이 생활하고 있는 사회적 환경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자체적인 노력을 통해 불안 요소를 제거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더 큰 문제는 가정환경이나 외모 등과 같은 불안 요소의 경우, 본인의 노력으로도 바꾸기 힘든 성질의 것들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높은 불안을 호소하는 아동 및 청소년에게는 약물을 처방하거나 심리적 상태를 변화시킴으로 불안감을 낮추는 비약물적 처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때 부작용의 우려가 있고 단기적 치료라 할 수 있는 약물 처방보다는, 부작용의 위험이 적고 장기적 치료라 할 수 있는 비약물적 처방이 더 바람직한 방법일 것이다. 또한 효과에 대한 측면 역시 Kim & Kim(2015)의 연구를 통해 약물적 중재에 비해 비약물적 중재가 불안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된 상태이다. 따라서 향후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 감소를 위해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가 시도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는 그 중 하나인 음악중재가 음악중재의 효과를 입증하는 좋은 근거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 활용된 33편의 논문 가운데 연구 대상이 환자인 경우는 7편에 불과하고, 실험이 임상에서 실시 된 경우 역시 5편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현재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는 대부분 환자보다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임상보다는 실험실 위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하듯이(Table 2, 4) 음악중재를 통한 불안 감소 효과는 일반인에 비해 환자에게, 실험실보다 임상에서의 중재가 더 효과적이었다. 이는 환자에게 임상에서 이루어지는 중재가 효과적이라 밝힌 다수의 연구(Park et al., 2002; Kim, 2005; Kim & Baek, 2008)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며, 따라서 향후 불안을 느끼는 환자에게 그리고 연구실이 아닌 임상에서도 활발한 연구와 중재가 실시됨이 바람직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에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연구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 예컨대 중재 음악의 종류, 대상 연령, 중재 시간에 따른 효과의 차이는 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은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음악중재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더욱 심층적인 접근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Borenstein , et al.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Inc; .
  • Choi YR. 2002;The effects of musical activities on decrease in anxiety and increase in self-esteem of unmarried mother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8463520 .
  • Choi SR. 2006;The Effects of group musical activities focused on singing to improve self-esteem and to reduce anxiety of the disability adolescent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0526580 .
  • Choi AN, Park HJ. 2008;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Changes in Brain Waves and Emotion, and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for the Post-traumatic Stressed Adolescent.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26(4):13-25.
  • Cooper H, Hedges LV, Valentine JC. 2009, The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Russell Sage Foundation.
  • Gold C, Voracek M, Wigram T. 2004;Effects of music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sychopathology:a meta-analysis. J Child Psychol Psychiatry. 45(6):1054-1063. .ArticlePubMed
  • Hwang JE. 2013;Effects of Music Therapy as a Group Counseling on Christian Adolescences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Decrease Anxiety.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Anyang, Korea: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3210599 .
  • Hedges LV, Olkin I.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New York: Academic; .
  • Jang IS. 2014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Stress, Coping, Social Support, Anxiety and Depression of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doctor’s dissec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3708894
  • Jung JH. 2003;A Study on the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the Anxiety Reduction of Hospitalized children Facing Needle-Related Procedur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9620784 .
  • Jung KW. 2014;The Effect of Musical Activity Related to the Theraplay for School Maladapted Children’s Anxiety and Ego-resilience.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3538644 .
  • Kang HS. 2004;Effects of Meditation Music on the Reduction of Anxiety in Middle School Boys.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9517233 .
  • Kang JS. 2005;The effect of group musical activities program on change of affect in broken home children.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0211049 .
  • Kaser VA. 1993;Musical expressions of subconscious felling:A clinical perspective. Music Ther Perspect. 11(1):16-23. .
  • Kim JK. 2004;Effects of Music Listening on the Test Anxie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1055760 .
  • Kim GS. 2005;The effects of the closed and open musical therapies studied with spinal and epidural anesthesia operation patients. Master’s thesis. Kangwon University; Chuncheo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0101916 .
  • Kim HJ. 2006;The Effect of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on Teenager`s Anxiety.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1150298 .
  • Kim JO. 2006;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for Adolescents in a Group Home.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0857978 .
  • Kim YS. 2007;Music-Assisted Desentization, and Music-Assiste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and Imagenery on Amelieorating Music Performance Anxiety of High School Musician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6(2):5-15.
  • Kim JH, Baek SH. 2008;Effect of tailored music intervention on intra-operative anxiety among those undergoing regional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14:187-198.
  • Kim SY, Eun HK. 2010;A Preliminary Study on Anxiety Inventory for Middle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9(2):195-215.
  • Kim AR. 2014;The Empact of Song-Centered Music Theapy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Decrease of Anxiety on School-Age Burn Patients.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3538581 .
  • Kim BA. 2014;An effect of physical activity through the listen to music on resolving the stress and foster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3687802 .
  • Kim HS, Kim EJ. 2015;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nxiety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7273-7284.Article
  • Lee MJ. 2004;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program through Modeumbooknori on the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of the junior-highschool student with the Depression Tendency.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9919493 .
  • Lee JH. 2002;The Influences of α-wave Music Used Music Meditation on the Relief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s Anxiety.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9957962 .
  • Lee HY. 2006 Effects Music play Activities on Maladjustive You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s. doctor’s dissection Dong-a University; Busa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0980084
  • Lee JY. 2008;A study on the Anger-Control Music Program for Decrease in Aggressiveness and Anger of Neglect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5(2):17-39.
  • Lee KS. 2009;The Effects of music Therapy Group Counseling Focused on Self-Expression to Preliminary High School Students’ Anxiety and Self-Esteem.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2439378 .
  • Lee JW. 2011;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Children’s Depression and Anxiet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2537258 .
  • Lee MN. 2011;The Effects of Counselling Program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on Anxiety and Relationship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2739513 .
  • Lee , et al. 2015, Some Causes of the Psycho-social Anxiety in Korea and How to Address Them.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Lim RH. 2002;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Children’s Anxiety.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8247485 .
  • Nam OS. 2007;The Influence of Musical Activities on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of Infant.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1038820 .
  • Oh , et al. 2004;Effect of Listening to Music on Speech Anxiety among Middle-school Female Students. Korean Journal of The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7(4):43-49.
  • Oh SG, Kim WJ. 2007;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sing Music Activities on Sociality, Peer Rela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of Middle School Girl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8(2):513-532. .Article
  • Park SY. 1995;The effect of Assertive Training with Perceptual Orientation on Children’s Aggression and Anxiety.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986920 .
  • Park JH. 2005;The Effects of Meditation Music with Nature sound on Primary School Children’s State Anxiety.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0699291 .
  • Park HJ. 2008;The Effects Music Therapy on the Changes of Brain Waves, Emotion, Depression and Reduction of Anxiety for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atients.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1317088 .
  • Park MS, Lee MJ, Cheon SM. 2008;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program through Modeumbooknori on the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of the junior_highschool student with the Depression tendency.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Science. 11(1):29-45.
  • Park , et al. 2002;Event-Relat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4):649-659.
  • Park JS. 2008;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Self Efficacy in broken home children.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1776474 .
  • Park SM. 2008 The Effect of the Music and Meditation Therapy on Emotional-Unstability, Stress, and Depression for Adolescent. doctor’s dissec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1453867
  • Park YK. 2008;The Effect of Chorus Activity on the E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Master’s Thesis.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inju: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1446717 .
  • Park JE. 2012 A Study on Development of Music Activity Program for Emotion Regulation of Children. doctor’s dissec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2857908
  • Strauss CC, Frame CL, Forehand R. 1987;Psychosocial impairment associated with anxiety in children. J Clin Child Psychol. 16(3):235-239. .Article
  • You MS. 2005;A Effect of Synchronicity Meditation Music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ech Anxiety.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0699182 .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The Comparative Effects of Aroma Essential Oil Inhalation and Music Listening on Stress Response, Vital Signs, and Bispectral Index of Healthy Adults
      Jae-Kyeum Lee, Myung-Haeng Hu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2022; 34(1): 62.     CrossRef

    • PubReader PubReader
    • Cite
      CITE
      export Copy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the Anxie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TRESS. 2017;25(2):86-92.   Published online June 30, 2017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STRESS :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