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STRESS : STRESS

Sumissioin : submit your manuscript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STRESS > Volume 24(3); 2016 > Article
Original Article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이진희, 오상은
Effects of the Newborn Parenting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on their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ole Confidence
Jinhee Lee, Sangeun Oh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6;24(3):220-230.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6.24.3.220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6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Department of Nursing, Kwangju Women’s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RINS, Gwangju, Korea

Corresponding author: Sangeun Oh,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60, Baekseo-ro, Dong-gu, Gwangju 61469, Korea Tel: +82-62-530-4954, E-mail: seoh@jnu.ac.kr
• Received: September 6, 2016   • Revised: September 21, 2016   • Accepted: September 21, 2016

Copyright: ©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rev
  • 1,740 Views
  • 46 Download
  • 2 Crossref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아이를 출산한 결혼이주 초산모가 신생아를 효율적으로 양육하면서 돌볼 수 있도록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결혼이주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정상신생아를 출산한 결혼이주 초산모 30명(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실험중재로 개발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은 병원에서 초산모의 출산 후 3일에 병원방문 1회와 퇴원 1주일 후에 가정방문 1회를 통해 신생아돌보기와 신생아 마사지에 대해 정보제공과 시범 후 가정에서 신생아를 돌보며 궁금하고 어려운 내용에 대한 4회의 전화 상담(1회/1주)으로 이루어졌다. 대조군에는 병원에서 통상적으로 시행되는 신생아 돌보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의 측정은 사전 사후 2회 측정하였고,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는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와 Wilcoxon rank sum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시행 후에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양육스트레스는 더 감소하였고(Z=3.36, p=.001), 어머니역할 자신감은 더 향상되었다(Z=4.50, p=.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은 결혼이주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그들이 한국에서 자녀를 양육하고 결혼생활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족간호중재로 사료된다.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newborn parenting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their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ole confidence. The participants were thirty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15 for intervention group and 15 for control group). The newborn parenting program was consisted of ‘good parenting for newborn’ and ‘infant massage’, which was done through providing information and demonstration using two booklets by 2 times visiting at hospital and home, and 4 times telephone counseling with parenting and infant massage (2 times/da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using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and Wilcoxon rank sum test. The program significantly decreased parenting stress and improved mothers’role confidence of the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in the intervention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ewborn parenting program is a family nursing intervention which has affirmative effects on the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ole confidence of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for parenting their child and adjusting their marriage in Korea.
우리나라 국제결혼은 과거 한국인 여성과 외국인 남성의 국제결혼을 통한 해외 이주가 주를 이루던 것이 1990년대를 기점으로 주로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면서 배우자를 구하지 못한 한국인 남성과 저개발국가 출신의 외국인 여성의 국제결혼에 의한 인구유입으로 전환하고 있다(Kwon HK et al., 2007). 이러한 결혼이주 여성은 사회ㆍ경제적 열악한 환경에 있는 한국인 남성과 주로 결혼함으로써 과반수가 경제적으로 힘들게 생활하고 있다(Seol DH et al., 2008). 무엇보다 결혼과 동시에 새로운 문화적인 환경인 한국에서 출신국의 친족과의 관계는 단절된 채(Lee TO, 2006) 문화와 언어의 차이로 인한 갈등을 겪으면서 아무런 대책 없이 첫아이를 임신하여 분만 후 아이 돌보기를 포함한 자녀 양육과 역할기대로 인해 어려움은 더해진다(Kim HJ, 2008, Kim J et al., 2005, Kim YS et al., 2006).
초산모는 어머니가 되기 이전에 수행해 왔던 역할과 어머니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통합하면서 아이와의 정서적 관계를 확립해야 함과 동시에 신체적ㆍ심리적으로 적응하는 데 많은 노력을 하나(Kim HS et al., 2005) 아이의 출생 후 적어도 1년 동안은 혼란과 갈등 가운데 양육스트레스를 겪는다(Lee E, 1992).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초산모가 산욕기에 이러한 어려움을 겪으면서 대부분 친정부모와 시부모의 위로를 받는다. 국내의 초산모가 겪는 어려움에 더해 결혼이주 초산모는 출신국의 친정부모를 거의 만날 수 없고 사회문화적으로 낯선 환경에서 출산으로 심신이 취약한 산욕기에 아기를 돌보며 양육스트레스를 더 심하게 겪을 수 있다. 국제이주여성의 양육경험을 연구한 Kim J et al.(2009)은 외부와의 사회적 교류가 드문 상황에 처한 이주여성이 보건소에서 배부한 여성건강 책자를 통해 양육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해도 한글을 읽을 수 없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못 받고 있는 실정에 자녀의 건강관리와 같은 중요한 사항에서는 시어머니와 남편이 주도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므로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결혼이주여성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으며 임신기간 동안 산전교육과 산전관리를 받기 어려운 실정에 있다(Kim MY et al., 2008).
신생아를 위한 어머니역할은 신생아 출산과 더불어 저절로 획득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이고 개인적 경험의 영향을 받으며 학습을 통해 습득된다(Kim HS et al., 2005). 국내의 선행연구에서 신생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시행한 돌보기 또는 양육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모성역할(어머니역할) 또는 돌보기 자신감의 향상에 효과적이고(Cho KJ et al., 1999; Jang YS, 2004; Kim HK et al., 2007; Seo YM, 1998), 영아 경락마사지를 배운 어머니가 영아에게 경락마사지를 해 주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양육효능감은 향상된다(Cho KJ et al., 2008)고 보고하였다. 이들 연구는 한국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것들로서 결혼이주 초산모에게 적용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또한 기존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주로 한국어를 가르치거나 한국문화를 주로 소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자녀의 건강관리나 양육에 도움이 되기에는 부족하다(Kim MY et al., 2008). 국내의 선행연구에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가족생활에의 적응(Choi OH et al., 2006), 배우자 지지를 포함한 사회적지지, 건강요구와 삶의 질(Kim HJ, 2007; Kim HJ, 2008), 건강신념과 산전관리 이행 간의 관계(Kim MY et al., 2008),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중심의 양육경험(Kim J et al., 2009) 등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고, 결혼이주 초산모의 가정을 방문하여 출신국의 언어로 구성된 교육 자료를 활용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임신ㆍ분만ㆍ육아에 관한 교육과 관리를 받기 쉽지 않은 결혼이주여성이 적절한 육아를 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임신ㆍ분만ㆍ육아에 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중요하다(Kim MY et al., 2008). 연구자는 농촌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이 이는 다문화가족을 위한 보건사업을 하면서 결혼이주 초산모가 육아를 하면서 양육스트레스를 겪고 이로 인해 어머니역할에 대한 자신감의 부족으로 힘겨워하는 상황을 접한 후 이들을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실감하였다. 특히 국제결혼 한 이주여성은 한국 생활에서 언어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호소하므로 출신국의 모국어로 된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Kim HJ, 2008). 이에 더해 Yoo JS(2003)가 산욕기에 산모의 건강회복과 모성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분만 후 산욕초기 2∼3일간 입원가료를 하는 동안 간호를 제공하고 퇴원 후 가정에서 육아를 잘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제언한 바와 같이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은 신생아를 출산한 병원에서 시행 후 남편과 시부모가 함께 거주하는 가정에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결혼이주 초산모의 신생아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어머니역할 자신감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해 출신국의 언어로 된 교육 자료 마련과 함께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가정에서 결혼이주 초산모가 신생아를 돌보면서 스트레스를 덜 받고 어머니역할을 잘 수행하여 자신감 있게 자녀를 잘 양육할 수 있도록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고,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재 후 양육스트레스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가설 2.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재 후 어머니역할 자신감 점수가 향상할 것이다.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이 결혼이주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유사실험설계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표적 모집단은 H 지방에 거주하는 결혼이주 초산모와 신생아이며 근접모집단은 H 지방에 거주하면서 G시에 소재한 4개의 병원에서 분만한 결혼이주 초산모와 그들의 신생아이다. 표본의 크기는 Cohen J(1998)의 공식에 의해 유의수준(α=.05), 검증력(β=0.2, 80%), 효과의 크기(F=.50)를 고려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이 각각 17명 이상이었다. 그러나 연구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를 모집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실험군과 대조군이 각각 15명과 그들의 신생아를 최종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탈락자는 없었다.
연구대상자인 결혼이주 초산모와 신생아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결혼이주 초산모는 ① 산후 건강문제가 없는 출산 3일 이내인 자, ② 퇴원 후 4주 동안 신생아를 직접 돌볼 수 있는 자, ③ 체계적인 산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자, ④ 한국어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⑤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본 연구의 참여에 서면 동의한 자를 선정하였다. 결혼이주 초산모의 신생아는 ① 재태 연령 37주 이상의 단태 신생아, ② 생후 3일 이내의 신생아, ③ 신생아 가사, 호흡장애, 패혈증, 수유장애 및 선천 기형이 없는 건강한 신생아를 선정하였다.
3. 연구도구

1)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은 결혼이주 초산모가 신생아를 효율적으로 돌보고 양육하도록 개발된 ‘우리아기 잘 키우기’와 ‘우리아기 사랑의 마사지’에 대한 시범을 통한 교육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본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조사와 연구자의 준비사항, 교육내용에 대한 타당성 검증과 신생아 마사지 CD 개발을 마친 후 실험군을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수행과정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육요구 조사와 준비: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은 ‘우리아기 잘 키우기’와 ‘우리아기 사랑의 마사지’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아기 잘 키우기’ 중재내용 구성과 소책자를 만들기 위해 연구자는 G 시의 두 곳의 산부인과 전문병원에 입원하여 한국어 의사소통이 가능한 결혼이주 초산모 3명에게 2008년 2월 6일 아기 돌보기와 관련해 가장 궁금한 내용이 무엇인지 개방형 질문을 통해 15∼20분 동안 응답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혼이주 초산모가 궁금해 하는 내용은 주로 젖 먹이기, 목욕시키기, 배꼽 관리하기, 체온 재기, 기저귀 갈기, 울 때 달래기와 같은 아이돌보기의 내용과 건강관련 사항으로 염려되는 것은 딸꾹질, 젖이나 우유를 토하거나 넘기는 것, 설사, 고열, 경련 등이었다.
이어서 연구자의 신생아실 및 NICU 실무경험과 결혼이주 초산모가 응답한 내용에 근거하여 ‘신생아 돌보기’에 관한 문헌(Seo YM, 1998; Bang KS, 2007; Joung KH, 1999; Kim HK et al., 2007; Sim KS et al., 2002)을 참조하여 ‘아기돌보기의 기본사항’, ‘아기의 위생 관리’, ‘건강문제’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우리아기 잘 키우기’ 소책자(가로 15 cm, 세로 21 cm) 제작을 위한 한국어 초고를 완성하였다.
‘우리아기 사랑의 마사지’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자는 프로리더-국제전문지도자협회에서 발급하는 영아 마사지 자격증을 취득 후, 신생아와 영아를 위한 마사지에 관한 문헌(Field T, 1995; Lorenz L et al., 2005; Kim SD et al., 2005; Park IS et al., 2006; Park HR, 2005; Yun SJ et al., 2008)을 참조하여 마사지의 이점, 마사지를 위한 준비와 유의할 점, 마사지 방법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우리아기 사랑의 마사지’ 소책자(가로 15 cm, 세로 21 cm)의 한국어 초고를 완성하였다.
(2) 내용타당성 검증과 신생아 마사지 CD 개발: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우리아기 잘 키우기’와 ‘우리아기 사랑의 마사지’에 대한 중재내용 구성 및 소책자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해 연구자가 작성한 원고를 간호대학 교수 2명, 의과대학 소아과학(신생아학 전문의) 교수 1인, 신생아실 수간호사 1명, NICU 간호사 2명(유아마사지 교육 이수자)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이어서 결혼이주 초산모 2명에게 소책자 원고를 먼저 읽게 하여 초산모가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재 수정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구성하였다.
‘우리아기 잘 키우기’는 ① 아기안기, ② 수유하기와 트림시키기, ③ 목욕과 배꼽 관리, ④ 기저귀 갈기, ⑤ 실내 온도 및 습도, ⑥ 눈ㆍ코ㆍ귀ㆍ손발톱 관리, ⑦ 체온재기, ⑧ 잠재우기, ⑨ 아기와 함께 놀아주기, ⑩ 우는 아기 관리, ⑪ 아기의 흔한 건강문제 관리(역류와 구토, 딸꾹질, 재채기와 코막힘, 황달, 설사와 기저귀 발진, 발열, 청색증, 경련, 아구창)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우리아기 사랑의 마사지’는 신생아를 위한 ① 마사지의 이점, ② 마사지를 위한 준비, ③ 유의점, ④ 마사지 방법, ⑤ 마사지하지 말아야 할 때, ⑥ 아기 마사지 기록지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신생아 마사지는 생후 30∼31일까지 하루에 2회 수행하도록 하였고, 결혼이주 초산모가 퇴원 후 가정에서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간략한 순서를 포함한 ‘신생아 마사지 CD’를 제작하여 배포하였다.
(3) 실험군을 위한 중재: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은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교육과 시범 2회 수행과 전화상담 4회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자가 다음과 같이 운영하였다.
가. 입원 중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수행: 신생아 돌보기와 마사지를 위한 ‘우리아기 잘 키우기’와 ‘우리아기 사랑의 마사지’ 1차 교육프로그램은 결혼이주 초산모가 신생아를 출산 후 3일째 병원의 모유수유실에서 실시하였다. 모유수유실은 산모가 편안하게 교육받을 수 있도록 안락한 소파와 탁자, 차와 다과가 준비되어 있고 편안한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참여자는 교육 도중 언제든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교육받는 것을 중단할 수 있음을 알려 주었다. 연구자는 참여자에게 결혼이주 초산모의 모국어로 된 소책자를 배부해 준 후 신생아 모형, 기저귀, 체온계 등의 준비물을 가지고 시연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졌다. ‘우리아기 잘 키우기’ 교육 소요시간은 약 15∼20분 정도였다. 아기안기, 수유하기와 트림시키기, 배꼽 관리, 기저귀 갈기, 체온재기 등은 시범 후 실제 결혼이주초산모에게 시행하게 한 후 교정이 이루어졌고, 5분 정도 질문에 대해 답변을 한 후 참여자가 10분 동안 쉴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아기 사랑의 마사지’ 교육 소요시간은 25∼30분 정도였다. 신생아 모형을 이용한 마사지 시범은 촉각자극(5분), 운동감각자극(5분), 촉각자극(5분)순으로 15분이 소요되었다. 마사지 시범 후 실제 결혼이주초산모에게 시행하게 한 후 교정이 이루어졌으며 5분정도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 주었고, 신생아 마사지 CD와 마사지 수행 확인표를 배부하여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자는 대개 남편이나 시어머니 또는 시누이 중 1인과 함께 교육에 참여하였다.
나. 가정방문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수행: 신생아 돌보기와 마사지를 위한 ‘우리아기 잘 키우기’와 ‘우리아기 사랑의 마사지’ 2차 교육프로그램은 퇴원 1주일 후 연구자가 결혼이주 초산모의 가정을 방문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가 신생아 돌보기와 마사지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1시간 정도 확인하고 교정해 준 후, 아기 양육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변해 주고 아기돌보기와 마사지 수행을 격려하였다. 특히 양육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연구자는 결혼이주 초산모와 신생아 돌보기와 마사지 교육 소책자를 모국어로 번역한 번역자와의 3자 통화로 결혼이주 초산모에게 모국어 표현 기회를 제공하였다(5분 이내).
다. 신생아 돌봄 관련 전화상담 수행
연구자는 2차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을 수행 후 1주일에 1회, 총 4회 결혼이주 초산모와 전화로 30∼40분 동안 전화 상담을 시행하였다. 이때에는 신생아를 돌보기와 신생아 마사지 수행을 확인하고, 아기를 돌보는데 궁금하고 어려운 점등을 해결하기 위해 상담하였다.

2) 측정도구

(1) 양육스트레스: Abidin RR(1990)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 (PSI)를 Kim DH(1998)의 수정보완 한 한국어 35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재학 또는 수료자인 전문 번역가의 도움을 받아 베트남어, 중국어, 영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PSI (Abidin RR, 1990)는 부모가 자녀양육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그 근원에 따라 부모의 스트레스(부모영역), 부모와 자녀의 역기능적인 상호작용(부모∼자녀관계 영역),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아동영역)의 3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정말 그렇지 않다’ 1점에서 ‘정말 그렇다’ 5점까지 측정하는 5점 척도이며 점수의 범위는 35∼175점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자녀양육으로 인한 부모의 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Kim DH(1998)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90 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3이었다.
(2) 어머니역할 자신감: Pharis ME(1978)의 ‘Self Confidence Scale’ 13문항을 기반으로 Jang YS(2004)이 수정보완 한 한국어 35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또는 수료자인 전문 번역가의 도움을 받아 베트남어, 중국어, 영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안위와 안전, 영아의 행동, 수유, 위생관리, 목욕시키기 및 기저귀 갈기, 건강과 질병의 6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문항은 ‘거의 자신이 없다’ 1점에서, ‘아주 많이 자신이 있다’ 5점까지 측정하는 5점 척도이며 점수의 범위는 35∼175점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어머니역할자신감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Jang YS(2004)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7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2이었다.
4. 연구의 윤리적 측면
본 연구는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연구목적과 내용 및 절차를 설명하였다. 이어서 연구가 진행되는 중에 참여를 원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중단할 수 있고, 설문 조사한 내용과 결과는 연구 목적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고, 비밀보장을 설명한 후 서면 동의를 구하였다. 자료수집 후에 감사의 표시로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였다. 대조군에는 자료수집이 끝난 후 신생아 돌보기와 마사지를 위한 ‘우리아기 잘 키우기’와 ‘우리아기 사랑의 마사지’ 소책자 및 CD를 우편으로 보내고 전화로 교육 소책자의 내용을 설명하여주었으며 궁금한 내용에 대하여 답변하여 주었다.
5. 자료수집 및 분석
본 연구를 위해 C대학병원 간호부장과 교육팀장, 신생아실 수간호사와 소아과 신생아학 교수 및 3곳의 산부인과 병원장과 간호부장 및 간호과장, 분만실 수간호사에게 연구목적과 내용을 설명한 후 자료수집의 허락을 받았다. 결혼이주 초산모의 기록을 점검한 후 선정기준에 해당하는 대상자가 입원한 산모병실을 방문하여 연구 목적과 내용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대해 서면으로 동의 한 30명(대조군 15명, 실험군 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조사는 결혼이주 초산모가 입원한 병원에서 출산 후 3일에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역할 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어서 실험군을 위해서는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을 수행하였고, 대조군을 위해서는 병원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신생아 돌보기를 위한 퇴원교육을 수행하였다. 사후조사는 연구대상자가 퇴원 후 4주에 가정에서 사전조사에서 사용한 동일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중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대조군에게 먼저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한 후 실험군에게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sio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일반적 특성을 위해 x2-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를 이용하였고, 종속변수인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의 검증을 위해 Wilcoxon rank sum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의 차이는 Wilcoxon rank sum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다.
1. 연구대상자와 신생아의 일반적 특성 및 종속변수의 동질성
결혼이주 초산모(30명)의 일반적 특성인 분만방식, 연령, 학력, 직업, 수입, 국적과 신생아(30명)의 일반적 특성인 신생아의 성별, 출생 시 주수 및 체중과 신장, 수유방식은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아 동질성이 있는 집단으로 확인되었다(Table 1).
Table 1
Homogeneity test for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N=30).
  Variable Exp (n=15) Cont. (n=15) Total (n=30) x2 p

N (%) N (%) N (%)
Primiparas
 Method of delivery 1.04 .333
  Vaginal delivery 12 (80.0) 11 (73.3) 23 (76.7)
  C-section 3 (20.0) 4 (26.7) 7 (23.3)
 Age (year) .311
  <30 13 (86.7) 8 (53.3) 21 (70.0)
  ≥30 2 (13.3) 7 (46.7) 9 (30.0)
 Education .241
  Elementary school 2 (13.3) 2 (13.3) 4 (13.3)
  Middle school 7 (46.7) 3 (20.0) 10 (33.3)
  High school 5 (33.3) 8 (53.3) 13 (43.3)
  ≥College 1 (6.7) 2 (13.3) 3 (10.0)
 Occupation .184
  Agriculture 1 (6.7) 0 (0.0) 1 (3.3)
  House wife 14 (93.3) 14 (93.3) 28 (93.3)
  Office worker 0 (0.0) 1 (6.7) 1 (3.3)
 Income (won) .069
  <1,500,000 10 (66.7) 4 (26.7) 14 (46.7)
  1,500,000~2,000,000 3 (20.0) 6 (40.0) 9 (30.0)
  2,000,000≦ 2 (13.3) 5 (33.3) 7 (23.3)
 Nationality .346
  Vietnam 6 (40.0) 5 (33.3) 11 (36.7)
  Philippines 5 (33.3) 5 (33.3) 10 (33.3)
  China 3 (20.0) 4 (26.7) 7 (23.3)
  Japan 1 (6.7) 0 (0.0) 1 (3.3)
  Uzbekistan 0 (0.0) 1 (6.7) 1 (3.3)
Newborn infants
 Gender 1.35 .250
  Male 7 (46.7) 8 (53.3) 15 (50.0)
  Female 8 (53.3) 7 (46.7) 15 (50.0)
 Gestational age (weeks) .384
  <38 1 (6.7) 2 (13.3) 3 (10.0)
  38~40 10 (66.7) 10 (66.7) 20 (66.7)
  ≤40 4 (26.7) 3 (20.0) 7 (23.3)
 Birth weight (g) .100
  <3000 7 (46.7) 3 (20.0) 10 (33.3)
  3000~4000 8 (53.3) 11 (73.3) 19 (63.3)
  ≤4000 0 (0.0) 1 (6.7) 1 (3.3)
 Birth length (cm) .076
  <50 13 (86.7) 7 (46.7) 20 (66.7)
  ≥50 2 (13.3) 8 (53.3) 10 (33.3)
 Type of feeding .241
  Brest feeding 0 (0.0) 1 (6.7) 1 (3.3)
  Mixed feeding 15 (100) 13 (86.7) 28 (93.3)
  Formular feeding 0 (0.0) 1 (6.7) 1 (3.3)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결혼이주 초산모의 실험군(15명)과 대조군(15명)의 일반적 특성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분만방식은 두 군 모두 자연분만이 70% 이상(실험군: 12명, 대조군: 11명)으로 많았다. 연령은 50% 이상이 30세 미만(실험군: 13명, 대조군: 8명), 학력은 고졸이하가 80% 이상(실험군: 14명, 대조군: 13명), 직업은 90% 이상이 가정주부(실험군: 14명, 대조군: 14명), 가족의 평균 월수입은 60% 이상이 200만원 이하(실험군: 13명, 대조군: 10명)로 많았고, 국적은 베트남과 필리핀이 각각 5명 이상으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신생아의 실험군(15명)과 대조군(15명)의 일반적 특성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신생아의 성별은 실험군은 여아가 53.3% (8명), 대조군은 남아가 53.3% (8명)를 차지하였다. 출생 시 주수는 38주∼40주가 60% 이상(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 체중은 3,000 g∼4,000 g가 50% 이상(실험군: 8명, 대조군: 11명), 키는 50 cm 미만이 실험군은 86.7%, 대조군은 47.7%였다. 수유형태에서는 모유와 분유 혼합 수유가 80% 이상(실험군: 15명, 대조군: 13명)으로 많았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 하였다.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시행 전 결혼이주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 점수는 실험군이 평균 89.96점이었고 대조군이 평균 92.93점으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Z=1.99, p=.283). 어머니역할 자신감 점수는 실험군이 평균 101.87점이었고, 대조군이 평균 104.13점으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Z=4.50, p=.243). 따라서 두 군은 동질 하였다(Table 2).
Table 2
Homogeneity test for dependent variables between groups (N=30).
Dependent variables Exp. Cont. Z* p


Mean±SD Mean±SD
Parenting Stress 89.96±19.75 92.93±12.60 1.99 .283
Mothers’ Role Confidence 101.87±15.16 104.13±16.63 4.50 .243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 Wilcoxon rank sum test.

2. 양육스트레스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시행 전과 시행 후 측정한 양육스트레스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은 평균 89.96점에서 62.33점으로 27.63점이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평균 92.93점에서 90.33점으로 2.60점이 감소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양육스트레스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Z=3.36, p=.001)하여 가설 1은 지지되었다(Table 3).
Table 3
Effects of newborn caring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ole confidence (N=30).
 Variable Pretest Posttest Difference Z* p



Mean±SD Mean±SD Mean±SD
Parenting stress Exp. 89.96±19.75 62.33±20.02 −27.63±9.50 3.36 .001
Cont. 92.93±12.60 90.33±19.66 −2.60±1.40
Mothers’ role confidence Exp. 101.87±15.16 155.40±11.58 53.53±17.25 4.50 .001
Cont. 104.13±16.63 120.53±15.99 16.40±30.30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 Wilcoxon rank sum test.

3. 어머니역할 자신감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시행 전과 시행 후 측정한 어머니역할 자신감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은 평균 101.87점에서 155.40점으로 53.53점이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평균 104.13점에서 120.53점으로 16.40점이 증가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어머니역할 자신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Z=4.50, p=.001)하여 가설 2는 지지되었다(Table 3).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해 개발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의 특성은 한국어,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로 된 신생아 돌보기에 관한 교육 책자 및 CD와 신생아 모형 등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자가 신생아를 출산하기 위해 입원한 병원에서 출산 3일에 1차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퇴원 후 연구대상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2차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수행 후 이어서 출신국의 통역사를 고용한 1회 전화 통화와 4회의 신생아 돌봄 관련 전화 상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실험군에게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대조군에게는 통상적인 병원간호를 시행하기 전후에 결혼이주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 RR(1990)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 (PSI)를 기반으로 Kim DH(1998)이 수정보완 한 한국어 측정도구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해 Pharis ME(1978)의 ‘Self Confidence Scale’ 13문항을 기반으로 Jang YS(2004)이 수정보완 한 한국어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는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입증하는데 제한이 있지만, 통역사를 고용하여 양육스트레스를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것보다 연구대상자가 질문지에 응답하기 쉽게 출신국의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 더 용이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재학 또는 수료자인 전문 번역가의 도움을 받아 베트남어, 중국어, 영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생아양육프로그램 중재 전과 후의 실험군의 양육스트레스가 평균 89.96점에서 62.33점으로 27.63점이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의 양육스트레스도 평균 92.93점에서 90.33점으로 2.60점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실험군의 양육스트레스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Z=3.36, p=.001). 본 연구 대상자가 ‘양육스트레스’ 질문지를 이해하기 쉽게 Abidin RR(1990)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 (PSI)를 기반으로 Kim DH(1998)이 수정보완 한 한국어 측정도구와 이를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로 번역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연구결과의 타당성이 부족할 것으로 고려하여 본 도구를 사용한 국내의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하는데 제한이 있다. 이에 본 연구결과와 근접한 연구와 비교한 결과, Lee GM et al.(2012)의 연구에서 다문화가족센터에서 신생아 돌보기프로그램(3회/3주, 강의 30분, 비디오시청 20분, 시범 50분) 중재가 결혼이주여성 임산부의 양육스트레스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와 Lee GM et al.(2012)의 연구에서 실험중재 후 실험군과 유사하게 대조군에서도 양육스트레스가 다소 감소하였는데, 이는 신생아를 출산 후 1개월이 되어 성숙의 효과로 신생아 초기보다 자연스럽게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실험군의 양육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은 연구대상자가 신생아 출산을 위해 입원 중 1차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수행하였고, 퇴원 후 가정방문하여 2차 프로그램을 실시 후 결혼이주 초산모와 신생아 돌보기와 마사지 교육 소책자를 모국어로 번역한 번역자와의 3자 통화로 결혼이주 초산모에게 모국어 표현 기회를 주면서 4주간의 전화 상담이 유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더해 Park HR(2005)의 연구에서 신생아의 어머니가 자신의 신생아에게 마사지를 시행한 경우 어머니의 스트레스 경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결혼이주 초산모가 자신의 신생아에게 아기마사지를 시행하여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중재 전과 후의 실험군의 어머니역할 자신감은 평균 101.87점에서 155.40점으로 53.53점이 증가한 반면 대조군의 어머니역할 자신감은 평균 104.13점에서 120.53점으로 16.40점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155.40점)의 어머니역할 자신감 점수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Z=4.50, p=.001). 이는 본 연구에서 중졸이하의 학력이 다수인 연구대상자에게 실시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대상자가 ‘어머니역할 자신감’질문지를 이해하기 쉽게 Pharis ME(1978)의 Self Confidence Scale’을 기반으로 Jang YS(2004)이 수정보완 한 한국어 측정도구와 이를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로 번역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연구결과의 타당성이 부족할 것으로 고려하므로, 본 도구를 사용한 국내의 한국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한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하는데 제한이 있다. 이에 본 연구와 근접한 Lee GM et al.(2012)의 연구결과와 비교한 결과, Lee GM et al.(2012)의 연구에서 신생아 돌보기 프로그램(3회/3주, 강의 30분, 비디오시청 20분, 시범 50분)을 받은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이 향상된 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와 Lee GM et al.(2012)의 연구에서 병원에서 행해지는 통상적인 간호를 받은 후 퇴원하여 가정에서 있는 대조군의 어머니역할 자신감 점수가 다소 향상하였는데, 신생아를 출산 후 시간이 지나면서 생기는 성숙된 효과로 본다. 이러한 결과는 출산 후 초산모가 4∼6주경에는 어머니 역할을 어느 정도 획득하여 어머니 역할에 대해 적절히 적응하고 자신감을 갖는 다는 Kim DH(1997)의 견해와 유사하였다.
모성역할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학습되는 것으로 산모가 아기를 돌보기에 잘 준비되었다는 적절한 느낌이 들수록 만족감이 커서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게 된다(Pridham KF, 1987). Choi KA(2002)는 시범교육은 교육책자만을 이용하거나 시청각 교재를 이용하여 일 방향적으로 교육하는 것에 비해 쌍방향적인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고,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익힐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시범교육에 더해 전화 상담을 주기적으로 하여 어머니역할 자신감 향상에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한다. 즉 실험군의 어머니역할 자신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한 것은 연구대상자가 신생아 출산을 위해 입원 중 본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시행 후 퇴원 후 1주일에 연구자가 결혼이주 초산모의 가정에 방문하여 신생아 돌보기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 1시간 정도 확인하고 교정해 준 후, 육아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변해 주고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출신국의 언어로 된 신생아 돌보기와 마사지 교육 소책자를 육아에 활용하고 4주간의 전화 상담을 통해 육아의 어려움을 들어주면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상담해 준 것이 어머니역할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자가 개발한 ‘우리아기 잘 키우기’와 ‘우리아기 사랑의 마사지’로 구성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은 저개발국가 출신의 비교적 학력이 낮은 결혼이주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하고 어머니역할 자신감을 향상하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지역사회 아동간호 실무 확대를 위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첫 자녀를 출산한 결혼이주 초산모들이 자신의 신생아를 잘 돌볼 수 있도록 아동간호사가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한국에서 이들이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자신감을 갖고 양육의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한국가족 적응하는 데 매우 유익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작위 대조군 실험설계를 적용하지 못하였고, 일 지역에 거주한 소수의 결혼이주초산모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 둘째, 영어권에서 제작한 측정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을 다시 베트남, 중국어, 영어로 번역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 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확대 해석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첫째, 무작위 대조군 실험설계를 적용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영어권에서 제작된 도구를 한국어, 다시 영어로 번역하지 않고 영어가 필요할 경우 원문을 사용할 것을 제언한다. 이에 더해 3세 미만 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정상적인 양육행동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양육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 자녀 양육으로 경험하는 갈등과 어려움을 해소시켜야 한다는 Park YS et al.(2009)의 의견에 따라 본 연구에 이어 후속연구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유아기 자녀 양육 시 발생하는 양육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 1. Abidin RR. 1990,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Charlotteville: Pediatric Psychology Press.
  • 2. Ahn YH. 2008;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18-26.
  • 3. Bang KS. 2007;Effects of maternal role education program on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infant development.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7:21-34.
  • 4. Cho KJ, Lee KJ, Lee OJ. 1999;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rogram on caring-confidence and rearing attitude in mothers with newborn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5:84-96.
  • 5. Cho KJ, Lee MH, Ji ES. 2008;Effects of group meridian massage on infant growth 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elf-efficacy in their mot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4:252-260.
  • 6.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7. Chai OH, Hong DA. 2006;Educational effects on improvements of self-esteem and social adjustments for healthy families of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0:63-78.
  • 8. Choi KA. 2002, Comparative study of the discharge teaching program on newborn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 9. Field T. 1995;Massage therapy for infants and children. Journal of Developmental Behavior Pediatrics. 16:105-111. .Article
  • 10. Jang YS. 2004;Effects of workbook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perceived stress level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breast feeding practi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 11. Joung KH. 1999;Effect of planned nursing intervention on the stress the maternal role strain and the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5:70-83.
  • 12. Ju HS. 2001;Comparative analysis of maternal satisfaction with the mode of newborn car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8:160-171.
  • 13. Kim DH. 1998;A comparative study of parenting stress between mothers of normal neonate and low birth weight neona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
  • 14. Kim ES, Kim DH. 2015;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perceived health status of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344-353.Article
  • 15. Kim HK, Jeong IS. 2007;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125-134.ArticlePubMed
  • 16. Kim HJ. 2007;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foreign women to Korean society through marriage to Korean nation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Gwangju.
  • 17. Kim HJ. 2008;A study of social support, the demand for health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 Health Nursing. 14:5-11.Article
  • 18. Kim HS, Shin YH, Oh KS, et al. 2005;Parenting stress maternal sensitivity to infant cues and child rearing environment of first-time mot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1:415-426.
  • 19. Kim J. 2015;Child-rearing attitude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infant.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3:91-100. .Article
  • 20. Kim J, Oh J, Yoon C, Lee J. 2009;Married immigrant women’s child-rearing experiences including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2:46-60.
  • 21. Kim MY, Koh HJ. 2008;A study about intermarriage foreign wives:Prenatal education needs health belief and prenatal care compliance.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2:83-96.
  • 22. Kim SD, Park HR, Lee SY, et al. 2005;Effects of maternal massage to newborn on stress immune function and self-confidence of mother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265-272.Article
  • 23. Kim YS, Kim M, Han KS. 2006, Cultural conflict exper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policy issues on promotion for communication.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 24. Kim MY, Park DY. 2009;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verbal abuse of infant’s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375-382. .Article
  • 25. Kim SY, Kwon MK. 2005;A comparative study on infant’s temperament & parenting stress by premature & full-term infant’s mother. Journal of Academic Society of Parent-Child Health. 8:123-136.
  • 26. Kweon GY, Park KW. 2007;A study on influence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foreign wives.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8:187-219.
  • 27. Kwon HK, Kwon MK. 2007;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3:58-65.
  • 28. Lee GM, Choi YH. 2012;Effects of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child-rearing knowledge, child-rearing stress, and child-rearing self-efficacy of immigrant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6:561-571. .Article
  • 29. Lee E. 1992;Maternal role attainment of primiparou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Maternal Child Health Nursing. 2:5-20.
  • 30. Lee HJ, Lee SA, Kim MH, et al. 2004;A study of parental knowledge and confidence in newborn car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0:262-271.
  • 31. Lee TO. 2006;A study on the family and the social network for the immigrated women:The focus about the women in Yeongkwa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ju University; Gwangju.
  • 32. Lorenz L, Moyse K, Surguy H. 2005;The benefits of baby massage. Paediatric Nursing. 17:15-18. .Article
  • 33. Park HR. 2005;Effects of massage on stress depression and level of milk secretion hormones in mot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1:456-464.
  • 34. Park IS, Kim DS. 2006;The effect of massage therapy on physical growth of the newborn and identity as mot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2:359-367.
  • 35. Park YS, Kanzaki M, Park Y, et al. 2009;Parenting stress and family functioning of urban mothers with a child less than 3 years of ag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7:349-357.
  • 36. Pharis ME. 1978, Age and sex difference in expectations for infants and the parenting among couples in a first pregnancy and among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ustin (TX).
  • 37. Pridham KF. 1987 Summer;The meaning for mothers of a new infant:relationship to maternal experience. Maternal Child Nursing Journal. 16:103-122. .PubMed
  • 38. Seo YM. 1998;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on primipara’s knowledge confidence and accuracy of behavior in newborn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1060-1074.Article
  • 39. Seol DH, Yoon HS. 2008;Socioeconomic adaptation and welfare policy for immigrant women on marriage. The Korean Social Security Association. 24:109-133.
  • 40. Sim KS, Kho HJ, Lim KH. 2002;A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for the infant care.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6:287-297.
  • 41. Yang SJ. 2010;Health status, health care utiliza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4:323-335.
  • 42. Yoo JS. 2003;Home health care need for pregnan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 43. Yun SJ, Park IS. 2008;The effects of infant massage on growth behavioral state of infants and postpartum depression of their mothers. Chungnam Journal of Nursing Academy. 11:49-61.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The Effects of the Infant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Their Firstborn Infants
      Chae-Min Yoon, Mi-Ae You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2023; 53(6): 666.     CrossRef
    •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using ubiquitous learning on exclusive breastfeeding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of first-time mothers in Vietnam: a quasi-experimental study
      Tran Thi Nguyet, Nguyen Vu Quoc Huy, Yunmi Ki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2021; 27(4): 278.     CrossRef

    • PubReader PubReader
    • Cite
      CITE
      export Copy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Effects of the Newborn Parenting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on their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ole Confidence
      Korean J Str Res. 2016;24(3):220-230.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6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Effects of the Newborn Parenting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on their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ole Confidence
    Effects of the Newborn Parenting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on their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ole Confidence
      Variable Exp (n=15) Cont. (n=15) Total (n=30) x2 p

    N (%) N (%) N (%)
    Primiparas
     Method of delivery 1.04 .333
      Vaginal delivery 12 (80.0) 11 (73.3) 23 (76.7)
      C-section 3 (20.0) 4 (26.7) 7 (23.3)
     Age (year) .311
      <30 13 (86.7) 8 (53.3) 21 (70.0)
      ≥30 2 (13.3) 7 (46.7) 9 (30.0)
     Education .241
      Elementary school 2 (13.3) 2 (13.3) 4 (13.3)
      Middle school 7 (46.7) 3 (20.0) 10 (33.3)
      High school 5 (33.3) 8 (53.3) 13 (43.3)
      ≥College 1 (6.7) 2 (13.3) 3 (10.0)
     Occupation .184
      Agriculture 1 (6.7) 0 (0.0) 1 (3.3)
      House wife 14 (93.3) 14 (93.3) 28 (93.3)
      Office worker 0 (0.0) 1 (6.7) 1 (3.3)
     Income (won) .069
      <1,500,000 10 (66.7) 4 (26.7) 14 (46.7)
      1,500,000~2,000,000 3 (20.0) 6 (40.0) 9 (30.0)
      2,000,000≦ 2 (13.3) 5 (33.3) 7 (23.3)
     Nationality .346
      Vietnam 6 (40.0) 5 (33.3) 11 (36.7)
      Philippines 5 (33.3) 5 (33.3) 10 (33.3)
      China 3 (20.0) 4 (26.7) 7 (23.3)
      Japan 1 (6.7) 0 (0.0) 1 (3.3)
      Uzbekistan 0 (0.0) 1 (6.7) 1 (3.3)
    Newborn infants
     Gender 1.35 .250
      Male 7 (46.7) 8 (53.3) 15 (50.0)
      Female 8 (53.3) 7 (46.7) 15 (50.0)
     Gestational age (weeks) .384
      <38 1 (6.7) 2 (13.3) 3 (10.0)
      38~40 10 (66.7) 10 (66.7) 20 (66.7)
      ≤40 4 (26.7) 3 (20.0) 7 (23.3)
     Birth weight (g) .100
      <3000 7 (46.7) 3 (20.0) 10 (33.3)
      3000~4000 8 (53.3) 11 (73.3) 19 (63.3)
      ≤4000 0 (0.0) 1 (6.7) 1 (3.3)
     Birth length (cm) .076
      <50 13 (86.7) 7 (46.7) 20 (66.7)
      ≥50 2 (13.3) 8 (53.3) 10 (33.3)
     Type of feeding .241
      Brest feeding 0 (0.0) 1 (6.7) 1 (3.3)
      Mixed feeding 15 (100) 13 (86.7) 28 (93.3)
      Formular feeding 0 (0.0) 1 (6.7) 1 (3.3)
    Dependent variables Exp. Cont. Z* p


    Mean±SD Mean±SD
    Parenting Stress 89.96±19.75 92.93±12.60 1.99 .283
    Mothers’ Role Confidence 101.87±15.16 104.13±16.63 4.50 .243
     Variable Pretest Posttest Difference Z* p



    Mean±SD Mean±SD Mean±SD
    Parenting stress Exp. 89.96±19.75 62.33±20.02 −27.63±9.50 3.36 .001
    Cont. 92.93±12.60 90.33±19.66 −2.60±1.40
    Mothers’ role confidence Exp. 101.87±15.16 155.40±11.58 53.53±17.25 4.50 .001
    Cont. 104.13±16.63 120.53±15.99 16.40±30.30
    Table 1 Homogeneity test for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N=30).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Table 2 Homogeneity test for dependent variables between groups (N=30).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Wilcoxon rank sum test.

    Table 3 Effects of newborn caring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ole confidence (N=30).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Wilcoxon rank sum test.


    STRESS : STRES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