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STRESS : STRESS

Sumissioin : submit your manuscript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STRESS > Volume 32(3); 2024 > Article
Review Article
초등학생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중재: IMB 모델을 기반으로
박혜민1orcid, 김보혜2orcid, 정재희1orcid, 김화정1orcid, 김예빈2orcid
An Integrative Review of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IMB Model
Hyemin Park1orcid, Bohye Kim2orcid, Jaehee Jeong1orcid, Hwa Jeong Kim1orcid, Yebin Kim2orcid
STRESS 2024;32(3):133-141.
DOI: https://doi.org/10.17547/kjsr.2024.32.3.133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4

1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석사과정생

2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생

1Master’s Student,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Doctoral Student,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Yebin Kim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103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Korea E-mail: etmtyb91@snu.ac.kr
• Received: July 20, 2024   • Revised: September 5, 2024   • Accepted: September 5, 2024

Copyright © 2024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rev next
  • 118 Views
  • 15 Download
  • 본 연구는 정보-동기-행동 기술(IMB) 모델을 기반으로 초등학생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통합적 문헌고찰이다. 최근 10년 간 출판된 연구를 검색 후 선정된 9편의 연구는 IMB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효과적인 예방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 요소는 정보 제공, 대인 관계 강화, 감정 관리, 자기 통제력 및 충동 조절력 향상 등이 있었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은 그룹 중재, 시각 자료 활용, 놀이 활동, 부모 참여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정보, 동기, 행동 기술을 통합한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and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interventions designed to prevent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IMB) model.
  • Methods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examined studies published in the last ten years that focus on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using the IMB model, which includes information, motivation, and behavioral skills as key components.
  • Results
    The analysis identified several critical components of effective prevention programs: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al management, self-control, and impulse control skills. Effective programs often included group interventions, visual aids, play activities, and parental involvement.
  •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balanced integration of information, motivation, and behavioral skills is essential for developing effective prevention programs for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preven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is age group.
국내 인터넷의 보급은 2000년대 초반을 기점으로 빠르게 확산하였으며, 인터넷을 기반으로 휴대성까지 더한 스마트폰은 사용자 폭이 더욱 빠르게 어린 연령층까지 확장되어 왔다. 스마트폰 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터넷 중독과 더불어 스마트폰 중독은 청소년기의 중요한 정신건강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인식과 대처가 시장의 성장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며 전 세계적으로 청소년기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이 공론화되고 있다[1,2].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시행한 실태조사에서 10대 청소년의 94.6%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으며, 10대 미만에서도 57.8%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청소년 중 절반 이상이 초등학생 시기에 처음 스마트폰을 시작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초등학교 4∼6학년의 시기였다고 보고하였다[4]. 더불어 최초 인터넷 이용 시기는 초등학교 저학년, 미취학 아동으로 점차 낮아지고 있어[5] 인터넷/스마트폰과 관련되어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 학령기 어린이로 구분되는 초등학생 전체의 연령을 포함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이란 내성, 금단, 강박, 일상생활 장애 등 중독의 특성이 인터넷/스마트폰의 과다한 사용에 수반되는 것을 말한다[6,7]. 초등학생은 자기 통제력과 뇌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에 더 취약하다[8]. 초등학생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에 빠지는 경우 신체적ㆍ정신적 성장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은 다수의 연구를 통해 보고되어 왔다.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혹은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초등학생은 사회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9,10], 인터넷/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할수록 학교생활 적응에 부적절한 영향을 끼치고 학업 성적을 떨어뜨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13]. 또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은 초등학생의 공감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고[13], 충동성과 공격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14,15], 정서적 영역에서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16,17].
중독은 근본적인 원인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 다른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18] 중독에 빠지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중재라고 볼 수 있다[19]. 인터넷의 유용성이나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은 인터넷 도박, 인터넷 게임 중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약물에의 접근 등 다른 사회적 문제로 연결될 가능성 또한 가지고 있다[1]. 스마트폰 중독의 경우 인터넷과 컴퓨터, 이동성 모두를 통합한 기기의 특성상 중독의 양상이 인터넷 중독과 비교할 때 더 심하고 만성적인 특징을 보이기 때문에[20] 인터넷/스마트폰 모두 중독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충동적 반응을 억제하는 능력은 생애 초기부터 발달하여 청소년기까지 지속적으로 그 효율성이 개선되는데[21], 특히 11∼13세에 충동성과 새롭고 자극적인 감각을 추구하는 경향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이후 평준화되는 경향이 있다[22]. 발달 기간동안 중재를 통해 뇌의 능력을 회복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고[23], 학령기에 인지ㆍ사회ㆍ정서적 영역과 관련된 중재 프로그램을 경험한 경우 근본적이고 장기적으로 건강 능력을 향상하는 방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24]. 그러므로 초등학생 고학년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중재를 시행하기에 가장 적절한 목표 집단으로 적절한 목표 집단으로 고려된다.
정보-동기-행동 기술(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 이하 IMB) 모델은 후천성 면역결핍증 예방을 위한 행동 변화를 촉진하고 평가하기 위해 제안된 개념적 모델이다[25]. 이 모델은 특정 건강에 대한 예방 행동을 위한 3가지 기본적인 결정요인으로 정보, 동기, 행동 기술을 제시하며,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이를 촉진하기 위한 개입 방법을 제시한다[25]. 정보는 예방 행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의미하며, 예방을 위한 행동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식수준을 파악하여 인구 집단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지식의 변화를 유도하여 예방 행동을 촉진할 수 있다[25]. 동기는 개인이 예방 행동을 취하려는 의지와 태도를 의미하며, 예방 행동에 대한 개인적 태도, 신념 및 가치관인 개인적 동기와 예방행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인 사회적 동기가 해당한다[26]. 행동 기술은 정보와 동기부여가 습득된 개인이 예방 행동을 효과적으로 행동화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예방 행동에 대한 객관적인 수행 능력과 그 수행 능력에 대한 주관적인 신념인 자기 효능감을 들 수 있다[26,27]. IMB 모델은 후천성 면역 결핍증, 알코올, 약물 중독 예방뿐만 아니라 당뇨, 관상동맥질환, 자궁경부암 등 특정 질환에 대한 자기 관리 및 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28,29]. 선행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필요한 정보, 동기, 행동 기술을 명료화하여 프로그램의 핵심 요소에 포함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30].
최근 10년간 초ㆍ중ㆍ고등학생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관련 요인을 탐구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실질적인 중독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에 보고된 메타분석을 통해 청소년 대상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실제적인 효과를 파악한 연구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은 중독 수준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31]. 또한 중독 군 중심의 소규모 집단일수록, 회기가 길어질수록 효과적이었으며, 대상 군별로는 중ㆍ고등학생보다 초등학생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31]. 하지만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지고 있으며[32-35],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통합적 문헌 고찰이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대해 예방 행동 및 건강행동 중재 연구의 이론적 기초로 사용되는 정보-동기-행동 기술(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 이하 IMB)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내용과 교육 방법에 대해 탐색하고 핵심 요소를 파악하여 학령기 아동인 초등학생의 인터넷/스마트폰 사용 문제에 대한 향후 연구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외에서 초등학생을 대상 로 수행한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 중재 연구를 고찰하여 제공된 중재의 특성과 결과를 파악하기 위한 통합적 문헌 고찰 연구이다.
2. 연구 절차
본 연구에서 통합적 문헌 고찰은 Whittemore와 Knafl [36]이 개발한 5단계 통합적 문헌 고찰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의 문제를 식별하는 단계(Problem identification stage)는 연구 문제와 문헌 고찰 목적을 명확하게 하는 단계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예방 중재를 중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중재의 특성과 결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문헌 검색 단계(Literature search stage)에서는 연구 문제와 관련된 모든 자료를 검색하고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엄격히 적용하여 적합한 문헌을 선정하였다. 세 번째, 문헌 평가 단계(Data evaluation stage)에서는 문헌검색 과정에서 선정된 문헌을 평가하는 것으로 원문을 읽으며 연구 주제 적합성, 문헌의 질 수준을 논의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네 번째, 문헌 분석 단계(Data analysis stage)에서는 문헌을 편견 없이 해석하고 의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각 문헌의 중재 내용과 적용 방법 및 결과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의미를 종합하였다. 다섯 번째, 문헌 제시(Presentation) 단계는 연구 문제에 따른 통합적 문헌 고찰의 결과를 표 또는 그림 형식으로 보고하는 단계로,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표로 제시하였다.
3. 연구 대상
본 연구는 문헌 고찰 시 사용하는 PICO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틀에 근거하여[37] 문헌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논문은 2013년 1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국내외에서 게재된 학술지 논문 중 (1) 대상자(P)는 7세∼13세에 해당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며 국외의 경우 해당 국가 초등학생에 해당할 경우 연구에 포함하였다. (2) 중재(I)는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시행된 중재가 해당하였다. (3) 비교 중재(C)는 중재를 받지 않거나 대체 중재를 받은 비교 집단이 있거나 비교 집단이 없는 경우 모두 포함하였으며, (4) 결과(O)는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한 결과가 기술된 논문을 포함하였다. 제외 기준은 대상자가 중ㆍ고등학생 또는 대학생이 포함된 경우, 이미 중독으로 진단받아 치료받고 있거나 기타 정신과 질환 진단을 받은 경우, 중재가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이 목적이 아닌 경우 제외, 학위논문, Systematic Review, Review paper, Protocol, 도구 개발 관련된 연구, poster 및 학술대회 발표 자료인 경우, 한국어 또는 영어가 아닌 경우 제외하였다.
4. 자료수집
본 연구는 2013년 1월부터 2023년 10월에 국내외에서 발표된 연구로, 국외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MEDLINE(PubMed), CINAHL, EMBASE였고, 국내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한국학술정보(KISS), 학술연구정보 서비스(RISS), DBpia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2013년 발표된 DSM-5에서 행위중독에 대한 분류가 새롭게 개정되었으며,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은 공식적인 진단명으로 분류되지는 않았으나 인터넷 게임 중독이 포함되는 등 관련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기 시작한 시점이라고 판단하여 2013년을 문헌 검색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국외의 경우(Internet OR phone*) AND (addicti*) AND (adolescent* OR child* OR primary school OR elementary school) AND (preventi*) AND (program OR education OR intervention), 국내는 (인터넷 OR 스마트폰 OR 휴대폰) AND (중독) AND (초등학교 OR 초등학생 OR 어린이) AND (예방) AND (프로그램 OR 교육 OR 중재)로 검색식을 만들어 문헌 검색을 수행하였다. 검색결과 총 1,476개 문헌이 확인되었으며, MEDLINE (PubMed) 582개, CINAHL 149개, EMBASE 570개, KISS 60개, RISS 69개, DBpia 46개였다. 다음의 문헌을 서지관리프로그램인 EndNote를 통해 목록화한 후 중복된 문헌인 411개 제거하였다. 중복이 제거된 1,065개를 선정 및 제외 기준에 따라 문헌의 제목과 초록 확인을 통해 1,052개를 제외하였다. 남은 문헌 13개를 원문을 찾아 확인하였으며, 콘퍼런스 초록 1개, 초등학생 대상이 아닌 2개,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예방 중재가 아닌 1개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선택한 문헌은 총 9편이었다(Fig. 1). 문헌 선정 과정은 5명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5인이 각각 문헌 검색을 시행한 후 중복 문헌을 제거하였고, 주관적 견해에 의한 배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2인씩 중복으로 초록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남은 13개의 원문은 5인이 모두 본문을 확인하여 충분한 논의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5. 연구의 질 평가
선정된 문헌 모두 유사 실험연구로 문헌의 질 평가를 위해 Joanna Briggs Institute (JBI)의 Critical Appraisal Checklist for Quasi-Experimental Studies (non-randomized experimental studies)를 활용하였다[38]. JBI 질 평가의 평가 항목은 총 9개의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은 ‘예’, ‘아니오’, ‘불명확함’, ‘해당없음’ 4가지로 평가된다. 질 평가 항목에 대한 ‘예’라는 답변은 1점을 부여하고, ‘아니오’ 또는 ‘불명확함’은 0점을 부여하였다. ‘해당없음’은 대상 연구의 점수 합계에 포함하지 않았다. 질 평가와 관련하여 상의가 필요한 경우 연구자 간 상의를 통해 최종 합의된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선정 논문의 질 평가
선정된 문헌의 질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 1편을 제외한 나머지 연구가 대조군이 있었으며, 6편 연구에서 그룹 간 동질성에 대해 제시하였고, 프로그램 이외에 대조군이 받는 처치나 중재에 대한 설명이 명확하지 않은 것이 8편이었다. 8편 연구에서 중재 전, 후에 동일한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고, 2개의 연구에서 프로그램 시행 직후 평가된 추후 검사 이외에도 추수 검사를 시행하였다. 측정 도구의 신뢰도에 대해 설명하지 않은 연구가 1편 있었는데, 해당 연구에서 사용한 원 도구의 크론바흐 알파 계수 0.8 이상이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된 바 있어 분석에서 제외하지 않았다[39-47].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연구의 질이 낮은 경우 문헌을 분석에서 제외하기보다는 의미 부여를 낮게 하기로 상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정된 9편 모두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2. 선정 논문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 분석한 최근 10년 내의 총 9편의 논문 중 국외 연구는 없었고 모두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100%)였다. 연도별 분포를 살펴보았을 때는 2014년부터 2017년 사이에 6편(66.7%), 2019년부터 2022년까지 3편(33.3%)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설계 측면에서는 8편(88.9%)이 유사 실험 설계였고, 1편(1.11%)은 단일집단 사전 사후 설계로 유사 실험 설계연구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중재의 대상은 초등학교 대상이 8편(88.9%)이고 1편(1.11%)만이 초등학생과 그들의 부모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대상자 연령은 5∼6학년 4편(44.4%), 4∼5학년 3편(33.3%), 4학년 1편(11.1%), 2학년 1편(11.1%)으로 확인되었고 모두 그룹으로 중재를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주 목적은 5편(55.6%)이 스마트폰 중독 예방, 2편(22.2%)이 인터넷 중독 예방, 2편(22.2%)이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이었다(Table 2).
3. 중재 진행 방식 및 결과의 측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예방 중재 연구에서 진행 방법은 9편 모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영상 및 강의자료 이용 교육, 음악/미술/신체활동을 포함한 통합 중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중재 기간은 일회성 교육 중재 1편을 제외하고 2주부터 12주까지(관련 정보 부재로 1편 제외), 빈도는 1회부터 12회, 회당 중재 시간은 30분∼90분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였다. 중재는 초등학교와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 지역 아동센터에서 연구자/정신보건 간호사/상담사/예방교육 전문강사(관련 정보 부재로 1편 제외)에 의해 이루어졌다.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측정된 결과로는 인터넷/스마트폰 사용 시간, 중독에 대한 인지된 심각성과 취약성을 평가한 위협평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를 사용한 위험 수준과 중독의 하위 요인이 있었다. 또한 자기조절 능력 척도, 자기 통제력 척도, 스마트폰 사용 척도를 통해 자기조절, 자기통제,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자기 효능감과 반응 효능감을 통합한 대처 평가를 측정하여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대한 자기 믿음과, 예방 노력이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한 믿음을 평가하고자 했으며 사회적 동기와 관련된 또래 관계와 가족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친구 수, 친구관계 만족도, 부모와의 관계 만족도, 또래관계 기술 척도 등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우울척도를 사용하여 친구관계와 가족관계 및 인터넷/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4. IMB model 기반으로 분석한 중재의 핵심 요소
Table 3은 초등학생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중재와 관련된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한 결과, 도출된 예방 중재를 구성하는 핵심 요인이다. 이 핵심 요인을 IMB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정보 구성 요소로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사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제공된 정보에는 중독의 정의, 유형, 부작용에 대한 교육,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의 장단점 탐색, 중독 예방법 안내 등이 포함되었다. 강의, 교육 자료 제공, 비디오 시청과 같은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중독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였다.
동기 구성 요소로는, 중독 예방에 대한 의지를 증진하기 위해 대인 관계 강화와 감정 관리에 주안점을 뒀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인터넷/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긍정적, 부정적 감정을 인식하도록 하는 활동(감정 카드 활용, 역할극, 그룹 활동)을 통해 중독 예방에 대한 동기를 강화하였다. 또한, 가족, 친구 등과의 관계를 통해 중독 예방에 대한 동기를 높였다.
행동 기술 요소로는, 참여자들이 중독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습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자기 통제력과 충동 조절력을 향상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는데, 이는 인터넷/스마트폰 사용 계획서 작성, 사용 시간제한 설정, 중독 위험 요인 파악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더불어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안 활동을 개발하고 소개했다. 이러한 대안 활동은 미술 활동, 운동, 독서, 음악 감상, 감정 카드 게임 놀이 등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중독을 예방하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감정을 관리하는 방법을 교육하여 참여자들이 스트레스와 우울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도록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감정적인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스트레스와 우울을 조절하는 기술을 배우며, 이러한 지원이 중독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외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중재 연구에 대한 통합적 고찰을 IMB 모델을 기반으로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통합적 고찰의 결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 프로그램의 특징적인 구성 방법을 파악하였고 IMB 모델의 각 구성요소인 정보, 동기, 행동 기술과 연관된 중재의 핵심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는 중독 예방 프로그램 분석에 IMB 모델이 적합한 모델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예방을 위한 중재를 구성하는 데 있어 IMB 모델의 활용성을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IMB 모델을 적용하여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도출된 핵심 요소들을 고려하여 내용을 구성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중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IMB 모델의 설명력을 높이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최종 선정된 9편의 연구들을 IMB 모델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나타난 특징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인식과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정보는 예방 행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요소로 예방과 관련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은 예방 행동을 촉진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하였다[27,48]. Choi 등[27]의 연구에서 정보가 없이는 행위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으며 정보가 행위 관련 신념이나 태도의 변화를 유발하고, 반대로 신념이나 태도의 변화가 정보 추구를 유발하여 행위 변화로 이행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논문들 또한 모두 예방 교육의 구성 내용에 중독의 정의, 유형, 부작용에 대한 교육,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의 장단점 탐색, 중독 예방법 안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행위 변화를 위한 정보의 전달을 통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의 효과를 높이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 초등학생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해 유인물, 발표 자료, 동영상 등의 다양한 시각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게임이나 퀴즈 및 발표와 토론 등 흥미를 유발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는 교수법을 사용하였다[49]. 중독 예방을 위한 정보의 구성에 있어 Lee 등[30]의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등 미디어 중독 교육에 대한 현장 전문가 집단과 교사 집단에서는 중독적 사용에 대한 치료적 개념보다 올바르고 효율적인 사용 방법에 대한 접근을 요구하고 있는바, 향후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에서는 유익한 활용을 위한 정보 제공의 자세로 대상자들의 저항감을 최소화하며 정보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예방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동기를 강화하기 위하여 감정관리와 대인관계 강화에 주안점을 둔 중재가 시행되었다. IMB 모델에 따르면 예방 동기는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로 구분되며, 예방 행동과 변화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가정되었다[48]. 문제 행동의 변화 과정에는 특정 행동의 변화를 위한 자발적인 욕구인 변화 동기가 존재하며, 변화 동기의 강도나 양이 클수록 부적응적 행동의 변화 가능성은 높아진다고 하였다[50]. Rollnick [51]은 변화 대화를 통해 변화 동기 강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는데, 변화 대화란 현재의 문제행동을 지속했을 때의 단점, 변화 시 생기는 이점, 변화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생각 및 표현이나 의지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대화를 통해 변화 동기를 강화하여 스스로 자신의 변화를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하였다. 이는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인터넷/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긍정적ㆍ부정적 감정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예방 행동과 그 변화 결과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신념인 개인적 동기를 강화하여 중독 예방을 도모하고자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한 것을 지지한다. 또한, 가족, 친구 등 관계 증진을 통해 의미 있는 타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소망을 자각하는 사회적 동기를 강화하도록 중재가 구성되었다. 부모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한 연구가 있었는데, 이는 초등학생이 부모에게 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받는 시기임을 고려하였다[52].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중독적 사용에 있어 부모 중재 요인이 부모-자녀 관계에 있어서 매체 중독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임을 고려할 때[30],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예방을 위한 초등학생 교육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통제와 지지를 통해 동기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부모 지침의 마련과 효과성 평가를 포함할 것을 제언한다. 아동을 둘러싼 환경은 부모에게서 점차 또래 집단으로 확대되어 가는데, 이때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인지 사회적 발달에 중요하며 강화자, 비교 준거의 역할을 한다[53]. 또래로부터 거부되는 것을 위기라고 인식하고 친구들과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는 시기임을[54]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살펴본 연구들 역시 개인보다는 그룹을 대상으로 한 중재 진행이 주를 이루었으며 대상자의 사회적, 정서적 동기 강화를 위한 활동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초등학생은 부모 및 또래 관계 등 의미 있는 타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시기인 만큼 동기 형성 및 강화를 위해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요소를 확인하고 향상시키는 전략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습득한 지식과 강화된 동기를 실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하는 행동 기술 요소[25]인 자기 통제력과 충동성 조절이 행동 요소의 주요한 부분으로 확인되었다. 자기 통제력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과도한 사용 시간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자기 통제력이 높을수록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낮추며[55,56],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중독 성향을 보다 많이 보인다고 하였다[57,58]. 그동안의 연구는 중독을 예방하는 단일 요인으로 자기 통제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본 통합적 고찰을 통해서는 자기 통제력뿐 아니라, 인터넷/스마트폰 사용 계획서 작성, 사용 시간제한 설정, 중독 위험 요인 파악 등 참여자들이 중독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습득하는 데 초점을 맞춘 내용 구성을 통해 자기 통제력과 함께 충동성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이 구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그동안의 연구들이 중독을 예방하는 보호요인으로 자기통제력만을 강조하였으나[39,55,59],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충동성[60]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여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기 통제력과 충동성 조절을 통합한 프로그램을 구성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발달 심리학적 특성을 고려한 놀이 치료와 같은 대안 활동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9편 중 7편의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이는 감정 조절과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에 더해 자기 통제력과 충동성 조절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행동 기술들을 강화하는 중재 전략은 중독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인터넷/스마트폰 사용 정도에 있어 문제 단계의 초등학생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최종 선정된 문헌에 국외 문헌이 포함되지 않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문화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본 연구는 문헌 검색 단계에서 학회 발표, 학위논문 등과 같은 회색 문헌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출판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
앞선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통합적 고찰을 통해 초등학생으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핵심 요소를 파악하고 정보, 동기, 행동 기술을 균형 있게 구성하는 구체적인 전략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분석 결과 정보 구성 요소로는 ‘정보’, 동기 구성 요소로는 ‘대인관계 강화’, ‘감정관리’, 행동 기술 요소로는 ‘자기 통제력 향상’, ‘충동 조절력 향상’, ‘대안 활동’이 프로그램의 핵심 요소로 도출되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나타난 특징적 구성 방법으로는 그룹 중재, 다양한 시각 자료 활용, 놀이 활동, 부모의 참여 등이 있었다. 대상자 맞춤 중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에는 정보, 동기, 행동 기술을 균형 있게 구성하고 초등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추가적인 실증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authors wish to express their deepest gratitude to Professor Sungjae Kim for their invaluable guidance and advice throughout the research and writing process.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is study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Professor Kim’s exceptional teaching and support.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None.

Fig. 1.
Flow chart of the screening process.
kjsr-2024-32-3-133f1.jpg
Table 1.
Results of the quality assessment of the studies (N=9)
Authors (Year) Question number
Q1 Q2 Q3 Q4 Q5 Q6 Q7 Q8 Q9 Score
Kim D. I. et al. (2017) Y N UC Y Y N Y Y Y 6/9
Kim D. I. et al. (2020) Y N UC Y Y N Y Y Y 6/9
Kim H. S. et al. (2015) Y Y UC Y Y N Y Y Y 7/9
Kim H. J. et al. (2014) Y Y UC Y Y N Y Y Y 7/9
Mun & Lee (2015) Y Y UC Y Y Y Y Y Y 8/9
Park M. S et al. (2017) Y NA UC N Y N Y Y Y 5/7
Yum J. Y. et al. (2016) Y Y UC Y N N Y Y Y 6/9
Cho. H. S. et al. (2019) Y Y UC Y Y Y Y Y Y 8/9
Jo & Bang (2022) Y Y Y Y Y Y Y Y Y 9/9

Y: Yes, N: No, UC: Unclear, N/A: Not Applicable, Q1: Certainty of the cause and the effect, Q2: Similarity between the participants, Q3: Control of the history effect, Q4: Existence of the control group, Q5: Multiple measurements of outcome (pre/post), Q6: Completion of the follow-up, explanation of the attrition, Q7: The sameness of the measurement method, Q8: Reliability of measurement, Q9: Statistical appropriacy.

Table 2.
Summary of overall intervention
Authors (year) Program session Time Period (weeks) Intervention Place/Instructor Strategies according to IMB construct Contents Significant outcome variables
Kim D. I. et al. (2017) 6 40 2-6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Each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Professionally trained preventive education instructor IC: instruction, role play, quiz 1st: Introducing program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F=4.846, p<.028)
Prevention program MC: discussion, 2nd: Learning about the changes happening in my body
BSC: plan, game, discussion, 3rd: Learning about the changes happening in my mind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K-scale) (F=0.042, p<0.838)
4th: Finding alternative activities
5th: Learning about netiquette Self -regulatory (F=6.033, p<.014)
6th: Finalizing program
Kim D. I. et al. (2020) 6 40 2-3 Smartphone addiction I Will Center (Seoul)/Instructor -IC: instruction, quiz, handout 1st: Awareness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F=3.752, p<.028)
Prevention program -MC: game, discussion 2nd: Acceptance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K-scale) (F=2.399, p<0.124)
-BSC: plan, discussion, making activity 3rd: Attitude
4th: Online game addiction Tolerance (p<.05)
5th: SNS addiction Good use of smartphone (F=.911, p=.171)
6th: Summary Expending life experience (p<.02)
Kim H. S. et al. (2015) 12 40 6 Smartphone addiction Elementary school/Researcher -IC: instruction, video, quiz, discussion 1st: introducing program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for preschooler) (F=2.59, p<0.12) (salience, impulsivity-compulsive use, tolerance, interpersonal conflict: p<.01)
Prevention program -MC: group counselling, storytelling 2nd-3rd: Smartphone recognition
-BSC: plan, game, group counselling, music activity 4th-6th: Improving self-control
7th-9th: Impulse control
10th-11th: Smart phone and family relationship
12th: Finalizing program
Kim H. J. et al. (2014) 12 40 Not specified Smartphone addiction Elementary school/Counsellor -IC: instruction, video, discussion, game 1st: Introducing program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F=545.8, p<.000) (Difficulties on Daily Living, Withdrawal, Tolerance, Virtual World Oriented: p= .00)
Prevention program -BSC: role play, plan, group counselling, music activity 2nd-4th: Smartphone recognition
5th-6th: Improving self-control
7th-9th: Alternative activities
10th-11th: Impulse control
12th: Finalizing program
Mun & Lee (2015) 8 50 4 Internet addiction School health education room/ School nurse -IC: instruction, video, discussion 1st: Knowing the internet correctly Self- regulation (SCRS) (F=5.17, p=.027)
Prevention program -MC: group counselling 2nd: Exploring life change from the internet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KS) (F=39.39, p<.001)
-BSC: plan, awarding 3rd: Doing self-control Hours of internet use per day (F=1.98, p=.165)
4th: Doing self-understanding
5th: Controlling stress
6th: Calming oneself
7th: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8th: Challenges for future dreams
Park. M. S. et al. (2017) 3 40 3 Internet addiction Elementary school/Researcher -IC: instruction 1st: Introduction of the program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KS-II) (F=39.974, p=0.000)
Prevention program -BSC: plan, discussion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Internet
The meaning of the internet addiction and its example
Make the rule of your own – 1st
2nd: Evaluation of the previous program
Effect of Internet use
Make the rule of your own – 2nd
Exploration of the alternatives of Internet
3rd: Evaluation of the previous program
Understanding of the alternatives and its actual impact
Yum J. Y. et al. (2016) 1 30 1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room or classroom in the elementary school/Unknown -IC: instruction, handout 1st: Threat appraisal (The usage patterns of smartphones, the harmfulness and seriousness of smartphone addiction) Threat appraisal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F=0.36, p=0.548)
Prevention program -BSC: discussion 2nd: Coping appraisal (The causes and prevention methods of smartphone addiction, smartphone prevention guidelines for daily life) Coping appraisal (self efficacy) (F=0.51, p=0.478)
Cho. H. S. et al. (2019) 8 45 2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Community children’s center/Researcher -IC: instruction, 1st: Introducing program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KS-II) (t=2.294, p<0.05)
Prevention program -MC: sharing feeling, group counselling, art activity 2nd: Checking smartphone /Internet usage patterns, asses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style patterns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t=2.294, p<0.05)
-BSC: group counselling 3rd: Reflecting on and expressing emotional words, identifying smartphone patterns and triggered emotions. Depression (CES-D) (t=2.489, p<0.05)
4th: Understanding myself and understanding differences with others
5th: Expressing myself, listening to and reflecting on others
6th: Exploring my strengths and weaknesses for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7th: enhancing time management skills
8th: encouragement for setting short-term goals
Cho Jo & Bang (2022) 12 90 12 Smartphone addiction Community children’s center/researcher -IC: instruction, video 1st-2nd: orientation and enhancing pe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s (PRSS) (p For group*time=0.047)
Prevention program -MC: sharing feeling, art activities, game, discussion, role play 3rd-4th: enhancing group cohesiveness, developing social skill and empathy Depression (CES-DC 11) (p For group*time=0.010)
-BSC: art activities, game, discussion 5th-6th: Improving self-control and increasing positive affect Self-control (SCRS) (p For group*time=0.688)
7th-8th: Improving self-control and developing moral judgement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p for group*time=0.039)
9th-11th: Developing altruism, experiencing imitative behavior and imitative behavior
12th: finalizing program

IMB: Information-motivational-behavioral skills, IC: Information construct, MC: Motivation construct, BSC: Behavioral skills construct,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PRSS: Peer Relational Skills Scale, CES-DC 11: Centers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for Children, SCRS: Self-Control Rating Scale, KS scale: Integration of the internet (K-scale) and smartphone scale (S-scale), KS-II: Internet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

Table 3.
The core elements of interventions
IBM elements Core elements Kim D. I. et al. (2017) Kim D. I. et al. (2020) Kim H.S. et al. (2015) Kim H. J. et al. (2014) Mun & Lee (2015) Park. M. S. et al. (2017) Yum J. Y. et al. (2016) Cho. H. S. et al. (2019) Jo & Bang (2022)
Information Awareness
Motivation Relationship
Emotion
Behavioral Skill Self-control
Impulse-control
Alternative activity
  • 1. Fineberg NA, Menchón JM, Hall N, Dell'Osso B, Brand M, Potenza MN, et al. Advances in problematic usage of the internet research - A narrative review by experts from the European network for problematic usage of the internet. Comprehensive Psychiatry. 2022;118:152346.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22.152346ArticlePubMed
  • 2. Ko YJ, Kim SH, Park S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tic study of programs for the problems of smartphone addiction in Korean youth: focusing on anxiety, depression, impulsiveness, self-control, self-esteem and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22;36(1):5-19. https://doi.org/10.5932/JKPHN.2021.36.1.5Article
  • 3. Jeong YC, Kim YH, Oh YS. Korea Media Panel Survey 2022.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22.
  • 4. Kim KT.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smartphone usage among Korean adolescents.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17;(56):115-142. https://doi.org/10.17939/HUSHSS.2017..56.006Article
  • 5. Cho HS. A study on the solution for the internet, smartphon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of teenager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9;26(10):291-310. https://doi.org/10.21509/KJYS.2019.10.26.10.291Article
  • 6. Cerniglia L, Zoratto F, Cimino S, Laviola G, Ammaniti M, Adriani W.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ce: Neurobiological, psychosocial and clinical issues.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2017;76:174-184. https://doi.org/10.1016/j.neubiorev.2016.12.024ArticlePubMed
  • 7. Lin Y-H, Chang L-R, Lee Y-H, Tseng H-W, Kuo TBJ, Chen 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 (SPAI). PLOS ONE. 2014;9(6):e98312.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98312ArticlePubMedPMC
  • 8. Hsieh Y-P, Shen AC-T, Wei H-S, Feng J-Y, Huang SC-Y, Hwa H-L. Internet Addiction: A Closer Look at Multidimensional Parenting Practices and Child Mental Health.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018;21(12):768-773. https://doi.org/10.1089/cyber.2018.0435Article
  • 9. Kim Y, Im D. An effect of smart phone addiction on sociality development in hig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ling Education,. 2016;5(1):63-81.
  • 10. Park SO, Yu S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Addiction and Social Adjustment Ability of Elementary. Journal of Student Guidance. 2003;12(-):110-132.
  • 11. Kim SS. The analysis of the internet addiction and the school adapt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004;11(1):19-37. https://www.earticle.net/Article/A2226
  • 12. Byun HS, Kweon SY.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nelin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4;23(4):303-317.
  • 13. Choi JO. The Impa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Academic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Impairment &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2015;13(2):43-54.
  • 14. Park WS, Kim CS. The Effect of Internet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on Impulsiveness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2012;22(2):232-238. https://doi.org/10.5391/JKIIS.2012.22.2.232Article
  • 15. Shin SC, Baek SK.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on aggression.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egement,. 2013;9(11):345-362.
  • 16. Baek HW, Shin YM, Shin KM.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related to smartphone overus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14;53(5):320-326. https://doi.org/10.4306/jknpa.2014.53.5.320Article
  • 17. Shin SC, Lee KY, Choi SY. Effect of internet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on their mental health and physical symptom, scholast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2008;5(1):141-162.
  • 18. Gutman SA. Why Addiction Has a Chronic, Relapsing Course. The Neurobiology of Addiction.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2006;22(2):1-29. https://doi.org/10.1300/J004v22n02_01Article
  • 19. Orford J. Excessive appetites: A psychological view of addictions, 2nd ed. New York, NY, US: John Wiley & Sons Ltd; 2001, xiii, 406-xiii, p.
  • 20. Kim MS, Choi EM, Lee SH, Bae JH. Development and preliminary outcome study of smartphone over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of middle school.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2013;12(4):307-318. https://doi.org/10.9716/KITS.2013.12.4.307Article
  • 21. Luna B, Garver KE, Urban TA, Lazar NA, Sweeney JA. Maturation of Cognitive Processes From Late Childhood to Adulthood. Child Development. 2004;75(5):1357-1372.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4.00745.xArticlePubMed
  • 22. Littlefield AK, Stevens AK, Ellingson JM, King KM, Jackson KM. Changes in negative urgency, positive urgency, and sensation seeking across adolesc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16;90:332-337. https://doi.org/10.1016/j.paid.2015.11.024ArticlePubMedPMC
  • 23. Ewald DR, Strack RW, Orsini MM. Rethinking Addiction. Global Pediatric Health. 2019;6:2333794X18821943. https://doi.org/10.1177/2333794x18821943ArticlePubMedPMC
  • 24. Hertzman C, Wiens M. Child development and long-term outcomes: A population health perspective and summary of successful interventions. Social Science & Medicine. 1996;43(7):1083-1095. https://doi.org/10.1016/0277-9536(96)00028-7ArticlePubMed
  • 25. Fisher JD, Fisher WA. Changing AIDS-risk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1992;111(3):455-74. https://doi.org/10.1037/0033-2909.111.3.455ArticlePubMed
  • 26. Fisher JD, Fisher WA, Amico KR, Harman JJ. An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of adherence to antiretroviral therapy. Health Psychology. 2006;25(4):462. -r73. https://doi.org/10.1037/0278-6133.25.4.462ArticlePubMed
  • 27. Choi SY, Song MS. Behavior Change Theories in Diabetes Self-management: A Conceptual Review.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0;7(1):1-9.
  • 28. Chang SJ, Choi SY, Kim SA, Song MS.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for Health Behavior Change: A Systematic Review. Asian Nursing Research. 2014;8(3):172-181. https://doi.org/10.1016/j.anr.2014.08.002Article
  • 29. Sharma M.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 skills (IMB) model: need for utilization in alcohol and drug education. Journal of Alcohol and Drug Education. 2012;56(1):3-7.
  • 30. Lee YS, Lee DH, Kim EY, Kang SY, Kim LS, Choi YH, et al.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 Korea Youth conseling and Welfare Institute. 2013. 1-214 p.
  • 31. Kim HS, Yang JH.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6;32(1):259-281. https://doi.org/10.18859/ssrr.2016.02.32.1.259Article
  • 32. Lee EJ. Research trends related to problematic smartphone use among school-age children including parental factors: a text network analysi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23;29(2):128-136. https://doi.org/10.4094/chnr.2023.29.2.128ArticlePubMedPMC
  • 33. Kim HJ, Cho BH. Relationship of internet addiction and mental health of 5-6th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3;16(2):97-110.
  • 34. Lee SJ. Analysis of Smartphone Addiction Status and Risk among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14;18(2):203-212.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2.203Article
  • 35. Jo MH. The Current Status and Affecting Factors of Elementary Students' Internet Addiction in Comparison with Second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06;10(1):47-57.
  • 36.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5):546-5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ArticlePubMed
  • 37. Julian P.T. Higgins JT, Jacqueline Chandler MC, Tianjing Li, Welch VJHW.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Hoboken: Wiley. 2019.
  • 38. Barker T H, Habibi N, Aromataris E, Stone J C, Leonardi-Bee J, Sears K, et al. The revised JBI critical appraisal tool for the assessment of risk of bias quasi-experimental studies. JBI Evidence Synthesis. 2024;22(3):378-388. https://doi.org/10.11124/JBIES-23-00268ArticlePubMed
  • 39. Kim DI, Keum CM, Park ATR, Lee SH.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net &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Youth.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17;18(2):293-314. https://doi.org/10.15753/aje.2017.06.18.2.293Article
  • 40. Kim DI, Woo YY, Lim JE, Lee SB, Song JS, Choi SM. Effectiv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cusing on Self-regula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20;21(5):315-338. https://doi.org/10.15703/kjc.21.5.202010.315Article
  • 41. Kim HS, Yu HK, Nam SY. Development of a Parents-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in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r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5;24(3):131-510. https://doi.org/10.17643/KJCE.2015.24.3.08Article
  • 42. Kim HJ, Yu HK, Jeong YH.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4;14(5):87-106.
  • 43. Mun SY, Lee BS. Effects of an Integrated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ion and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2):251-261. https://doi.org/10.4040/jkan.2015.45.2.251ArticlePubMed
  • 44. Park MS, Jon DI, Hong HJ, Jung MH, Hong N. The Effect of the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iatry,. 2017;22(2):84-90.
  • 45. Yum JY, Choi SJ, Chung MH, Choi IH, Jeong SH.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016;33(2):125-160.
  • 46. Cho HS, Kang JK, Kang DM.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9;28(3):169-182. https://doi.org/10.17643/KJCE.2019.28.3.09Article
  • 47. Jo J, Bang K-S. The effect of peer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on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late school-age children in South Korea.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22;63:127-135. https://doi.org/10.1016/j.pedn.2021.09.025ArticlePubMed
  • 48. Fisher JD, Fisher WA, Williams SS, Malloy TE. Empirical tests of an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of AIDS-preventive behavior with gay men and heterosexual university students. Health Psychology. 1994;13(3):238-250. https://doi.org/10.1037/0278-6133.13.3.238ArticlePubMed
  • 49. Park SY, Kim YS. Contents Construction Method for Informatics Textbook Based 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007;23(4):275-288.
  • 50. Prochaska JO, DiClemente CC. Transtheoretical therapy: Toward a more integrative model of change.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 Practice. 1982;19(3):276-288. https://doi.org/10.1037/h0088437Article
  • 51. Rollnick S. Motivational interviewing: Preparing people for change: Guilford Press; 2002.
  • 52. Crain W. Theories of development: Sigmapress; 2005.
  • 53. Hwang HJ. The Development of Friendship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2;23(3):35-49.
  • 54. Hodges EVE, Malone MJ, Perry DG. Individual risk and social risk as interacting determinants of victimization in the peer group. Developmental Psychology. 1997;33(6):1032-1039. https://doi.org/10.1037/0012-1649.33.6.1032ArticlePubMed
  • 55. Jeong BI, Park HS.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control and Internet Expectation on Internet Addiction -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Raising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14;19(3):127-134. https://doi.org/10.9708/jksci.2014.19.3.127Article
  • 56. Jeong SR, Yu HK, Nam SI.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Addiction to Smart-phones in a Potential Risk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4;15(3):1145-1162. https://doi.org/10.15703/kjc.15.3.201406.1145Article
  • 57. Kim MJ, Park BK, Lee HR, Doh HS. Pathways from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o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Self-Control and Depression/Anxiet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9;30(2):97-112.
  • 58. Cho YR, Lee HJ. A Study on a Model for Internet Addic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3):541-551. https://doi.org/10.4040/jkan.2004.34.3.541ArticlePubMed
  • 59. Kim HY, Ryu SH, editors. A Study of Construal Level and Smartphone Self-Control on Smart Phone Users2013: The HCI Society of Korea.
  • 60. Logue AW. Self-control: Waiting until tomorrow for what you want today. Englewood Cliffs, NJ, US: Prentice-Hall, Inc; 1995, xvi, 188-xvi, p.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ePub LinkePub Link
      • Cite
        CITE
        export Copy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An Integrative Review of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IMB Model
        STRESS. 2024;32(3):133-141.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4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Related articles
      An Integrative Review of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IMB Model
      Image
      Fig. 1. Flow chart of the screening process.
      An Integrative Review of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IMB Model
      Authors (Year) Question number
      Q1 Q2 Q3 Q4 Q5 Q6 Q7 Q8 Q9 Score
      Kim D. I. et al. (2017) Y N UC Y Y N Y Y Y 6/9
      Kim D. I. et al. (2020) Y N UC Y Y N Y Y Y 6/9
      Kim H. S. et al. (2015) Y Y UC Y Y N Y Y Y 7/9
      Kim H. J. et al. (2014) Y Y UC Y Y N Y Y Y 7/9
      Mun & Lee (2015) Y Y UC Y Y Y Y Y Y 8/9
      Park M. S et al. (2017) Y NA UC N Y N Y Y Y 5/7
      Yum J. Y. et al. (2016) Y Y UC Y N N Y Y Y 6/9
      Cho. H. S. et al. (2019) Y Y UC Y Y Y Y Y Y 8/9
      Jo & Bang (2022) Y Y Y Y Y Y Y Y Y 9/9
      Authors (year) Program session Time Period (weeks) Intervention Place/Instructor Strategies according to IMB construct Contents Significant outcome variables
      Kim D. I. et al. (2017) 6 40 2-6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Each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Professionally trained preventive education instructor IC: instruction, role play, quiz 1st: Introducing program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F=4.846, p<.028)
      Prevention program MC: discussion, 2nd: Learning about the changes happening in my body
      BSC: plan, game, discussion, 3rd: Learning about the changes happening in my mind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K-scale) (F=0.042, p<0.838)
      4th: Finding alternative activities
      5th: Learning about netiquette Self -regulatory (F=6.033, p<.014)
      6th: Finalizing program
      Kim D. I. et al. (2020) 6 40 2-3 Smartphone addiction I Will Center (Seoul)/Instructor -IC: instruction, quiz, handout 1st: Awareness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F=3.752, p<.028)
      Prevention program -MC: game, discussion 2nd: Acceptance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K-scale) (F=2.399, p<0.124)
      -BSC: plan, discussion, making activity 3rd: Attitude
      4th: Online game addiction Tolerance (p<.05)
      5th: SNS addiction Good use of smartphone (F=.911, p=.171)
      6th: Summary Expending life experience (p<.02)
      Kim H. S. et al. (2015) 12 40 6 Smartphone addiction Elementary school/Researcher -IC: instruction, video, quiz, discussion 1st: introducing program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for preschooler) (F=2.59, p<0.12) (salience, impulsivity-compulsive use, tolerance, interpersonal conflict: p<.01)
      Prevention program -MC: group counselling, storytelling 2nd-3rd: Smartphone recognition
      -BSC: plan, game, group counselling, music activity 4th-6th: Improving self-control
      7th-9th: Impulse control
      10th-11th: Smart phone and family relationship
      12th: Finalizing program
      Kim H. J. et al. (2014) 12 40 Not specified Smartphone addiction Elementary school/Counsellor -IC: instruction, video, discussion, game 1st: Introducing program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F=545.8, p<.000) (Difficulties on Daily Living, Withdrawal, Tolerance, Virtual World Oriented: p= .00)
      Prevention program -BSC: role play, plan, group counselling, music activity 2nd-4th: Smartphone recognition
      5th-6th: Improving self-control
      7th-9th: Alternative activities
      10th-11th: Impulse control
      12th: Finalizing program
      Mun & Lee (2015) 8 50 4 Internet addiction School health education room/ School nurse -IC: instruction, video, discussion 1st: Knowing the internet correctly Self- regulation (SCRS) (F=5.17, p=.027)
      Prevention program -MC: group counselling 2nd: Exploring life change from the internet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KS) (F=39.39, p<.001)
      -BSC: plan, awarding 3rd: Doing self-control Hours of internet use per day (F=1.98, p=.165)
      4th: Doing self-understanding
      5th: Controlling stress
      6th: Calming oneself
      7th: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8th: Challenges for future dreams
      Park. M. S. et al. (2017) 3 40 3 Internet addiction Elementary school/Researcher -IC: instruction 1st: Introduction of the program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KS-II) (F=39.974, p=0.000)
      Prevention program -BSC: plan, discussion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Internet
      The meaning of the internet addiction and its example
      Make the rule of your own – 1st
      2nd: Evaluation of the previous program
      Effect of Internet use
      Make the rule of your own – 2nd
      Exploration of the alternatives of Internet
      3rd: Evaluation of the previous program
      Understanding of the alternatives and its actual impact
      Yum J. Y. et al. (2016) 1 30 1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room or classroom in the elementary school/Unknown -IC: instruction, handout 1st: Threat appraisal (The usage patterns of smartphones, the harmfulness and seriousness of smartphone addiction) Threat appraisal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F=0.36, p=0.548)
      Prevention program -BSC: discussion 2nd: Coping appraisal (The causes and prevention methods of smartphone addiction, smartphone prevention guidelines for daily life) Coping appraisal (self efficacy) (F=0.51, p=0.478)
      Cho. H. S. et al. (2019) 8 45 2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Community children’s center/Researcher -IC: instruction, 1st: Introducing program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KS-II) (t=2.294, p<0.05)
      Prevention program -MC: sharing feeling, group counselling, art activity 2nd: Checking smartphone /Internet usage patterns, asses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style patterns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t=2.294, p<0.05)
      -BSC: group counselling 3rd: Reflecting on and expressing emotional words, identifying smartphone patterns and triggered emotions. Depression (CES-D) (t=2.489, p<0.05)
      4th: Understanding myself and understanding differences with others
      5th: Expressing myself, listening to and reflecting on others
      6th: Exploring my strengths and weaknesses for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7th: enhancing time management skills
      8th: encouragement for setting short-term goals
      Cho Jo & Bang (2022) 12 90 12 Smartphone addiction Community children’s center/researcher -IC: instruction, video 1st-2nd: orientation and enhancing pe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s (PRSS) (p For group*time=0.047)
      Prevention program -MC: sharing feeling, art activities, game, discussion, role play 3rd-4th: enhancing group cohesiveness, developing social skill and empathy Depression (CES-DC 11) (p For group*time=0.010)
      -BSC: art activities, game, discussion 5th-6th: Improving self-control and increasing positive affect Self-control (SCRS) (p For group*time=0.688)
      7th-8th: Improving self-control and developing moral judgement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scale) (p for group*time=0.039)
      9th-11th: Developing altruism, experiencing imitative behavior and imitative behavior
      12th: finalizing program
      IBM elements Core elements Kim D. I. et al. (2017) Kim D. I. et al. (2020) Kim H.S. et al. (2015) Kim H. J. et al. (2014) Mun & Lee (2015) Park. M. S. et al. (2017) Yum J. Y. et al. (2016) Cho. H. S. et al. (2019) Jo & Bang (2022)
      Information Awareness
      Motivation Relationship
      Emotion
      Behavioral Skill Self-control
      Impulse-control
      Alternative activity
      Table 1. Results of the quality assessment of the studies (N=9)

      Y: Yes, N: No, UC: Unclear, N/A: Not Applicable, Q1: Certainty of the cause and the effect, Q2: Similarity between the participants, Q3: Control of the history effect, Q4: Existence of the control group, Q5: Multiple measurements of outcome (pre/post), Q6: Completion of the follow-up, explanation of the attrition, Q7: The sameness of the measurement method, Q8: Reliability of measurement, Q9: Statistical appropriacy.

      Table 2. Summary of overall intervention

      IMB: Information-motivational-behavioral skills, IC: Information construct, MC: Motivation construct, BSC: Behavioral skills construct,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PRSS: Peer Relational Skills Scale, CES-DC 11: Centers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for Children, SCRS: Self-Control Rating Scale, KS scale: Integration of the internet (K-scale) and smartphone scale (S-scale), KS-II: Internet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

      Table 3. The core elements of interventions


      STRESS : STRESS
      TOP